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변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텍스트 변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텍스트 변인

어휘제시 방법

독자변인

배경지식

2-2) 전략

3) 과업유형

4) 제 2 읽기에서 언어적 지식의 역할

3. 읽기 지도

1)읽기지도 수업모형

2)읽기지도를 위한 과업/활동 유형

3)매체이용 읽기지도

4)정규교육 밖에서의 읽기 교육

5)기타

본문내용

으로 보였다. 이는 수업 관련 메시지가 영어 읽기 지도의 수업 전 활동으로서 사전배경지식 쌓기와 같은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메시지 전송자체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닐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전통적인 교사중심의 수업방식을 벗어나, 학습자 중심, 통합수업 모형등이 많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오준일(1998)에서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교실현장에서는 많은 교사들이 1960~70년대의 문법중심위주의 수업이 진행하고 있었다. 연구자는 아직도 전통적인 독해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원인을, 교실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새로운 교습법의 구체적인 방법의 제시가 되지 않고 있음으로 보았다. 이론적으로 우수한 다양하고 활동적인 수업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들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우리나라의 교실현장은 열악하다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은 학교의 수업에 더 이상 기대를 하지 않고, 선생님을 믿지 못한다. 학교수업은 학원수업의 보조수단정도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는 너무나 다른 수준의 아이들을 한 곳에 모아두고 수업을 해야만 하는 교사에게도, 학교에서 자신의 흥미나 수준에 맞추어 수업을 받지 못하여 학원에서 이중수업을 받아야 하는 학생들에게도 안타까운 일이다. 따라서 새로운 교수방법이 널리 이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실행할 수 있는 현실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방법제시와 더불어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 져야 한다.
4)정규교육 밖에서의 읽기 교육
33,김혜련. (2003). 영어동화책 읽어주기가 초기 학습자의 어휘 발달에 미치는 영향: 6세 아동의 사례연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0(2), 155-181.
34, Kang, Yul.(2003). Free voluntary reading: Cross-linguistic impact of parental reading behavior on children’s English. English Teaching, 58(1), 49-60.
김혜련(2003)은 6세 아동을 대상으로 영어동화책을 읽는 것이 아동의 어휘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였다. 아동은 영어동화책과 연습문제집 풀기 2가지 방법을 통하여 어휘를 배웠는데, 동화책을 통하여 더 많은 어휘를 습득하였으며, 동화책에서 배운 어휘와 표현들을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함으로써 말하기 능력까지 신장되었다.
5)기타
14. 신인숙. (2005). 영어 읽기 협력학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분석. 응용언어학회, 21(1), 325-349.
30,허명혜, 노수진. (2004). 제2언어 읽기 회상 검사(recall): 사회문화적 관점을 중심으로. 외국어교육학회, 11(3), 257-283.
74,Choi, Kyunghee. (2005). A sociocultural approach to understanding students\' interaction in comprehending an English text. English Teaching, 60(4), 423-439.
최경희(2005)는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학습과정에서 현재 자기의 수준보다 높은 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교사나 부모 등 상위능력의 사람에게 질문의 역할을 분석하고자 실험에 참가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많은 선행연구에서,질문은 혼자서는 도달할 수 없는 과업을 달성 가능케 하는 발판(scaffolding)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수단임을 증명하여 주었다(Anton&~). 그러나 집단 내에 전문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그 발판이 제공되지 않는다(Wells, 1999)는 결과도 보여졌다. 그리고 근접 발달 영역(ZPD)는 같은 학습자라 할지라도 과업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는 것도 밝혀졌다. 이 실험에서는 7명의 학생 중 2명의 학생은 상호작용이나 사회정의적 맥락에서의 집단활동에서 도움을 받지 못하였으며, 상호의존(intersubjectivity)의 일치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에는 동의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과업 수행을 이루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사전 테스트에서는 해석하지 못하였던 부분을,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을 거친 후, 사후 테스트에서는 잘 수행하는 모습은,
학습자들이 협동학습이나,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의 소집단 활동이 언어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호작용이나 사회정의적 전략이 학습에 항상 긍정적 영향을 끼치지는 못한다고 밝히고 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분석한 결과, 어떠한 경우에는 - 예를 들어, 집단 내에 어떠한 구성원도 전문가의 역할을 하지 못할 경우 또는 학습자에게 주어진 과업이 학습자의 수준보다 너무 높은 경우- 질문을 통한 상호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학습자의 근접발달영역 (ZPD)도 넓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올바르고 적절하게 사회정의적 전략에 대하여 설명하고, 질문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는 우리가 그 동안 여러 연구에서, 맹목적으로 협동학습이나, 사회정의적 맥락에서 교육해야 한다고 여겨왔던 현재의 교육 방침에 중요한 시사점을 안겨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32Kim, Sung-Ae. (1998). An analysis of Korean EFL readers\' summarization of L2 texts. English Teaching, 53(4), 63-91.
김성애(1998)은 한국의 대학생들이 영작한 글을 분석하여, 그들의 글은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략을 밝히고자 하였다. 지문의 주제는 대체적으로 잘 파악하는 것으로 보이나, 여러 가지 주요개념들을 종합하거나 추론하는 능력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때때로, 어려운 어휘나 구문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추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던 배경지식을 사용하여 잘못된 요약을 하는 경우가 있었다. 연구자는 이를 인지능력의 부족이 아닌, 그동안 정규교육 과정에서 요약을 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이나 방법을 배울 수 있었던 기회가 적었기 때문에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6.11.08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01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