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측정값
2.실험결과
3.질문 및 토의
4.결론 및 검토
2.실험결과
3.질문 및 토의
4.결론 및 검토
본문내용
_{C} -I,```V-I
의 그래프를 설명하고
V _{R} -f,```V _{L} -f,```V _{C} -f
의 그래프를 그리고 전압의 크기가 진동수에 대해 변하는 이류를 설명하시오.
- 실험결과의
V _{R} -I,```V _{L} -I,```V _{C} -I,```V-I
그래프를 살펴보면
V _{R} =IR
,이기 때문에
V PROPTO I
이다. 그러므로 대체적으로 비례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V={1} over {C} int _{} ^{} {} `Idt
는
V PROPTO I ^{2}
이므로 제곱에 비례하는 형태를 보이며
V _{L} =L {dI} over {dt}
는 이기 때문
I
의 시간에 따른 변화율에 비례한다. 시간에 따른 변화율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V _{C}
의 값은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VR - f 그래프
VL - f 그래프
VC - f 그래프
먼저 VR - f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교류전류의 진동수가 증가하면 최대전류의 값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진동수와 전압의 관계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VC - f의 그래프에서는
V_{ C } (t)=- { 1 } over { omega C } I_{ M } cos( omega t+ psi )
의 관계에서 전류의
omega PROPTO f
의 관계이므로 위의 그래프와 같은 형태를 보인다. VL - f의 그래프에서는 감소하는 최대전류의 비율보다 증가하는 진동수의 비가 더 크기 때문에 약간의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3) R-L-C 회로 실험에서 측정한
V _{M} ```,``V _{R`M } ``,V _{LM} ````,V _{CM}
을 벡터 도형법으로 나타내 보시오.
결론 및 검토
이번 실험은 R-L-C회로를 구성하여 각 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여 전체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여 임피던스(impedance)값을 구하고 위상차
psi
의 값을 구하는 실험이다. 임피던스는 직류회로에서와 같이 전류의 흐름에 저항하는 저항의 값이라고 볼 수 있지만 전류의 값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정현파의 형태로 나타나며, 즉 복소수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 때문에 전압의 값도 일정한 값이 아니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값이다. R-L-C회로를 구성하여 각 단에 걸리는 전압의 합은 전체에 걸리는 전압은 같아야 하지만 실험결과 1
KHz
의 경우 측정된 전압의 합은 전체의 걸리는 전압에 비해서 약 13.46%가 크게 측정이 되었다. 다른 진동수의 범위에서도 각 간에 걸리는 전압의 합이 전체에 걸리는 전압보다 크게 나왔다. 이로 인해서는 임피던스의 값도 큰 오차를 보였다. 이는 각 단의 전압 측정 시에 시간이 충분히 흐른 정상상태에서 측정을 하여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고 급하게 측정한데서 생긴 오류라고 생각된다. 전원이 직류의 형태에서 교류의 형태로 바뀌면 시간에 따라 전류의 크기가 바뀌고 또한 이에 따라 전압의 형태 또한 바뀐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이러한 교류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교류 전압의 최대값을 구하는 방법을 알 수 있었다.
의 그래프를 설명하고
V _{R} -f,```V _{L} -f,```V _{C} -f
의 그래프를 그리고 전압의 크기가 진동수에 대해 변하는 이류를 설명하시오.
- 실험결과의
V _{R} -I,```V _{L} -I,```V _{C} -I,```V-I
그래프를 살펴보면
V _{R} =IR
,이기 때문에
V PROPTO I
이다. 그러므로 대체적으로 비례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V={1} over {C} int _{} ^{} {} `Idt
는
V PROPTO I ^{2}
이므로 제곱에 비례하는 형태를 보이며
V _{L} =L {dI} over {dt}
는 이기 때문
I
의 시간에 따른 변화율에 비례한다. 시간에 따른 변화율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V _{C}
의 값은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VR - f 그래프
VL - f 그래프
VC - f 그래프
먼저 VR - f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교류전류의 진동수가 증가하면 최대전류의 값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진동수와 전압의 관계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VC - f의 그래프에서는
V_{ C } (t)=- { 1 } over { omega C } I_{ M } cos( omega t+ psi )
의 관계에서 전류의
omega PROPTO f
의 관계이므로 위의 그래프와 같은 형태를 보인다. VL - f의 그래프에서는 감소하는 최대전류의 비율보다 증가하는 진동수의 비가 더 크기 때문에 약간의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3) R-L-C 회로 실험에서 측정한
V _{M} ```,``V _{R`M } ``,V _{LM} ````,V _{CM}
을 벡터 도형법으로 나타내 보시오.
결론 및 검토
이번 실험은 R-L-C회로를 구성하여 각 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여 전체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여 임피던스(impedance)값을 구하고 위상차
psi
의 값을 구하는 실험이다. 임피던스는 직류회로에서와 같이 전류의 흐름에 저항하는 저항의 값이라고 볼 수 있지만 전류의 값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정현파의 형태로 나타나며, 즉 복소수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 때문에 전압의 값도 일정한 값이 아니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값이다. R-L-C회로를 구성하여 각 단에 걸리는 전압의 합은 전체에 걸리는 전압은 같아야 하지만 실험결과 1
KHz
의 경우 측정된 전압의 합은 전체의 걸리는 전압에 비해서 약 13.46%가 크게 측정이 되었다. 다른 진동수의 범위에서도 각 간에 걸리는 전압의 합이 전체에 걸리는 전압보다 크게 나왔다. 이로 인해서는 임피던스의 값도 큰 오차를 보였다. 이는 각 단의 전압 측정 시에 시간이 충분히 흐른 정상상태에서 측정을 하여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고 급하게 측정한데서 생긴 오류라고 생각된다. 전원이 직류의 형태에서 교류의 형태로 바뀌면 시간에 따라 전류의 크기가 바뀌고 또한 이에 따라 전압의 형태 또한 바뀐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이러한 교류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교류 전압의 최대값을 구하는 방법을 알 수 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