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 메모하며 읽기
1)내나무
2)하회마을
3)가정교육의 어제와 오늘
보충심화
1)유비에관한일화
2)바보의사이야기
유형익히기
1)내나무
2)하회마을
3)가정교육의 어제와 오늘
보충심화
1)유비에관한일화
2)바보의사이야기
유형익히기
본문내용
하도록 훈계하는 말씀이 아침저녁으로 잇따랐다. 말씀을 듣고만 있으면 되는 것이 아니라 곧 그대로 실천(實踐)에 옮겨야 하였다.
(라) 일을 시키는 것도 인간 교육의 중요한 실습(實習)이었다. 특히, 딸들은 시집 간 뒤에 흉을 잡히지 않도록 바느질이며 부엌일 따위를 실습으로 익혀야 했다. 그것은 또 가사(家事)를 도움으로써 사회 참여와 협동 정신을 습득하는 훈련이기도 하였다.
(마) 종아리를 맞는 것은 상당히 고통스러운 일이었다. 예의범절에 대한 교훈을 받는 것도 그리 유쾌한 순간은 아니었으며, ‘또 잔소리를 하시는구나.’ 하는 불평을 느끼는 때가 많았다. 가사를 돕는 일도 잠깐일 때에는 좋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릴 때에는 부담스러웠다. 그러나 지금 돌이켜보면 그런 훈련의 과정을 밟은 것이 후일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핵심어] ★★
(가)에서 말하는 중심 내용은? ①
① 내나무 풍속의 의의② 내나무의 정의
③ 내나무의 용도④ 내나무의 종류
⑤ 내나무의 유래
[글을 쓰는 목적] ★★
(나)와 같은 글을 쓰는 목적으로 알맞은 것은? ⑤
① 여행을 통해 반성의 계기로 삼는다.
② 생각과 느낌을 주로 표현한다.
③ 독자에게 올바른 여행을 하도록 설득한다.
④ 여행의 참다운 가치에 대해 논한다.
⑤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안내한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6~20)
(가) 내가 태어난 갈재의 깊은 산촌에는 예로부터 아이가 태어나면 그 아이 몫으로 나무를 심는 풍속이 있었다. 딸을 낳으면 그 딸아이의 몫으로 논두렁에 오동나무 몇 그루를 심고, 아들을 낳으면 선산에 그 아들 몫으로 소나무나 잣나무를 심었다. 이렇게 탄생과 더불어 심은 나무가 그 아이에게 있어 내나무인 것이다.
(나) 딸이 성장하여 시집 갈 나이가 되고 혼례 치를 날을 받으면, 십수 년간 자란 이 내나무를 잘라 농짝이나 반닫이 등의 가구를 만들어 주었다. 아들의 경우, 내나무는 나무의 주인이 죽을 때까지 계속해서 자라게 둔다. 60년 안팎 자란 내나무는 우람한 나무가 되게 마련이다. 이 내나무는 주인의 관을 짜는 데 사용되었다.
(다) 이처럼 내나무는 나의 탄생과 더불어 나와 숙명을 같이하고 죽을 때에는 더불어 묻히는 존재였다. 이 세상에 자연과 인생이 이토록 밀접한 동반 관계를 맺고 사는 나라가 있었을까 싶다. 그런데 이제는 내나무도 우리나라의 사라진 풍속 중의 하나가 되고 말았다.
(라) 하회 마을에는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전통 가옥들이 많이 남아 있다. 솟을 대문을 세운 거대한 규모의 양진당, 충효당, 북촌댁, 하동 고택과 같은 양반집과 서민 가옥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하회 마을의 전통 가옥들은 조선 초기부터 후기에 이르는 살림집의 다양한 양식들을 보여 주는 좋은 자료인데, 일반인들이 보기에도 정감이 가고 아름답다.
(마) 하회 마을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부용대도 하회 마을의 명소이다. 부용대는 하회 마을을 내려다 볼 수 있는 높다란 언덕이다. 화천 서원에서 언덕을 따라 5분 정도 걸으면 부용대에 닿는다. 부용대에 올라가면 하회(河回)라는 마을 이름 그대로 강물이 마을을 한 바퀴 휘돌아 나가는 아름다운 하회 마을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가 있다.
[메모하기]
다음은 (가)~(다)의 중심 내용을 메모한 것이다.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차례로 쓰시오. ㉠ 오동 나무 ㉡ 관
내나무 ― 딸 - ( ㉠ ) - 시집갈 때 - 가구
아들 - 소나무, 잣나무 - 죽을 때 - ( ㉡ )
[문단의 이해] ★★
(가)~(다)에 쓰인 ‘내나무’의 의미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③
① 내가 심는 나무
② 내게 필요한 것을 주는 나무
③ 내 일생과 함께 하는 나무
④ 나를 지켜주는 나무
⑤ 내가 좋아하는 나무
[문단의 이해]
(라)~(마)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정답 2개) ②, ③
① 여행을 하면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적은 글이다.
② 여행 정보를 알려 주는 글이다.
③ 정확하고 객관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쓴다.
④ 지은이의 개성을 잘 알 수 있는 글이다.
⑤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는 글이다.
[메모하기]
(라)~(마)를 읽을 때 반드시 메모해야 할 내용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④
① 여행지의 위치는 어디인가?
② 문화 유산이나 명소로 무엇이 있는가?
③ 교통편은 어떠한가?
④ 친구들은 언제 갔다 왔는가?
⑤ 숙박 시설과 걸리는 시간은 얼마나 되는가?
[단어의 이해] ★★
하회 마을의 ‘하회’라는 이름의 뜻을 (마)에서 찾아 5어절 이내로 쓰시오.강물이 마을을 한바퀴 휘돌아 나가는
(라) 일을 시키는 것도 인간 교육의 중요한 실습(實習)이었다. 특히, 딸들은 시집 간 뒤에 흉을 잡히지 않도록 바느질이며 부엌일 따위를 실습으로 익혀야 했다. 그것은 또 가사(家事)를 도움으로써 사회 참여와 협동 정신을 습득하는 훈련이기도 하였다.
(마) 종아리를 맞는 것은 상당히 고통스러운 일이었다. 예의범절에 대한 교훈을 받는 것도 그리 유쾌한 순간은 아니었으며, ‘또 잔소리를 하시는구나.’ 하는 불평을 느끼는 때가 많았다. 가사를 돕는 일도 잠깐일 때에는 좋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릴 때에는 부담스러웠다. 그러나 지금 돌이켜보면 그런 훈련의 과정을 밟은 것이 후일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핵심어] ★★
(가)에서 말하는 중심 내용은? ①
① 내나무 풍속의 의의② 내나무의 정의
③ 내나무의 용도④ 내나무의 종류
⑤ 내나무의 유래
[글을 쓰는 목적] ★★
(나)와 같은 글을 쓰는 목적으로 알맞은 것은? ⑤
① 여행을 통해 반성의 계기로 삼는다.
② 생각과 느낌을 주로 표현한다.
③ 독자에게 올바른 여행을 하도록 설득한다.
④ 여행의 참다운 가치에 대해 논한다.
⑤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안내한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6~20)
(가) 내가 태어난 갈재의 깊은 산촌에는 예로부터 아이가 태어나면 그 아이 몫으로 나무를 심는 풍속이 있었다. 딸을 낳으면 그 딸아이의 몫으로 논두렁에 오동나무 몇 그루를 심고, 아들을 낳으면 선산에 그 아들 몫으로 소나무나 잣나무를 심었다. 이렇게 탄생과 더불어 심은 나무가 그 아이에게 있어 내나무인 것이다.
(나) 딸이 성장하여 시집 갈 나이가 되고 혼례 치를 날을 받으면, 십수 년간 자란 이 내나무를 잘라 농짝이나 반닫이 등의 가구를 만들어 주었다. 아들의 경우, 내나무는 나무의 주인이 죽을 때까지 계속해서 자라게 둔다. 60년 안팎 자란 내나무는 우람한 나무가 되게 마련이다. 이 내나무는 주인의 관을 짜는 데 사용되었다.
(다) 이처럼 내나무는 나의 탄생과 더불어 나와 숙명을 같이하고 죽을 때에는 더불어 묻히는 존재였다. 이 세상에 자연과 인생이 이토록 밀접한 동반 관계를 맺고 사는 나라가 있었을까 싶다. 그런데 이제는 내나무도 우리나라의 사라진 풍속 중의 하나가 되고 말았다.
(라) 하회 마을에는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전통 가옥들이 많이 남아 있다. 솟을 대문을 세운 거대한 규모의 양진당, 충효당, 북촌댁, 하동 고택과 같은 양반집과 서민 가옥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하회 마을의 전통 가옥들은 조선 초기부터 후기에 이르는 살림집의 다양한 양식들을 보여 주는 좋은 자료인데, 일반인들이 보기에도 정감이 가고 아름답다.
(마) 하회 마을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부용대도 하회 마을의 명소이다. 부용대는 하회 마을을 내려다 볼 수 있는 높다란 언덕이다. 화천 서원에서 언덕을 따라 5분 정도 걸으면 부용대에 닿는다. 부용대에 올라가면 하회(河回)라는 마을 이름 그대로 강물이 마을을 한 바퀴 휘돌아 나가는 아름다운 하회 마을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가 있다.
[메모하기]
다음은 (가)~(다)의 중심 내용을 메모한 것이다.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차례로 쓰시오. ㉠ 오동 나무 ㉡ 관
내나무 ― 딸 - ( ㉠ ) - 시집갈 때 - 가구
아들 - 소나무, 잣나무 - 죽을 때 - ( ㉡ )
[문단의 이해] ★★
(가)~(다)에 쓰인 ‘내나무’의 의미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③
① 내가 심는 나무
② 내게 필요한 것을 주는 나무
③ 내 일생과 함께 하는 나무
④ 나를 지켜주는 나무
⑤ 내가 좋아하는 나무
[문단의 이해]
(라)~(마)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정답 2개) ②, ③
① 여행을 하면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적은 글이다.
② 여행 정보를 알려 주는 글이다.
③ 정확하고 객관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쓴다.
④ 지은이의 개성을 잘 알 수 있는 글이다.
⑤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는 글이다.
[메모하기]
(라)~(마)를 읽을 때 반드시 메모해야 할 내용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④
① 여행지의 위치는 어디인가?
② 문화 유산이나 명소로 무엇이 있는가?
③ 교통편은 어떠한가?
④ 친구들은 언제 갔다 왔는가?
⑤ 숙박 시설과 걸리는 시간은 얼마나 되는가?
[단어의 이해] ★★
하회 마을의 ‘하회’라는 이름의 뜻을 (마)에서 찾아 5어절 이내로 쓰시오.강물이 마을을 한바퀴 휘돌아 나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