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관찰 내용
3. 관찰 방법
4. 관찰 결과
(1)정서의 출현 및 표현
(2)정서의 이해능력
(3)정서규제 능력-
(4)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서발달의 개인차
5.결론
2. 관찰 내용
3. 관찰 방법
4. 관찰 결과
(1)정서의 출현 및 표현
(2)정서의 이해능력
(3)정서규제 능력-
(4)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서발달의 개인차
5.결론
본문내용
와 자기가 아는 것을 먼저 말하기도 하면서 웃었다.
수치스러움: 어떠한 행동을 시킨 후 못했을 때 핀잔을 주었다.
yes
일단 아기는 못들은 척 회피하는 모습을 보였고 딴청을 피웠다. (혼자 손가락을 만지작거린다거나 하는 모른척하는 반응) 어머니의 말씀으로는 바보라는 말의 뜻은 알고 있어서 우리가 예준이 바보~라고 했을 때 살짝 삐지는 모습도 보였다. 그러나 아직 수치스러움은 잘 모르는 것 같다고 하셨다. 바지에 오줌을 싼다거나 했을 때 수치스럽거나 창피해하지는 않는다는 것.
죄책감 : 본인의 실수로 상대방이 아파하는 모습을 보일 때
yes
잘못한 것을 알면서도 일단 모른 척 했지만 곧 미안함을 표현했다.
이 아기는 '미안해'라는 말을 잘 했는데 아기가 누구를 때리거나 했을 때 부모님이 '미안해'라고 해야지 하고 말을 늘 했기 때문에 ‘미안해’란 말을 잘 할 수 있을 가능성 도 있음.
(2)정서의 이해능력
situation
24개월
7개월
화난 얼굴, 슬픈 얼굴, 행복한 얼굴을 구분하고 어느 얼굴을 가장 오랫동안 쳐다봤는가?
yes
no
웃는 얼굴을 가장 오래 쳐다보았고 화나거나 슬픈 얼굴을 보면 외면했다.(아닌 척, 모른
척)
엄마가 아기를 보며 화난 얼굴, 슬픈 얼굴, 행복한 얼굴을 지어 보였을 때는 구분하지 못하고 그저 웃기만 하였다. 시간이 지나자 엄마 얼굴에 손을 갖다 대거나 딴 곳을 쳐다보기도 하였다.
어머니의 표정과 목소리를 달리했을 때 영아의 반응은 어떠한가?(★서술)
어머니가 갑자기 화내면서 낮은 목소리로 이야기 하자 하던 행동을 즉각적으로 멈추고 눈치를 살피면서 조용해졌다.
낯선 물체 앞에서 어머니가 두려운 표정을 짓고 있을 경우 아기의 반응은?(★서술)
교회안의 음향기계를 보고 어머니가 두려운 표정을 짓자 아기는 일단 엄마의 표정과 엄마가 보고 있는 물체를 쳐다보며 자신도 그것이 자신에게 해를 줄 물체인가를 스스로 판단하려는 듯, 살펴보듯. 약간은 불안해하기도 했다.(엄마의 다리를 잡고 뒤로 숨는 듯한 행동 취함) 사회적 참조행동 보임
아기의 모습을 사진에 담으려 카메라를 꺼내자 흥미로운 눈길로 쳐다보았으며 그다지 경계의 눈길로 보지는 않았다. 어머니가 손짓으로 가리키자 안심하고 만져보려고도 하였다. 손에 잡히는 물건은 뭐든지 입으로 가져갔으며 혼자서도 잘 뒤집었다.
(3)정서규제 능력
24개월
7개월
엄마가 혼을 내자 시선을 피하며 손을 꼼지락 거리는 행동으로 아기에게 주어진 자극을 조절하려고 애썼다. 그리고 아기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바지에 쉬를 한다거나, 부모님이 보는 앞에서 쉬를 한다고 말하고 부모님이 보고 있어도 바닥에다 그냥 싸는 등의 행동을 하여 부모에게 자신이 지금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것을 표현한다고 한다. 부모님이 이런 아기의 행동을 알고 계셔서 아기가 이런 행동을 보일 때 적절한 반응을 취할 수 있다고 하셨다.
관찰 대상 아기는 생후 7개월된 아기로, 아직 스스로 정서를 조절하는 정서규제 능력이 덜 발달하여 성인에게 의존하는 수준이었다. 자신의 정서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울음이나 목울림 소리, 웃음 등으로 표현을 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실제로 그러한 아기의 표현으로 아기 엄마가 아기에게 반응을 보였고 아기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려고 노력하였다.
(4)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서발달의 개인차
situation
24개월
7개월
아이의 분노 표현에 대해서 어머니의 표현은 부정적인가 아니면 동정적인가?
동정적
동정적
부정적이지는 않았다. 화를
내거나 꾸짖지 않았다. 아기를 달래면서 아기가 왜 그러는지에 대해 잘 파악하고 계신 듯 했다.
긍정적이고 동정적이었고 아기도 어머니의 표현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수치스러움: 어떠한 행동을 시킨 후 못했을 때 핀잔을 주었다.
yes
일단 아기는 못들은 척 회피하는 모습을 보였고 딴청을 피웠다. (혼자 손가락을 만지작거린다거나 하는 모른척하는 반응) 어머니의 말씀으로는 바보라는 말의 뜻은 알고 있어서 우리가 예준이 바보~라고 했을 때 살짝 삐지는 모습도 보였다. 그러나 아직 수치스러움은 잘 모르는 것 같다고 하셨다. 바지에 오줌을 싼다거나 했을 때 수치스럽거나 창피해하지는 않는다는 것.
죄책감 : 본인의 실수로 상대방이 아파하는 모습을 보일 때
yes
잘못한 것을 알면서도 일단 모른 척 했지만 곧 미안함을 표현했다.
이 아기는 '미안해'라는 말을 잘 했는데 아기가 누구를 때리거나 했을 때 부모님이 '미안해'라고 해야지 하고 말을 늘 했기 때문에 ‘미안해’란 말을 잘 할 수 있을 가능성 도 있음.
(2)정서의 이해능력
situation
24개월
7개월
화난 얼굴, 슬픈 얼굴, 행복한 얼굴을 구분하고 어느 얼굴을 가장 오랫동안 쳐다봤는가?
yes
no
웃는 얼굴을 가장 오래 쳐다보았고 화나거나 슬픈 얼굴을 보면 외면했다.(아닌 척, 모른
척)
엄마가 아기를 보며 화난 얼굴, 슬픈 얼굴, 행복한 얼굴을 지어 보였을 때는 구분하지 못하고 그저 웃기만 하였다. 시간이 지나자 엄마 얼굴에 손을 갖다 대거나 딴 곳을 쳐다보기도 하였다.
어머니의 표정과 목소리를 달리했을 때 영아의 반응은 어떠한가?(★서술)
어머니가 갑자기 화내면서 낮은 목소리로 이야기 하자 하던 행동을 즉각적으로 멈추고 눈치를 살피면서 조용해졌다.
낯선 물체 앞에서 어머니가 두려운 표정을 짓고 있을 경우 아기의 반응은?(★서술)
교회안의 음향기계를 보고 어머니가 두려운 표정을 짓자 아기는 일단 엄마의 표정과 엄마가 보고 있는 물체를 쳐다보며 자신도 그것이 자신에게 해를 줄 물체인가를 스스로 판단하려는 듯, 살펴보듯. 약간은 불안해하기도 했다.(엄마의 다리를 잡고 뒤로 숨는 듯한 행동 취함) 사회적 참조행동 보임
아기의 모습을 사진에 담으려 카메라를 꺼내자 흥미로운 눈길로 쳐다보았으며 그다지 경계의 눈길로 보지는 않았다. 어머니가 손짓으로 가리키자 안심하고 만져보려고도 하였다. 손에 잡히는 물건은 뭐든지 입으로 가져갔으며 혼자서도 잘 뒤집었다.
(3)정서규제 능력
24개월
7개월
엄마가 혼을 내자 시선을 피하며 손을 꼼지락 거리는 행동으로 아기에게 주어진 자극을 조절하려고 애썼다. 그리고 아기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바지에 쉬를 한다거나, 부모님이 보는 앞에서 쉬를 한다고 말하고 부모님이 보고 있어도 바닥에다 그냥 싸는 등의 행동을 하여 부모에게 자신이 지금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것을 표현한다고 한다. 부모님이 이런 아기의 행동을 알고 계셔서 아기가 이런 행동을 보일 때 적절한 반응을 취할 수 있다고 하셨다.
관찰 대상 아기는 생후 7개월된 아기로, 아직 스스로 정서를 조절하는 정서규제 능력이 덜 발달하여 성인에게 의존하는 수준이었다. 자신의 정서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울음이나 목울림 소리, 웃음 등으로 표현을 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실제로 그러한 아기의 표현으로 아기 엄마가 아기에게 반응을 보였고 아기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려고 노력하였다.
(4)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서발달의 개인차
situation
24개월
7개월
아이의 분노 표현에 대해서 어머니의 표현은 부정적인가 아니면 동정적인가?
동정적
동정적
부정적이지는 않았다. 화를
내거나 꾸짖지 않았다. 아기를 달래면서 아기가 왜 그러는지에 대해 잘 파악하고 계신 듯 했다.
긍정적이고 동정적이었고 아기도 어머니의 표현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추천자료
영유아 인지발달
영유아의 발달적 특성 및 적절한 보육 프로그램
영유아 정서발달
인지발달보고서(영유아보육론)
영유아의 듣기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언어활동을 구체적으로 계획하시오
영유아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가정과 기관의 역할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체계적인 수과학교육을 위한 영역의 구성 원리에 대해서 설명.
영유아 발달에 적합한 보육환경의 구성
영유아 발달과 놀이
영유아 발달과 놀이 ppt자료
영유아 발달적 특성 및 바람직한 교사의역할, 나의 각오와 교사상
언어발달이론에 근거한 영유아 언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조사하세요.
영유아의 발달단계에 따른 특성과 요구에 대해 정리하고 이 시기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