목차
1. 북한의 군사력
- 북한 군사력의 증강 추이
- 남북한 병력비교
- 북한의 군사력 현황
2. 북한의 군사전략
(1) 선제기습전략
(2) 속전속결전략 (속도전)
(3) 배합전략
- 북한 군사력의 증강 추이
- 남북한 병력비교
- 북한의 군사력 현황
2. 북한의 군사전략
(1) 선제기습전략
(2) 속전속결전략 (속도전)
(3) 배합전략
본문내용
하는 실례가 되었다.
(3) 배합전략
모택동의 유격전략과 소련의 군사전략을 결합하여 한반도 실정에 맞게 만든 이른바 주체적 전략인데, 대규모의 정규전과 비정규전인 유격전을 배합하여 상대를 도체에서 공격하는 전후방 없는 전쟁으로 남한 전역을 동시 전장화한다는 것이 그 핵심내용이다. 이는 전선에 상대방 주력군을 고착시켜 두고, 후방에서는 주요 시설을 타격하고 인민항쟁을 유발시키면서 전면공세를 취한다는 것이다. 이태건권장희이범웅오기성, 『21세기 북한학 특강』 (경기: 도서출판 인간사랑, 2003), p.145.
지금까지 북한의 군사력과 군사전략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북한은 재래식 장비에서 벗어나 첨단 장비를 구축하고 있다. 북한 군사전략은 전쟁과 혁명이 긴밀하게 연관된 비정규전의 강조라는 측면으로 압축해볼 수 있다. 최명길, 「북한 군사전략 연구」(서울대 석사논문, 1985), p.93.
따라서 북한 군사전략에 대한 대응책은 군사적 차원에서만 논의되어서는 안된다. 뿐만 아니라 핵개발로 인하여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북한의 군사력과 군사전략에 대해 다시 한번 고찰하여 남북한이 앞으로 나아갈 길을 여러 방향으로 모색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3) 배합전략
모택동의 유격전략과 소련의 군사전략을 결합하여 한반도 실정에 맞게 만든 이른바 주체적 전략인데, 대규모의 정규전과 비정규전인 유격전을 배합하여 상대를 도체에서 공격하는 전후방 없는 전쟁으로 남한 전역을 동시 전장화한다는 것이 그 핵심내용이다. 이는 전선에 상대방 주력군을 고착시켜 두고, 후방에서는 주요 시설을 타격하고 인민항쟁을 유발시키면서 전면공세를 취한다는 것이다. 이태건권장희이범웅오기성, 『21세기 북한학 특강』 (경기: 도서출판 인간사랑, 2003), p.145.
지금까지 북한의 군사력과 군사전략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북한은 재래식 장비에서 벗어나 첨단 장비를 구축하고 있다. 북한 군사전략은 전쟁과 혁명이 긴밀하게 연관된 비정규전의 강조라는 측면으로 압축해볼 수 있다. 최명길, 「북한 군사전략 연구」(서울대 석사논문, 1985), p.93.
따라서 북한 군사전략에 대한 대응책은 군사적 차원에서만 논의되어서는 안된다. 뿐만 아니라 핵개발로 인하여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북한의 군사력과 군사전략에 대해 다시 한번 고찰하여 남북한이 앞으로 나아갈 길을 여러 방향으로 모색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추천자료
북한은 통일을 위해 핵을 사용할 것인가
전환기 남북미관계와 북한의 핵무기 개발의도 및 한미의 딜레마
[북한사회와경제]북한의 군대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핵문제][북핵문제][핵문제][핵무기][한반도핵문제][대북정책][대미정책]북한핵문제의 배...
[북한경제][북한경제정책][북한경제개혁]북한경제의 형성, 북한경제의 특성, 북한경제의 변화...
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
[북한 핵문제]북한 핵문제의 성격, 북한 핵무기의 개발 현황, 북한 핵위기와 남북관계, 북한 ...
[국제정세, 미국 국제정세, 중국 국제정세, 일본 국제정세, 북한 국제정세, 미국, 중국, 일본...
[일본 정책][일본][대외정책]일본의 대외정책, 일본의 안보정책, 일본의 방위정책, 일본의 동...
21세기 미국의 군사전략과 미사일방어체제
북한의 김정일의 선군정치와 김정은의 새로운 정치체제의 전개방향 고찰 (선군정치의 등장배...
북한 비대칭 위협과 대응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