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고전적 전통
제2장 서구 마르크스주의의 도래
제3장 이론과 실천의 분리
제4장 개념의 혁신
제5장 서구 마르크스주의를 넘어서
제2장 서구 마르크스주의의 도래
제3장 이론과 실천의 분리
제4장 개념의 혁신
제5장 서구 마르크스주의를 넘어서
본문내용
서는 부재했던 새로운 주제들 (대부분 사변적인 방식으로)을 발전시키면서 시종일관 염세주의적 색채를 드러냈 다.
원칙상 마르크스주의는 보편과학을 표방한다. 마르크스주의는 현실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 이외에 순전히 민족적이거나 대륙적인 것으로 환원될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서구’라는 용어는 불가피하게 제한된 판단을 함축한다. 보편성의 결여는 진리의 결여를 의미한다. 따라서 서구 마르크스주의는 서구에 한정되었다는 점에서 [보편적 의미의] 마르크스주의가 아니다. 역사유물론은 오직 지역적 편협성에서 해방될 때 온전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 서구 마르크스주의에는 새로운 주제와 개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상부구조에 대한 연구, 그람시에 의해 헤게모니, 유기적 지식인, 진지전 등의 개념이 등장했다. 또한 새로운 이데올로기 이론들이 나타난다. 앤더슨은 무기력한 방법, 위안거리 예술, 비관주의의 침묵을 서구 마르크스주의 특징이라고 본다.
제5장 서구 마르크스주의를 넘어서
현재 노동자계급 운동은 과거에 이론과 실천의 단절로 인해 초래된 장기간의 계급정체를 불식시키면서 새로운 국면으로 나아가고 있다.
프랑스의 5월 혁명은 프랑스만의 고립된 현상에 그치지 않았다. 프랑스에서 프롤레타리아의 핵심 세력들은 조직적으로나 이데올로기적으로 프랑스공산당을 버리지 않았다. 또한 이 봉기는 이듬해에 국제적인 노동자계급 봉기의 물결이 되어 제국주의 세계로 퍼져 나갔다.
산업노동자계급의 실질적인 투쟁으로 재개된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대중투쟁 간의 혁명적 결합은 더욱 견고해졌다. 이런 이론과 실천의 재통합은 마르크스주의 자체를 변화 시키는 것이었다.
1960년대 말에 나타난 변화의 조짐이 서구 마르크스주의애도 영향을 주었다. 관료주의적 속박에서 자유로워진 대중의 혁명운동에 이론과 실천이 재통합된 것은 사실상 서구 마르크스주의 전통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서구 마르크스주의는 자신이 생산한 이론과 실천의 분리가 극복될 때 비로소 소멸할 것이다.
소규모 지식인 집단의 울타리를 넘어 이론이 현실의 대중과 연합하고 대중들 자신이 혁명적일 때, 이론가들은 비로소 침묵하게 될 것이다.
후기
1)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국가와 민족 문제를 경시했고 후기에 정치이론이 부재했다.
2) 레닌은 러시아의 특수성을 간과했고 묵시적인 경제적 파국론에 젖어 있었다.
3) 트로츠키는 영구혁명의 현실 부적합성과 파시즘을 과잉 일반화하는 한계를 안고 있었다.
원칙상 마르크스주의는 보편과학을 표방한다. 마르크스주의는 현실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 이외에 순전히 민족적이거나 대륙적인 것으로 환원될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서구’라는 용어는 불가피하게 제한된 판단을 함축한다. 보편성의 결여는 진리의 결여를 의미한다. 따라서 서구 마르크스주의는 서구에 한정되었다는 점에서 [보편적 의미의] 마르크스주의가 아니다. 역사유물론은 오직 지역적 편협성에서 해방될 때 온전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 서구 마르크스주의에는 새로운 주제와 개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상부구조에 대한 연구, 그람시에 의해 헤게모니, 유기적 지식인, 진지전 등의 개념이 등장했다. 또한 새로운 이데올로기 이론들이 나타난다. 앤더슨은 무기력한 방법, 위안거리 예술, 비관주의의 침묵을 서구 마르크스주의 특징이라고 본다.
제5장 서구 마르크스주의를 넘어서
현재 노동자계급 운동은 과거에 이론과 실천의 단절로 인해 초래된 장기간의 계급정체를 불식시키면서 새로운 국면으로 나아가고 있다.
프랑스의 5월 혁명은 프랑스만의 고립된 현상에 그치지 않았다. 프랑스에서 프롤레타리아의 핵심 세력들은 조직적으로나 이데올로기적으로 프랑스공산당을 버리지 않았다. 또한 이 봉기는 이듬해에 국제적인 노동자계급 봉기의 물결이 되어 제국주의 세계로 퍼져 나갔다.
산업노동자계급의 실질적인 투쟁으로 재개된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대중투쟁 간의 혁명적 결합은 더욱 견고해졌다. 이런 이론과 실천의 재통합은 마르크스주의 자체를 변화 시키는 것이었다.
1960년대 말에 나타난 변화의 조짐이 서구 마르크스주의애도 영향을 주었다. 관료주의적 속박에서 자유로워진 대중의 혁명운동에 이론과 실천이 재통합된 것은 사실상 서구 마르크스주의 전통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서구 마르크스주의는 자신이 생산한 이론과 실천의 분리가 극복될 때 비로소 소멸할 것이다.
소규모 지식인 집단의 울타리를 넘어 이론이 현실의 대중과 연합하고 대중들 자신이 혁명적일 때, 이론가들은 비로소 침묵하게 될 것이다.
후기
1)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국가와 민족 문제를 경시했고 후기에 정치이론이 부재했다.
2) 레닌은 러시아의 특수성을 간과했고 묵시적인 경제적 파국론에 젖어 있었다.
3) 트로츠키는 영구혁명의 현실 부적합성과 파시즘을 과잉 일반화하는 한계를 안고 있었다.
추천자료
현대국제정치론-5.16과 케네디
정치 인종 분쟁의 해결방안
국제정치경제(3대시각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관념적 정치성향과 실제적 정치성향의 일관성 연구
[러시아][한국과 러시아의 정치적 관계][러시아의 대한반도정책 과정][러시아 대한반도정책 ...
후진타오시대의중국정치
중국 정치현황과 정치제도의 이해
[정치학A+]장면정권 성립배경과 장면정부의 정치적 한계 분석 및 장면의 리더십 분석
[개입][정치개입][정부개입][UN개입]개입과 정치개입, 개입과 정부개입, 개입과 UN개입, 개입...
[김정일시대][경제관리사상][국방위원회][조선노동당][북중정치관계]김정일시대의 정책목표, ...
[사회사상과이념] 마키아벨리의 정치사상 - 마키아벨리의 사상형성, 시대적 상황, 마키아벨리...
한국정치의 흐름[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스포츠와 정치)스포츠와 정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