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골재 (aggregates)
2. 골재의 성질
3. 골재 중의 유해물 및 알칼리 골재반응
4. 경량골재와 중량골재
5. 기타골재
6. 재생골재
7. 골재의 저장과 취급
2. 골재의 성질
3. 골재 중의 유해물 및 알칼리 골재반응
4. 경량골재와 중량골재
5. 기타골재
6. 재생골재
7. 골재의 저장과 취급
본문내용
는 전체량의 전 시료에 대한 중량 백분률의 합계를 100으로 나눈 값
- 적당한 조립율 : 잔골재; 2.3-3.1, 굵은 골재; 6-8,
- 혼합 시의 조립률 계산 : 조립률이 각각 잔골재 , 굵은 골재 인 골재를 중량비 으로 혼합하는 골재의 조립률 는
Quiz : 골재 A의 조립률 = 3.26
골재 B의 조립률 = 2.44
Req'd : 조립률 2.8의 골재를 제조하기 위해 요구되는 중량비율?
- 조립률 계산 예
체의 호칭
굵은 골재
잔 골재
각 체에 남는 양의 누계
각 체에 남는 양
각 체에 남는 양의 누계
각 체에 남는 양
g
%
g
%
g
%
g
%
50mm
0
0
0
0
40mm
270
2
270
2
30mm
2,025
14
1,755
12
25mm
4,480
30
2,455
16
20mm
6,750
45
2,270
15
16mm
10,980
73
4,230
28
10mm
13,350
89
2,370
16
0
0
0
0
5mm
15,000
100
1,650
11
25
5
25
5
2.5mm
100
0
62
12
37
7
1.2mm
100
0
130
26
68
14
0.6mm
100
0
343
68
213
42
0.3mm
100
0
461
92
118
24
0.15mm
100
0
496
99
35
7
접씨
100
0
500
100
4
1
합계
100
100
조립률 계산
굵은 골재 :
조립률 =
굵은 골재 최대치수 = 40mm
잔 골재 :
조립률 =
굵은 골재 최대치수 = 5mm
3. 골재 중의 유해물 및 알칼리 골재반응
1). 골재 중의 유해물
● 점토, 침니, 운모
● 석탄, 갈탄
● 연한석편
● 유기불순물
● 염분
2). 알칼리 골재 반응
시멘트 중의 알칼리 성분이 골재 중에 있는 실리카질 광물질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콘크리트 내부에서 국부적인 팽창을 일으킴으로써 콘크리트의 균열과 박리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내구성의 감소를 초래하는 현상.
4. 경량골재와 중량골재
● 경량골재 :
- 표건상태비중 : 2.5이하, 단위용적중량 : 11이하
- Why light weight aggr.? → cellular or highly porous microstructure.
- 종 류 :
천연경량골재 : 경석화산석, 응회암, 용암 ...
인공경량골재 : 팽창성점토, fly ash, slag, 등의 산업폐기물의 가공
- 천연경량골재는 공극이 많고, 중량이 작으며, 내구성이 보통골재에 비해 떨어짐.
- 인공경량골재는 흡수율이 크므로 골재를 사용하기 전에 prewetting 시키는 작업이 필요함.
● 중량골재 :
- 표건상태비중 : 2.57이상, 단위용적중량 : 21이하
- 방사선차폐용 콘크리트에 일반적으로 사용함.
5. 기타골재
● 부순돌
- 단위수량이 일반적으로 10%이상 요구됨
- 시멘트풀과의 접착성이 좋으므로 강자갈을 사용한 경우와 거의 동등한 강도발휘
- 수밀성, 내구성은 강자갈에 비해 떨어짐 → AE제, 감수제 사용
● 해사
- 해사의 염화물을 충분히 제거하여 0.02%이하로 함.
● 고로슬래그 골재
- 단위용적중량 :
- Slag에 포함된 iron sulfide(Fe2SO3)가 sulfate(황산염)으로 변화하여 산에 약한 콘크리트를 열화하는 원인이 됨. 이러한 이유로 영국시방서에서는 SO3의 함유량을 0.7-2%로 제한함.
- Precast concrete 구조체 및 벽체 등의 생산에 많이 사용하고 있음.
6. 재생골재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 시에 포함된 골재를 분리/재생한 골재
● 천연골재로 제조한 콘크리트 강도의 2/3 정도의 강도를 발현.
● 재생에 요구되는 골재의 표면처리, 분류, 분진, 유해물질의 분리에 요구되는 경제적 비용이 큰 단점.
● 강도를 많이 요구하지 않는 도로포장재료로 주로 사용.
● 특히 도시산업폐기물과 함께 처리되는 경우에는 유리조각 등이 콘크리트 배합시에 crystal line을 형성하여 내구성과 강도를 저하시킴.
● 알루미늄 메탈이 혼합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과도한 팽창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응결과 경화에 영향을 끼침.
7. 골재의 저장과 취급
● 잔골재, 굵은 골재의 입도가 다른 골재는 각각 구분하여 따로따로 저장
굵은 골재 최대치수가 65mm 이상인 경우에는 2종 이상으로 체가름하여 저장함.
● 골재의 분리가 발생하지 않고, 먼지/물이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
● 사용 전에는 표면수 측정을 함.
● 직사광선을 피하게 함으로써 온도팽창으로 인한 체적의 변화와 수화열의 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함.
- 적당한 조립율 : 잔골재; 2.3-3.1, 굵은 골재; 6-8,
- 혼합 시의 조립률 계산 : 조립률이 각각 잔골재 , 굵은 골재 인 골재를 중량비 으로 혼합하는 골재의 조립률 는
Quiz : 골재 A의 조립률 = 3.26
골재 B의 조립률 = 2.44
Req'd : 조립률 2.8의 골재를 제조하기 위해 요구되는 중량비율?
- 조립률 계산 예
체의 호칭
굵은 골재
잔 골재
각 체에 남는 양의 누계
각 체에 남는 양
각 체에 남는 양의 누계
각 체에 남는 양
g
%
g
%
g
%
g
%
50mm
0
0
0
0
40mm
270
2
270
2
30mm
2,025
14
1,755
12
25mm
4,480
30
2,455
16
20mm
6,750
45
2,270
15
16mm
10,980
73
4,230
28
10mm
13,350
89
2,370
16
0
0
0
0
5mm
15,000
100
1,650
11
25
5
25
5
2.5mm
100
0
62
12
37
7
1.2mm
100
0
130
26
68
14
0.6mm
100
0
343
68
213
42
0.3mm
100
0
461
92
118
24
0.15mm
100
0
496
99
35
7
접씨
100
0
500
100
4
1
합계
100
100
조립률 계산
굵은 골재 :
조립률 =
굵은 골재 최대치수 = 40mm
잔 골재 :
조립률 =
굵은 골재 최대치수 = 5mm
3. 골재 중의 유해물 및 알칼리 골재반응
1). 골재 중의 유해물
● 점토, 침니, 운모
● 석탄, 갈탄
● 연한석편
● 유기불순물
● 염분
2). 알칼리 골재 반응
시멘트 중의 알칼리 성분이 골재 중에 있는 실리카질 광물질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콘크리트 내부에서 국부적인 팽창을 일으킴으로써 콘크리트의 균열과 박리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내구성의 감소를 초래하는 현상.
4. 경량골재와 중량골재
● 경량골재 :
- 표건상태비중 : 2.5이하, 단위용적중량 : 11이하
- Why light weight aggr.? → cellular or highly porous microstructure.
- 종 류 :
천연경량골재 : 경석화산석, 응회암, 용암 ...
인공경량골재 : 팽창성점토, fly ash, slag, 등의 산업폐기물의 가공
- 천연경량골재는 공극이 많고, 중량이 작으며, 내구성이 보통골재에 비해 떨어짐.
- 인공경량골재는 흡수율이 크므로 골재를 사용하기 전에 prewetting 시키는 작업이 필요함.
● 중량골재 :
- 표건상태비중 : 2.57이상, 단위용적중량 : 21이하
- 방사선차폐용 콘크리트에 일반적으로 사용함.
5. 기타골재
● 부순돌
- 단위수량이 일반적으로 10%이상 요구됨
- 시멘트풀과의 접착성이 좋으므로 강자갈을 사용한 경우와 거의 동등한 강도발휘
- 수밀성, 내구성은 강자갈에 비해 떨어짐 → AE제, 감수제 사용
● 해사
- 해사의 염화물을 충분히 제거하여 0.02%이하로 함.
● 고로슬래그 골재
- 단위용적중량 :
- Slag에 포함된 iron sulfide(Fe2SO3)가 sulfate(황산염)으로 변화하여 산에 약한 콘크리트를 열화하는 원인이 됨. 이러한 이유로 영국시방서에서는 SO3의 함유량을 0.7-2%로 제한함.
- Precast concrete 구조체 및 벽체 등의 생산에 많이 사용하고 있음.
6. 재생골재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 시에 포함된 골재를 분리/재생한 골재
● 천연골재로 제조한 콘크리트 강도의 2/3 정도의 강도를 발현.
● 재생에 요구되는 골재의 표면처리, 분류, 분진, 유해물질의 분리에 요구되는 경제적 비용이 큰 단점.
● 강도를 많이 요구하지 않는 도로포장재료로 주로 사용.
● 특히 도시산업폐기물과 함께 처리되는 경우에는 유리조각 등이 콘크리트 배합시에 crystal line을 형성하여 내구성과 강도를 저하시킴.
● 알루미늄 메탈이 혼합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과도한 팽창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응결과 경화에 영향을 끼침.
7. 골재의 저장과 취급
● 잔골재, 굵은 골재의 입도가 다른 골재는 각각 구분하여 따로따로 저장
굵은 골재 최대치수가 65mm 이상인 경우에는 2종 이상으로 체가름하여 저장함.
● 골재의 분리가 발생하지 않고, 먼지/물이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
● 사용 전에는 표면수 측정을 함.
● 직사광선을 피하게 함으로써 온도팽창으로 인한 체적의 변화와 수화열의 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