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의 모든것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호흡기계의 구성
*호흡(resporation)이 이루어지는 단계
1. 전도영역
(1) 비강(Nasal cavity)
(2) 인두(Pharynx)
(3) 후두(Larynx)
(4) 기관(Trachea)
(5) 폐
* 호흡의 정의
* 호흡의 종류 (1) 외호흡 (2) 내호흡
2. 폐포(Alveoli)

Ⅱ. 폐환기
1. 흡식
2. 호식
3. 폐 공기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4. 표면장력과 폐의 표면 활성물질
5. 폐용적과 폐용량

Ⅲ. 가스교환
1. 가스분압
2. 가스교환
3. 환기와 관류 비율
4. 혈액과 조직세포 사이의 가스교환

Ⅳ. 가스운반
1. 산소의 운반
2. 탄산가스의 운반
3. 가스운반의 문제점들

Ⅴ. 호흡의 조절
1. 신경성 조절
2. 화학적 조절
3.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문내용

합하여 운반된다. 산소와 헤모글로빈의 결합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혈중 산소분압, 즉, 용해된 산소 농도이다. 헤모글로빈은 산소에 대한 친화성이 크기 때문에 폐를 폐를 떠날 때는 거의 산소로 포함되어 있고 산소분압이 낮은 조직에서 산소를 유리할 수 있다.
(1) Pco2와 pH-운동과 같이 조직의 활동이 증가하는 경우 조직의 Pco2는 증가하고 pH는 감소하게 된다.
(2) 온도-온도가 낮아지면 헤모글로빈의 산소 해리 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즉 우리 몸에 열이 있어 체온이 상승하면 산소 해리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조직에서의 O2 섭취량은 훨씬 많아짐을 알 수 있다.
(3) 2, 3-DPG-해당작용에 의해 생성되며 환원 헤모글로빈에는 친화력이 있으나 산화 헤모글로빈에는 결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2, 3-DPG의 농도가 증가하면 산소에 대한 헤모글로빈의 친화력을 감소시키고 헤모글로빈의 산소 해리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하여 산소가 조직으로 유리되어 이용된다.
2. 탄산가스의 운반
1) 용해 CO2
Henry의 법칙에 따라 용해되며 O2보다 약 20배난 용해도가 높다. 조직에서 생성된 탄산가스는 체액에 용해된 형태로 혈액에 방출된다.
2) HCO3-로서의 CO2
대부분의 CO2는 HCO3-DML 형태로 운반되는데 이 HCO3-는 형장에서 효소의 도움없이 적은양의 CO2가, 또 RBC내에서는 다량의 CO2가 효소의 도움으로 H2CO3로 형성된후 만들어진다.
3) Carbamino 형태의 CO2
혈장단백질이나 헤모글로빈 등 혈액의 각종 단백질의 amino기는 CO2와 결합하여 Carbamino CO2를 형성하는데 단백질의 함량이 큰 적혈구내에서 특히 혈색소가 Carbamino CO2를 많이 형성한다.
3. 가스운반의 문제점
1) 저산소증
저산소증은 산소공급이 생리적 요구량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조직에서 산소가 부족하면 발생하는데, 특히 뇌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공기가 희박한 고산지대에서 eh는 기도 내의 종양, 이물, 천식과 같은 질환에서 생길수 있다
2) 일산화탄소 중독
우리나라에서는 일산화탄소 중독 환자가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일산화 탄소는 헤모글로빈과의 친화성이 산소의 약 210배 이어서 대부분의 헤모글로빈이 일산화탄소가 결합하므로 산소는 헤모글로빈과 결합 할 수 없게 되고 조직에 산소를 공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일산화탄소의 중독은 일차적으로 조직에 산소공급이 부족하여 나타난다. 중독시 중추신경에 대한 증상으로 어지럽고 머리가 아프고 구토를 일으키고 시간이 더 지연되면 의식을 상실하고 끝내는 호흡이 마비되어 사망한다. 또 일산화탄소로 피해를 입는 한가지 이유는 이 가스의 조재하에서는 혈액의 산소해리곡선이 변형되어 일산화탄소 헤모글로빈 농도가 클수로 Po2가 낮은 조직에서도 산소를 유리시키기 힘들다. 헤모글로빈과 결합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려면 폐포에서 혈액과 폐포공기 사이에 분압의 경사를 높여 주는 것, 즉 신선한 공기로 호흡하게 하고 환기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Ⅴ. 호흡의 조절
1. 신경성 조절
1) 호흡중추
호흡중추는 연수와 뇌교에 위치한다. 연수의 호흡중추는 흡식중추와 호식중추로 되어있다. 흡식중추는 흡식뉴론의 무리로 이 영역을 전기 자극하면 흡식이 일어나고 강한 자극을 계속 주면 큰 흡식이 지속된다. 호식중추는 호식뉴런의 무리로 이곳을 자극하면 호식이 일어나고 강한 자극을 계속주면 큰 호식이 지속된다. 흡식중추와 호식중추는 연수의 옆쪽과 뒤에 치우쳐 있으며 서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어느 정도 겹쳐서 얽혀 있고 이 두 중추는 서로 길항적으로 작용한다.
2) 호흡조절
흡식중추와 호식중추는 서로 상역관계에 있어 흡식중추가 흥분하면 호식중추는 억제되기 때문에 기결과 흡식근이 수축하면 흉곽의 용적이 커지고 폐가 확장되어 흡식이 이루어진다.
2. 화학적 조절
1) 중추화학감수체
호흡의 조절에 관여하는 가장 중효한 감수체는 연구표면 가까이 설인신경, 미주신경의 출구 주위에 위치한 감수체들로서, 이부분에 산 혹은 고농도의 CO2용액을 묻혀주면 몇 초 이내에 호흡이 촉진된다. 중추화학감수체는 주로 H+농도에 반응한다.
2) 말초화학감수체
총경동맥의 분지부에 있는 경동맥소체와 대동맥궁 아래위에 위치한 대동맥소체들이다. 말초화학감수체에 맞는 자극은 동맥혈Po2감소, pH감소, Pco2증가이다.
3) Po2 저하에 대한 호흡의 조절
Po2의 감소에 대해서는 말초화학감수체에서만 반응이 나타나며 반응의 민감도도 매우 낮아서 Po2가 60mmHg로 감소해야만 환기량의 증가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4) Pco2에 대한 호흡의 조절
호흡은 Pco2와 H+농도에 대해 비교적 예민하다. 동맥혈 Pco2는 40mmHg이다. 이것이 2mmHg만 높아져도 호흡은 현저하게 촉진되어 1분 호흡용적이 거의 평상시의 2배가 된다.
3.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운동시 호흡의 변화
운동시 산소가 빠르게 소모되고 CO2가 생성된다. 따라서 운동을 하는 동안은 안정시에 비해 더 많은 산소가 요구되고 더 많은 CO2가 배출되어야 한다. 또한 운동을 하는 동안 호흡의 수와 깊이가 증가 하며 심한 운동을 하는 중에는 폐포에 도달하는 공기량이 휴식때보다 20배 정도 증가한다.
2)수면시 호흡의 변화
수면중의 환기량은 신체의 에너지 사용 감소보다 정상적으로 더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동맥혈 Po2는 감소하고 Pco2는 증가한다. 수면중 이런 환기량 감소 경향은 수면 무호흡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는 심각하고 위험할 정도로 심해지기도 한다.
3)노화에 따른 호흡의 변화
연령이 증가할수록 호흡기계 조직의 변화가 생겨 흉벽이 더 단단해지고 폐의 탄력성이 줄게 된다. 따라서 연령에 따라 총 폐용적은 변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흉벽의 경직과 폐의 탄력성 소실로 환기능력이 저하된다.
4)기타
그이외에도 심한 통증이 있을 때, 호흡이 빨라지고 깊어지며 갑자기 찬 것을 몸에 대면 반사적으로 무호흡과 이에 이어 환기가 증가된다. 혈압이 하강하면 환기가 증가하고 혈압이 상승하면 호흡 수가 증가한다. 체온증가시 세포대사의 증가로 호흡수가 증가하며 체온 하강시 얕고 느리게 호흡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1.14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18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