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본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평가는 정당하였는가? 과거에 비해 어떤 것은 많이 변화하였고 어떤 것은 아직 변화하지 않았는가? 여전히 변화하지 않은 것 때문에 겪어야 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한국은 그동안 근대화 과정에서 많은 변모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들은 비행기 기내에 비치된 한국 안내서에서 한국을 조용한 아침의 나라라고 표현한 것을 보고 무척 놀란다고 한다. 1백 년 전이라면 모를까 이제 우리의 삶의 모습은 전혀 다르게 변모하였다. 모두들 지나치게 분주하다 못해 “빨리 빨리”가 우리나라 사람을 대표하는 단어로 친숙하다. 무엇이 이토록 짧은 기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는가? 그러나 아직도 변화하지 못하고 우리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 책은 이에 대해 깊은 생각을 하도록 하는 책이다.
추천자료
근대의 눈물, 철도 - '매혹의 질주, 근대의 횡단'을 읽고
동아시아 3국의 근대화 비교(정치 중심으로)
한국현대사의 사회사적 접근과 식민지배의 다양성 및 탈식민지
[소설창작론]이태준의 패강냉, 복덕방의 구체적 설명과 작가 이태준의 근대인식
이인직의 '혈의 누' - 근대의식및 친일의식 연구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과 한국의 대응
을사늑약 100년, 그때 일본이 탄생했다.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독서감상문
[소설창작론]이태준의 단편에 나타난 근대에 대한 문제의식과 주제의식
우리영화100년과 한국영화전사를 읽고
[국적, 한국국적법, 일본국적법, 국적항공사, 국적선박, 외국국적동포]국적과 한국국적법, 국...
[한일, 한일지방분권]한일지방분권(한국과 일본의 지방분권), 한일지식정보, 한일신파극, 한...
해방 이후 눈부신 성장을 하게 된 원인에 관하여 - 식민지 근대화론과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
‘1910’ 년대 문학 (1910년대 문학, 근대문학의 출발점, 1910년대 문학의 양상, 시의 양상, 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