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화다원주의와 문화단일주의
2. 다문화주의에서 인권
3. 다문화주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4. 다문화주의와 국가 문화적 정체성의 상충
5. 한국 사회에서의 다문화주의
6. 맺는 말
2. 다문화주의에서 인권
3. 다문화주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4. 다문화주의와 국가 문화적 정체성의 상충
5. 한국 사회에서의 다문화주의
6. 맺는 말
본문내용
는 우리의 편협한 시각과 편파적인 자세에 대한 자기성찰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인류학적인 안목이 필요합니다. 문화의 다원화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지향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거기에서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그러한 문화적 다름과 차이에 대한 수용력 또는 관용력을 길러야 된다는 것이지요. 문화의 다양성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가를 시사했던 처음의 주제로 돌아가 봅시다. 문화상대주의적 철학은 다문화 시대에 살아가는 현대인으로서 반드시 갖추어야할 하나의 덕목입니다. 곧 문화적 차이를 타자에 대한 편견, 왜곡, 폭력의 정당화를 위한 이념의 근거로 삼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자세이자 문화수용의 능력을 기르는 것입니다. 그러나 더 나아가서 상이한 문화적 성향들 사이에 공유의 영역이 더 확장되도록 노력을 해야 합니다. 인권은 인간다움에 대한 그리고 인간으로서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를 말하는 것이며 그것은 문화에 의하여 규정되고 실천되는 것입니다. 다문화 주의는 한편으로는 문화의 단일화가 빚어내는 폭력을 극복하는 방안일 수 있지만 동시에 문화상대주의를 구실로 삼아 또 다른 문화폭력을 정당화하는 잘못을 낳을 가능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점을 명심하기 바랍니다.
추천자료
[다문화사회와 교육] 민족과 국민 및 문명의 개념 이해
[다문화사회와 교육] 정치적 투쟁의 개념
[다문화사회와 교육] 낯섦의 경험에 대한 간문화적 취급 - 문화충격과 낯섦의 경험, 낯섦의 ...
[다문화사회와 교육] 특수주의적인 ‘우리’와 보편주의적인 ‘우리’에 대한 이해와 보편주의와 ...
[다문화사회와 교육] 간문화성을 위한 교육의 기본원칙에 대하여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우주베키스탄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정치, ...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말레이시아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정치, 경...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일본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정치, 경제, 공...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중국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행정구역, 민족,...
[다문화사회복지] 서구에서 문화적 역량개념 형성과 제도화 과정(미국에서의 문화적 역량운동...
[다문화사회복지] 문화적 역량 발달이론 - 방크스(Banks)의 문화정체성 발달성 이론, 베네트...
[다문화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의 개념과 북한이탈주민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대안
[다문화사회복지] 이주노동자 유입 원인과 과정(이주노동자 체류현황 포함) 및 이주노동자 법...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현황(변화추이) 및 결혼이민자의 일반적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