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종 형태로서 지구의 자유민주주의가 보편화되었다는 것이다.”
“마나과?, 평양, 케임브리지 같은 곳에 Marx-Lenin 주의를 신봉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자유민주주의는 승리를 거두었다. 미래의 세계는 이념을 버려 두고 온 흥미진진한 싸움판을 거두고 무미건조한 경제적,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골몰할 것이다. 그 세계는 살기에 다소 따분할 것이다.
Sannel?, P.Huntington, The Crash of Civilization(문명의 충동) and the Remaining of World Order.1993.
- 21세기 세계 정치의 혁명적 Pardigm 문명 충돌론(이념 공동체 몰락의 폐허 위에 문명 공동체의 건설)
- 문명의 충돌이 세계 평화의 가장 큰 위협요소. 문명에 바탕을 둔 국제질서만이 세계대전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어수단.
- 8개의 문명전
중화, 일본, 힌두, 이슬람, 정교회, 서구,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서구 문명 : 유럽, 북미, 라틴 아메리카)
- 종교가 문명을 규정하는 핵심적 특성이라는 전제.
2. Marx 는 인간본질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그것이 현실화 되어야 공산주의 사회가 도래한다고 하였다. 그의 이념을 현실화 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공산주의 사회들이 붕괴했는데, 이 현상을 막스의 가설을 토대로 설명하시오.
Marx 원래 서로 협력하여 사는 것(Coorperation 이타주의)가 인간의 본질의 원형인데, 이러한 본질을 노동자는 그의 노동을 통하여 박탈당한다고 말한다. 이는 그의 노동이 유적 존재로서의 조화로운 인간의 노력을 대변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공산주의 사회는 원형을 회복한 사회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노동의욕저하, 노동생산성저하, 창의력저하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공산주의 사회가 붕괴한 것이다.
2. Marx 는 노동 가치에 관련하여 어떠한 가설을 세우고 이러한 가설이 성립될 때에만 공산 사회가 설립된다고 하였다. 1980년대 공산 사회의 붕괴를 Marx 의 이 가설을 고려하여 기술하라.
Marx 그의 노동가치설에서 ‘가치(가격)의 실체는 노동이다(V=f(W))’ 라고 말하며 Rent, Profit를 무시하고, 노동의 양을 개별적 노동 평균 노동의 개념을 도입하여, ’사회적 필요 노동 시간‘(평균적 기술수준, 노동강도, 숙련정도에서 생산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는 잘하건 못하건 같은 양의 임금을 지불하게 되어 결국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 손해를 보는 형국이 된다. 또, 노동의 가치는 노동시간에 의해 결정되는데 노동력의 가치는 다시 생활자료가치에 의해 결정되어 V=f(W), W=f(V) 가 되어 순환전 모순 논리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현실이 결국 노동의욕저하, 노동생산성저하, 창의력저하 등의 문제에 직면하게 만들어, 이러한 이유로 공산주의 사회가 붕괴하게 된 것이다.
3. Neo-Marxism 의 정체는 무엇인가, 역사적으로 이런 ism 생겨난 원인과 나타난 의의, 현대 사회에 이 사상이 미친 영향을 기술하라.
neomarxsim은 현존 사회주의의 대표격이었던 소련이 이상사회로 이행하지 못하고 전체주의 국가로 발전한것과 마르크스의 예언들이 이행되지 않는 과정에 있어서의 사상에 대한 재조명에 대한 필요성에 의해서 생겨났다. 이들은 Marx와 Hegel의 철학에서 나타나는 형이상학적 관점을 배격하고 실천 철학을 강조했으며, 불변적인 사물의 본질을 부정한다. 이들은 현대 후기 산업사회의 과학 문명에 의한 인간 소외 현상과 과학 기술의 인간 지배 현상에 대해서 비판을 가했고, Marxism을 Young Marx의 인간해방적 Humanism으로 재해석하고자 시도했다. 이들의 Young Marx와 Old Marx개념은 Marxism에 있어서 혼란을 가져왔다는 점과, 이론적 구상만 있고 실천적, 구체적 전략이 부제하다는 점에서 비판받을 수 있다.
4. Marx 는 자본주의가 필연적으로 자멸한다고 설명했는데, 이에 대해서 자세히 쓰시오.
Marx 는 자본주의는 시장경제에 내재한 경쟁의 윤리등으로 인하여 인간을 도덕적으로, 정신적으로 황폐화시킨다 (자본주의 아래에서 인간은 유적 본질은 상실하고 소외된다)고 말하고, 노동자와 자본가는 불평등한 관계 (착취관계)에 있으며, 이윤동기에 입각한 생산의 무정부성(경쟁)으로 인하여 비효율적이고 불안정한 경제체제라고 말한다. 한편, 역사적 변동의 궁극적 원동력은 생산력의 발전이라 말하며 그 생산력에 상응하는 생산관계가 사회 구조(국가, 법, 이데올로기)의 토대를 이루고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앞선 이유로 인하여 결국 생산력과 생산관계 사이의 모순이 발생하게 되어 사회주의가 도래한다고 말한다.
즉, 사회주의보다 도덕적, 윤리적으로 열등한 자본주의는 역사의 진행에 따라 필연적으로 붕괴하게 되고 사회주의가 도래한다고 Marx 는 주장하였다.
5. 자본주의 사회가 타락되었다는 생각에 karl Mark는 유적생활(spieces-life)의 개념을 도입해서 그의 이상사회의 청사진을 설명하고 있다. 그 내용과 이상사회 건설의 기본 조건을 설명하고, 그의 청사진이 현실과 부합하지 않게 된 근본적인 이유를 설명하라.
사회적 본질은 노동자는 그의 노동을 통하여 박탈당하는데, 이는 노동이 유적 존재로서의 조화로운 인간의 노력을 대변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coorperation 이타주의의 의미 - 서로 협력하며 사는 것).
6. 탈냉전 시대란 무엇이며, 탈냉전 시대를 지배하게 될 2가지 요소를 현실적으로 예를 들어가면서 설명하라.(Francis Fukuyama와 Samuel P. Huntington의 이론을 중심으로)
Nationalism 과 Civilization 이다. 즉 인류의 이념적 진화가 종착점에 이르러 정치체제의 최종 형태로서 자유민주주의가 보편화되었고 미래 세계는 이념을 버리고 경제적, 기술적 문제 해결에 집중할 것이다. 또한 종교 등으로 규정되는 문명들은 이념공동체의 몰락의 폐허위에 문명공동체가 건설되어 세계 평화의 가장 큰 위협요소가 될 것이다. (예로는 유고슬라비아의 3개 민족의 예가 대표적이라 할수있다.
“마나과?, 평양, 케임브리지 같은 곳에 Marx-Lenin 주의를 신봉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자유민주주의는 승리를 거두었다. 미래의 세계는 이념을 버려 두고 온 흥미진진한 싸움판을 거두고 무미건조한 경제적,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골몰할 것이다. 그 세계는 살기에 다소 따분할 것이다.
Sannel?, P.Huntington, The Crash of Civilization(문명의 충동) and the Remaining of World Order.1993.
- 21세기 세계 정치의 혁명적 Pardigm 문명 충돌론(이념 공동체 몰락의 폐허 위에 문명 공동체의 건설)
- 문명의 충돌이 세계 평화의 가장 큰 위협요소. 문명에 바탕을 둔 국제질서만이 세계대전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어수단.
- 8개의 문명전
중화, 일본, 힌두, 이슬람, 정교회, 서구,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서구 문명 : 유럽, 북미, 라틴 아메리카)
- 종교가 문명을 규정하는 핵심적 특성이라는 전제.
2. Marx 는 인간본질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그것이 현실화 되어야 공산주의 사회가 도래한다고 하였다. 그의 이념을 현실화 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공산주의 사회들이 붕괴했는데, 이 현상을 막스의 가설을 토대로 설명하시오.
Marx 원래 서로 협력하여 사는 것(Coorperation 이타주의)가 인간의 본질의 원형인데, 이러한 본질을 노동자는 그의 노동을 통하여 박탈당한다고 말한다. 이는 그의 노동이 유적 존재로서의 조화로운 인간의 노력을 대변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공산주의 사회는 원형을 회복한 사회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노동의욕저하, 노동생산성저하, 창의력저하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공산주의 사회가 붕괴한 것이다.
2. Marx 는 노동 가치에 관련하여 어떠한 가설을 세우고 이러한 가설이 성립될 때에만 공산 사회가 설립된다고 하였다. 1980년대 공산 사회의 붕괴를 Marx 의 이 가설을 고려하여 기술하라.
Marx 그의 노동가치설에서 ‘가치(가격)의 실체는 노동이다(V=f(W))’ 라고 말하며 Rent, Profit를 무시하고, 노동의 양을 개별적 노동 평균 노동의 개념을 도입하여, ’사회적 필요 노동 시간‘(평균적 기술수준, 노동강도, 숙련정도에서 생산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는 잘하건 못하건 같은 양의 임금을 지불하게 되어 결국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 손해를 보는 형국이 된다. 또, 노동의 가치는 노동시간에 의해 결정되는데 노동력의 가치는 다시 생활자료가치에 의해 결정되어 V=f(W), W=f(V) 가 되어 순환전 모순 논리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현실이 결국 노동의욕저하, 노동생산성저하, 창의력저하 등의 문제에 직면하게 만들어, 이러한 이유로 공산주의 사회가 붕괴하게 된 것이다.
3. Neo-Marxism 의 정체는 무엇인가, 역사적으로 이런 ism 생겨난 원인과 나타난 의의, 현대 사회에 이 사상이 미친 영향을 기술하라.
neomarxsim은 현존 사회주의의 대표격이었던 소련이 이상사회로 이행하지 못하고 전체주의 국가로 발전한것과 마르크스의 예언들이 이행되지 않는 과정에 있어서의 사상에 대한 재조명에 대한 필요성에 의해서 생겨났다. 이들은 Marx와 Hegel의 철학에서 나타나는 형이상학적 관점을 배격하고 실천 철학을 강조했으며, 불변적인 사물의 본질을 부정한다. 이들은 현대 후기 산업사회의 과학 문명에 의한 인간 소외 현상과 과학 기술의 인간 지배 현상에 대해서 비판을 가했고, Marxism을 Young Marx의 인간해방적 Humanism으로 재해석하고자 시도했다. 이들의 Young Marx와 Old Marx개념은 Marxism에 있어서 혼란을 가져왔다는 점과, 이론적 구상만 있고 실천적, 구체적 전략이 부제하다는 점에서 비판받을 수 있다.
4. Marx 는 자본주의가 필연적으로 자멸한다고 설명했는데, 이에 대해서 자세히 쓰시오.
Marx 는 자본주의는 시장경제에 내재한 경쟁의 윤리등으로 인하여 인간을 도덕적으로, 정신적으로 황폐화시킨다 (자본주의 아래에서 인간은 유적 본질은 상실하고 소외된다)고 말하고, 노동자와 자본가는 불평등한 관계 (착취관계)에 있으며, 이윤동기에 입각한 생산의 무정부성(경쟁)으로 인하여 비효율적이고 불안정한 경제체제라고 말한다. 한편, 역사적 변동의 궁극적 원동력은 생산력의 발전이라 말하며 그 생산력에 상응하는 생산관계가 사회 구조(국가, 법, 이데올로기)의 토대를 이루고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앞선 이유로 인하여 결국 생산력과 생산관계 사이의 모순이 발생하게 되어 사회주의가 도래한다고 말한다.
즉, 사회주의보다 도덕적, 윤리적으로 열등한 자본주의는 역사의 진행에 따라 필연적으로 붕괴하게 되고 사회주의가 도래한다고 Marx 는 주장하였다.
5. 자본주의 사회가 타락되었다는 생각에 karl Mark는 유적생활(spieces-life)의 개념을 도입해서 그의 이상사회의 청사진을 설명하고 있다. 그 내용과 이상사회 건설의 기본 조건을 설명하고, 그의 청사진이 현실과 부합하지 않게 된 근본적인 이유를 설명하라.
사회적 본질은 노동자는 그의 노동을 통하여 박탈당하는데, 이는 노동이 유적 존재로서의 조화로운 인간의 노력을 대변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coorperation 이타주의의 의미 - 서로 협력하며 사는 것).
6. 탈냉전 시대란 무엇이며, 탈냉전 시대를 지배하게 될 2가지 요소를 현실적으로 예를 들어가면서 설명하라.(Francis Fukuyama와 Samuel P. Huntington의 이론을 중심으로)
Nationalism 과 Civilization 이다. 즉 인류의 이념적 진화가 종착점에 이르러 정치체제의 최종 형태로서 자유민주주의가 보편화되었고 미래 세계는 이념을 버리고 경제적, 기술적 문제 해결에 집중할 것이다. 또한 종교 등으로 규정되는 문명들은 이념공동체의 몰락의 폐허위에 문명공동체가 건설되어 세계 평화의 가장 큰 위협요소가 될 것이다. (예로는 유고슬라비아의 3개 민족의 예가 대표적이라 할수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