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문원각 지도서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 181
  • 182
  • 183
  • 184
  • 185
  • 186
  • 187
  • 188
  • 189
  • 190
  • 191
  • 192
  • 193
  • 194
  • 195
  • 196
  • 197
  • 198
  • 199
  • 200
  • 201
  • 202
  • 203
  • 204
  • 205
  • 206
  • 207
  • 208
  • 209
  • 210
  • 211
  • 212
  • 213
  • 214
  • 215
  • 216
  • 217
  • 218
  • 219
  • 220
  • 221
  • 222
  • 223
  • 224
  • 225
  • 226
  • 227
  • 228
  • 229
  • 230
  • 231
  • 232
  • 233
  • 234
  • 235
  • 236
  • 237
  • 238
  • 239
  • 240
  • 241
  • 242
  • 243
  • 244
  • 245
  • 246
  • 247
  • 248
  • 249
  • 250
  • 251
  • 252
  • 253
  • 254
  • 255
  • 256
  • 257
  • 258
  • 259
  • 260
  • 261
  • 262
  • 263
  • 264
  • 265
  • 266
  • 267
  • 268
  • 269
  • 270
  • 271
  • 272
  • 273
  • 274
  • 275
  • 276
  • 277
  • 278
  • 279
  • 280
  • 281
  • 282
  • 283
  • 284
  • 285
  • 286
  • 287
  • 288
  • 289
  • 290
  • 291
  • 292
  • 293
  • 294
  • 295
  • 296
  • 297
  • 298
  • 299
  • 300
  • 301
  • 302
  • 303
  • 304
  • 305
  • 306
  • 307
  • 308
  • 309
  • 310
  • 311
  • 312
  • 313
  • 314
  • 315
  • 316
  • 317
  • 318
  • 319
  • 320
  • 321
  • 322
  • 323
  • 324
  • 325
  • 326
  • 327
  • 328
  • 329
  • 330
  • 331
  • 332
  • 333
  • 334
  • 335
  • 336
  • 337
  • 338
  • 339
  • 340
  • 341
  • 342
  • 343
  • 344
  • 345
  • 346
  • 347
  • 348
  • 349
  • 350
  • 351
  • 352
  • 353
  • 354
  • 355
  • 356
  • 357
  • 358
  • 359
  • 360
  • 361
  • 362
  • 363
  • 364
  • 365
  • 366
  • 367
  • 368
  • 369
  • 370
  • 371
  • 372
  • 373
  • 374
  • 375
  • 376
  • 377
  • 378
  • 379
  • 380
  • 381
  • 382
  • 383
  • 384
  • 385
  • 386
  • 387
  • 388
  • 389
  • 390
  • 391
  • 392
  • 393
  • 394
  • 395
  • 396
  • 397
  • 398
  • 399
  • 400
  • 401
  • 402
  • 403
  • 404
  • 405
  • 406
  • 407
  • 408
  • 409
  • 410
  • 411
  • 412
  • 413
  • 414
  • 415
  • 416
  • 417
  • 418
  • 419
  • 420
  • 421
  • 422
  • 423
  • 424
  • 42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7차 문원각 지도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 발표된 단편 소설이다. 도시로 간 누이의 실패, 그에 따른 누이의 침묵, 그리고 그 원인을 이해하기 위한 '나'의 상경, 곧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상경한 '나'는 도시의 개인주의만을 배울 뿐이다. 전체 6장으로 구성된 이 작품에는 특별한 서사적인 줄거리가 없을 뿐더러 뚜렷하게 부각된 인물도 없다. 독백적인 문체로 일관하고 있는 이 작품에는 서울로 온 작중 화자인 '나'에게 관찰된 제 2장의 작가, 제 3장의 누이, 제 5장의 일지 속에 단편적으로 등장하는 여러 인물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작중 화자의 의식 속에서 재구성되고 평가되는 인물들이다.
이 작품에서 '누이'는 설화가 없는 농촌을 떠나 도시에 삶의 뿌리를 내리려고 갔다가 침묵만 배우고 돌아오고 만다. '누이'가 도시에서 부딪힌 것은 모두 자기의 세계를 굳게 지키는 개인주의였으며, 그 속에서 느낀 것은 고독이었다. '누이'는 이것에 대해 정직하게 대응하려다 좌절했던 것이다.
이 작품은 지적 내용을 감각적 언어로 서술한 작품으로, 도시로 떠난 '누이'가 배워 온 침묵을 통해 도시적 삶의 개인주의와 고독감을 표출하고 있다.
-김태형 외, '현대 소설의 이해와 감상'에서
평가 계획
평가 방법
이 단원의 목표는 문학과 삶의 연관성 속에서 작품을 통해 산업화와 인간 소외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가지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단원의 평가는 학습자의 종합적 사고력과 태도를 측정하는 서술형 평가나 과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이 조사해 오게 하는 수행 평가가 적합하다.
1번은 김광균의 '와사등'과 김광섭의 '성북동 비둘기'를 비교하여 인간 소외에 대해 알아보는 서술형 평가이고, 2번은 본문의 주제와 연관된 시를 조사해 오게 하는 수행 평가이다.
평가 예시
1 (가)~(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인간 소외'에 대해 알아보자.
(가)
성북동 산에 번지(番地)가 새로 생기면서
본래 살던 성북동 비둘기만이 번지가 없어졌다.
새벽부터 돌 깨는 산울림에 떨다가
가슴에 금이 갔다.
그래도 성북동 비둘기는
하느님의 광장(廣場) 같은 새파란 아침 하늘에
성북동 주민에게 축복(祝福)의 메시지나 전하듯
성북동 하늘을 한 바퀴 휘돈다.
성북동 메마른 골짜기에는
조용히 앉아 콩알 하나 찍어 먹을
널찍한 마당은커녕 가는 데마다
채석장(採石場) 포성(砲聲)이 메아리쳐서
피난하듯 지붕에 올라 앉아
아침 구공탄(九孔炭) 굴뚝 연기에서 향수를 느끼다가
산 1번지 채석장에 도루 가서
금방 따낸 돌 온기(溫氣)에 입을 닦는다.
예전에는 사람을 성자(聖者)처럼 보고
사람 가까이
사람과 같이 사랑하고
사람과 같이 평화(平和)를 즐기던
사랑과 평화의 새 비둘기는
이제 산도 잃고 사람도 잃고
사랑과 평화의 사상까지
낳지 못하는 쫓기는 새가 되었다.
-김광섭, '성북동 비둘기'
(나)
차단-한 등불이 하나 비인 하늘에 걸려 있다.
내 홀로 어델 가라는 슬픈 신호(信號)냐.
긴 여름 해, 황망(慌忙)히 나래를 접고
늘어선 고층, 창백한 묘석 같이 황혼에 젖어
찬란한 야경(夜景), 무성한 잡초인 양 헝클어진 채
사념(思念) 벙어리 되어 입을 다물다.
피부의 바깥에 스미는 어둠
낯설은 거리의 아우성 소래.
까닭도 없이 눈물겹고나.
공허한 군중의 행렬에 섞이어
내 어디서 그리 무거운 비애를 지고 왔기에
길-게 느린 그림자 이다지 어두워.
내 어디로 어떻게 가라는 슬픈 신호기
차단-한 등불이 하나 비인 하늘에 걸리어 있다.
-김광균, '와사등'
평가 기준
·두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
·두 작품에 나타난 문제의 궁극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예시 답안
(가) '성북동 비둘기'에서는 비둘기를 통해 물질문명의 폐해를 고발하고 있으며, 자연에 대한 향수를 노래하고 있다. (나) '와사등'에서 작가는 '와사등'이라는 이국적 소재를 통해 현대인의 방향 감각 상실로 인한 고독과 비애를 노래하고 있다. 두 시 모두 갈 곳을 잃고 방황하는 절망적 존재의 모습이 잘 형상화되어 있다.
2 다음 이시영의 '정님이'에 나타난 시의 상황과 시적 자아의 태도를 설명해 보자.
정님이
이시영
용산 역전 늦은 밤거리
내 팔을 끌다 화들짝 손을 놓고 사라진 여인
운동회 때마다 동네 대항 릴레이 일등을 하여 밥솥을 타던
정님이 누나가 아닐는지 몰라
이마의 흉터를 가린 긴 머리, 날랜 발
학교도 못 다녔으면서
운동회 때만 되면 나보다 더 좋아라 좋아라.
머슴 만득이 지게에서 점심을 빼앗아 이고 달려오던 누나
수수밭을 매다가도 새를 보다가도 나만 보면
흙 묻은 손으로 달려와 청색 책보를
단단히 동여매 주던 소녀
콩깍지를 털어 주며 맛있니 맛있니
하늘을 보고 웃던 하이얀 목
아버지도 없고 어머니도 없지만
슬프지 않다고 잡았던 메뚜기를 날리며 말했다.
어느 해 봄엔 높은 산으로 나물 캐러 갔다가
산 뱀에 허벅지를 물려 이웃 처녀들에게 업혀 와서도
머리맡으로 내 손을 찾아 산다래를 쥐어 주더니
왜 가버렸는지 몰라
목화를 따고 물레를 잣고
여름 밤이 오면 하얀 무릎 위에
정성껏 삼을 삼더니
동지 섣달 긴긴 밤 베틀에 고개 숙여
달그당잘그당 무명을 잘도 짜더니
왜 바람처럼 가버렸는지 몰라
빈 정지 문 열면 서글서글한 눈망울로
이내 달려올 것만 갔더니
한 번 가 왜 다시 오지 않았는지 몰라
식모 산다는 소문도 들렸고
방직 공장에 취직했다는 말도 들렸고
영등포 색시집에서 누나를 보았다는 사람도 있었지만
어머니는 끝내 말이 없었다.
용산 역전 앞 열한시 반
통금에 쫓기던 내 팔 붙잡다
날랜 발, 밤거리로 사라진 여인
평가 기준
·작품에 나타난 시의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
·작품에 나타난 시적 자아의 태도를 설명할 수 있다.예시 답안
이시영의 시로, 산업화의 그늘에서 생겨난 비참한 삶의 모습을 영화의 한 장면을 보듯 생생한 묘사를 통해 담담하게 보여 주고 있다. 명랑하고 순박했던 정님이가 식모로, 방직 여공으로, 색시집의 창녀로 전락해 갔던 당시의 사회 문제들을 부각시키면서, 그러한 상황 속에서 무기력하기만 했던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이 잘 드러나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425페이지
  • 등록일2006.11.09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1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