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조주의를 이해하기에 앞서 - 대두배경과 의의
2. 구조주의의 주요내용 - 구조주의를 대표하는 소쉬르, 레비스트로스, 바르트를 중심으로
① 소쉬르 (Ferdinand de Saussure)
② 레비스트로스 (Claude Levi-Strauss)
③ 바르트 (Roland Barthes)
3. 구조주의의 장점과 한계
4. 사례분석
① 논문 분석
② 영화 분석
2. 구조주의의 주요내용 - 구조주의를 대표하는 소쉬르, 레비스트로스, 바르트를 중심으로
① 소쉬르 (Ferdinand de Saussure)
② 레비스트로스 (Claude Levi-Strauss)
③ 바르트 (Roland Barthes)
3. 구조주의의 장점과 한계
4. 사례분석
① 논문 분석
② 영화 분석
본문내용
식민주의니 뭐니하고 비방하는 자들에게 보여 줄 대답으로서는, 소위 그의 억압자들을 섬기는 이 흑인의 열성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므로 여기서 또 다시 나는 더 큰 기호학적 체계를 만나게 된다. 말하자면, 거기에는 그 자체가 벌써 기존의 체계로 형성되어 있는 기표(흑인병사가 프랑스식의 경례를 하는 일)가 있고, 또 기의(여기서는 프랑스적인 것과 군사적인 것의 의도적인 혼합)가 있는데, 끝으로 그 기표를 통한 기의가 또한 존재하고 있다." 원용진.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1996) 191쪽.
사진의 1차 의미(외시)는 복제된 사진과 그 사진의 내용을 구성하는 프랑스 국기에 경례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2차 의미(공시)에서는 프랑스 국기에 경례하는 모습이 기표가 되고, 당시의 프랑스가 알제리를 식민지화 한 것이 정당화되는 내용이 기의가 된다. 이처럼 바르트는 우리에게 있어서 자연스럽게 느껴지도록 강제하는 "사회의 의미조작"을 밝혀내고 있다. 의미는 전달되지 않고 생성되는 것이기에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일텐데,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접할 수 있는 무수히 많은 "문화코드"들도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의도적으로 생성해내고 있는, 의미의 조작적 배후들의 "결과물"들일 것이다.
그 예로 들 수 있는 것이 바로 영화와 광고이다. 먼저 영화의 예로 살펴보기 위해 우리는 살인의 추억이라는 영화를 살펴보았다. 영화에서 나오는 두 형사의 대립적인 케릭터에서 우리는 바르트가 말하는 사회의 의미 조작을 볼 수 있다.
시골형사인 송강호는 다혈질에 논리보다는 감각에만 의존하는 수사방식을 보여주고 거친 말투에 대학을 졸업은 했지만 제대로 다니지도 않는 사람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영화 내에서 항상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만 표현된다. 그리고 크게 인정받지도 못하는 배역이다. 이에 반해 김상경은 서울에서 오기 전부터 서울에서 오시는 형사라고 칭송하며, 표준어를 사용하고 문서와 자료를 중시하는 과학적인 방법만을 사용 한다. 영화 내에서 모든 실마리를 풀어가는 중심인물로서 표현된다.
이것은 다만 영화 만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통속적으로 생각하는 상식이 되어버린 것이 바로 롤랑 바르트가 말한 신화의 무서운 점이다. 우리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서울 사람은 세련된 사람, 시골 사람은-사실 시골이라는 개념조차도 모호하다.-그에 반해 세련되지 못한 사람이라는 게 일반적인 것 아니냐고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자료
원용진.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서울:한나래, 1996.
테렌스 혹스, 오원교 역. {구조주의와 기호학}. 서울:신아사, 1982.
프랑스와 발르, 민희식 역. {구조주의란 무엇인가}. 서울:고려원, 1985.
아니카 르메르, 이미선 역. {자크 라캉}. 서울:문예출판사, 1994.
황인성. [로맨틱 시트콤의 장르관습과 미학], {한국언론학보}. 제43권. 1999.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네이버 카페, 「메기의 지리세상」. http://cafe.naver.com/megi
사진의 1차 의미(외시)는 복제된 사진과 그 사진의 내용을 구성하는 프랑스 국기에 경례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2차 의미(공시)에서는 프랑스 국기에 경례하는 모습이 기표가 되고, 당시의 프랑스가 알제리를 식민지화 한 것이 정당화되는 내용이 기의가 된다. 이처럼 바르트는 우리에게 있어서 자연스럽게 느껴지도록 강제하는 "사회의 의미조작"을 밝혀내고 있다. 의미는 전달되지 않고 생성되는 것이기에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일텐데,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접할 수 있는 무수히 많은 "문화코드"들도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의도적으로 생성해내고 있는, 의미의 조작적 배후들의 "결과물"들일 것이다.
그 예로 들 수 있는 것이 바로 영화와 광고이다. 먼저 영화의 예로 살펴보기 위해 우리는 살인의 추억이라는 영화를 살펴보았다. 영화에서 나오는 두 형사의 대립적인 케릭터에서 우리는 바르트가 말하는 사회의 의미 조작을 볼 수 있다.
시골형사인 송강호는 다혈질에 논리보다는 감각에만 의존하는 수사방식을 보여주고 거친 말투에 대학을 졸업은 했지만 제대로 다니지도 않는 사람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영화 내에서 항상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만 표현된다. 그리고 크게 인정받지도 못하는 배역이다. 이에 반해 김상경은 서울에서 오기 전부터 서울에서 오시는 형사라고 칭송하며, 표준어를 사용하고 문서와 자료를 중시하는 과학적인 방법만을 사용 한다. 영화 내에서 모든 실마리를 풀어가는 중심인물로서 표현된다.
이것은 다만 영화 만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통속적으로 생각하는 상식이 되어버린 것이 바로 롤랑 바르트가 말한 신화의 무서운 점이다. 우리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서울 사람은 세련된 사람, 시골 사람은-사실 시골이라는 개념조차도 모호하다.-그에 반해 세련되지 못한 사람이라는 게 일반적인 것 아니냐고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자료
원용진.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서울:한나래, 1996.
테렌스 혹스, 오원교 역. {구조주의와 기호학}. 서울:신아사, 1982.
프랑스와 발르, 민희식 역. {구조주의란 무엇인가}. 서울:고려원, 1985.
아니카 르메르, 이미선 역. {자크 라캉}. 서울:문예출판사, 1994.
황인성. [로맨틱 시트콤의 장르관습과 미학], {한국언론학보}. 제43권. 1999.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네이버 카페, 「메기의 지리세상」. http://cafe.naver.com/megi
추천자료
서양의 철학사
서양의사상(아리스토텔레스).
서양 근현대 윤리사상
서양 교육 철학
교육철학 그리스, 로마, 공자, 맹자, 동 서양 , 체벌
서양 근대(근세) 철학
[서양윤리학사(로버트 애링턴)]에서 나타나는 `니체`의 철학
중세철학이 근대철학으로 변할수 밖에 없었던 이유
서양의 중세유럽의 대표적인 교육철학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중 한명의 철학자의 아동관...
고대 그리스, 로마 철학가들에 대해서 [서양교육사] - 크세노폰, 이소크라테스, 키케로, 퀸틸...
중세시대 교육에 대해서 [서양교육사] - 중세교육의 개관, 중세 시대의 특징, 중세 기독교 사...
서양교육사 - 임용고시 대비{스파르타 교육,아테네교육,소피스트,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
(A+ 레포트,시험대비) [사회복지의 철학과 윤리]서양에서의 인권 발달사3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서양의 유아교육철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