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삶과 도덕 - 2.개성 신장과 인격 도야
기출문제 삶과 도덕
1 삶의 의미와 도덕
2 개성 신장과 인격 도야
3 인물 학습(원효, 석가모니)
기출문제 삶과 도덕
1 삶의 의미와 도덕
2 개성 신장과 인격 도야
3 인물 학습(원효, 석가모니)
본문내용
통적인 삶의 모습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③
선비 군자 신사
① 자신의 이기적인 나쁜 욕심을 억제하였다.
② 옳은 일은 자신에게 손해가 되어도 실천했다.
③ 아는 것, 믿는 것, 행하는 것이 각각 달랐다.
④ 바른 삶을 살기 위하여 항상 반성하였다.
⑤ 자신의 인격완성을 위하여 꾸준히 노력했다.
[인격자]
다음 중 인격자의 의미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⑤
① 사람다운 품성을 지닌 사람
② 도덕적 신념을 발휘하는 사람
③ 생각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
④ 자기 욕망을 조절할 줄 아는 사람
⑤ 다른 사람으로부터 존경을 받는 사람
인물 학습(원효, 석가모니)
[원효]
원효는 의상과 함께 당나라로 유학 가던 중 밤에 토굴에서 잠을 자다가 목이 말라 해골에 고인 물을 마시고 다음 글과 같은 말을 했다. 이 때 원효가 얻은 깨달음으로 옳은 것은? ③
한 가지 마음이 일어나면 모든 깨달음이 일어나고 한 가지 마음이 사라지면 모든 깨달음은 사라진다. 모든 세상은 오직 마음뿐이고 모든 깨달음도 마음속에 있으니 어찌 따로 구하려고 할 것인가?
①당으로 휴학 가는 것보다는 신라에서 공부하는 것이 낫다.
② 친구만을 두고 혼자 신라로 돌아가는 것은 나쁘다.
③모든 진리는 밖에 보이는 현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 속에 있는 것이다.
④ 해골에 괸 물을 모르고 먹으면 안 된다.
⑤ 해탈하기 위해서는 불경을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석가모니]
석가모니는 출사하여 6년의 수행 끝에 보리수나무 아래서 진리를 깨달았다. 석가모니가 깨달은 진리의 내용이 아닌 것은? ⑤
① 사람의 생(生)은 괴로움으로 가득 차 있다.
② 인간의 마음에는 쓸데없는 욕심이나 나쁜 생각이 있다.
③ 인간의 괴로움의 근거는 진리를 모르는 데서 기인한다.
④자신이 영원히 산다고 착각하지 말고 참다운 자신을 깨달아 해탈에 이르러야 한다.
⑤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행복이다.
[원효] ★
원효가 승려가 되기로 결심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①
① 삶에 대한 반성과 허무감 때문에
② 출신 성분에 대한 회의가 있어서
③ 사회적인 명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④ 보다 높은 무술 실력을 쌓기 위하여
⑤ 당나라에 유학을 가는데 승려의 신분이 필요해서
[원효] ★
다음 중 원효의 사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③
① 누구나 진리에 가까이 갈 수 있다.
② 모든 깨달음은 마음 속에 달려 있다.
③ 인간의 삶은 괴로움으로 가득 차 있다고 보았다.
④ 모든 대립된 것들은 하나로 합해질 수 있다.
⑤마음의 참모습을 깨달으면 모든 것을 올바르게 볼 수 있다.
[석가모니]
다음은 석가모니의 사상을 적어놓은 것이다. 바르게 설명되지 못한 것은? ④
① 인간의 삶은 괴로움으로 가득 차 있다.
②인간의 삶을 괴롭게 하는 근본 원인은 마음 속에 있는 쓸데없는 욕심이나 나쁜 생각에 있다.
③인간의 모든 괴로움의 원인을 알고 마음을 잘 다스린다면 진리를 깨달을 수가 있다.
④진리를 깨닫고 난 후의 인간은 영원히 죽지 않고 행복하게 살 수 있다.
⑤진리를 깨달아 열반의 상태에 이른 것을 ‘해탈’했다고 한다.
[원효] ★★★
원효가 다음과 같이 주장을 하면서 사용한 말은? ②
“서로 다른 의견을 존중해야 한다. 서로 다른 것이 왜 다른지를 알게 되면 그 대립을 합리적인 도리에 따라 해결할 수 있다.”
① 일심(一心)② 화쟁(和諍)③ 고행(苦行)
④ 사색(思索)⑤ 해탈(解脫)
[원효] ★★
원효는 의상대사와 함께 당나라로 가던 도중 해골 물을 마신 사건을 계기로 하여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라는 것을 깨닫고 신라로 돌아와 진리를 대중에게 전파했다. 원효의 이 사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③
①무애 사상②박애 사상③일심 사상
④화쟁 사상⑤대중 사상
[원효] ★
원효가 어려서부터 능했던 삼학(三學)에 대한 옳은 설명을 두 가지 고르면? ③, ⑤
① 유교, 불교, 도교를 뜻한다.
② 화랑도로서 배우는 말타기, 활쏘기, 검술이다.
③ 불교의 진리를 담고 있는 학문이다.
④ 효경, 시경, 역경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⑤몸을 바르게 하며 마음을 흔들리지 않게 하고, 바르고 그른 것을 구분하게 하는 공부이다.
[석가모니] ★★★
석가모니가 ‘인간의 괴로움’의 근본원인이라고 본 것은? ⑤
①욕심과 재물②나쁜 생각과 질병
③늙음과 죽음④태어나고 죽는 것
⑤쓸데없는 욕심과 나쁜 생각
[석가모니] ★
자신의 참된 모습을 깨닫는 방법으로 석가모니가 제시한 것이 아닌 것은? ⑤
①올바른 견해②올바르게 사유(思惟)
③올바른 말④올바른 기억
⑤올바른 독서
[삼학] ★
불교의 진리를 담고 있는 삼학(三學)의 궁극 목적은? ④
① 무병장수② 입신양명
③ 물질적 풍요로움④ 인간의 괴로움 제거
⑤ 가정의 화목
[석가모니] ★★★
마음을 갈고 닦아서 마음 속에 있는 쓸데없는 욕심이나 나쁜 생각들을 몰아내는 것을 불교 용어로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시오. 해탈
[원효] ★★★
다음은 원효의 사상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르지 못한 것은? ④
①모든 것은 사람의 마음 속에 달려 있으므로, 자기 자신을 먼저 다스려야 한다.
②‘화쟁 사상’이란 불교의 어느 한 종파에 집착하지 않고 다른 것도 모두 참모습을 깨달으면 진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③‘일심 사상’이란 인간의 마음을 깊이 통찰하여 마음의 근원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④원효는 ‘화쟁 사상’을 통하여 서로 다른 의견 존중보다는 자기 자신만의 진리추구를 강조하였다.
⑤원효가 진리를 깨닫게 된 계기는 해골에 괸 물을 마시면서였다.
[석가모니] ★★
다음은 석가모니의 사상이다. ( ) 안에 알맞은 말은 무엇인가? ④
인간의 모든 괴로움의 원인을 알고, 마음을 다스린다면 진리를 깨달아 ( )에 이를 수 있다.
① 정견② 팔정도③ 정명
④ 열반⑤ 천국
[원효] ★
원효가 깨달음을 통해서 백성들에게 전하려고 한 것과 거리가 먼 것은? ②
① 누구나 진리에 가까이 갈 수 있다.
② 산 속에 들어가 혼자 정진하여라.
③ 모든 깨달음은 마음속에 달려 있다.
④ 대립된 것들은 하나가 될 수 있다.
⑤ 서로 다른 의견을 존중하여 주자.
[석가모니]
석가모니가 네 개의 성 밖에서 깨닫게 된 인간의 삶에 대한 네 가지 진리는 무엇인지 쓰시오. 생로병사(生老病死)
선비 군자 신사
① 자신의 이기적인 나쁜 욕심을 억제하였다.
② 옳은 일은 자신에게 손해가 되어도 실천했다.
③ 아는 것, 믿는 것, 행하는 것이 각각 달랐다.
④ 바른 삶을 살기 위하여 항상 반성하였다.
⑤ 자신의 인격완성을 위하여 꾸준히 노력했다.
[인격자]
다음 중 인격자의 의미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⑤
① 사람다운 품성을 지닌 사람
② 도덕적 신념을 발휘하는 사람
③ 생각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
④ 자기 욕망을 조절할 줄 아는 사람
⑤ 다른 사람으로부터 존경을 받는 사람
인물 학습(원효, 석가모니)
[원효]
원효는 의상과 함께 당나라로 유학 가던 중 밤에 토굴에서 잠을 자다가 목이 말라 해골에 고인 물을 마시고 다음 글과 같은 말을 했다. 이 때 원효가 얻은 깨달음으로 옳은 것은? ③
한 가지 마음이 일어나면 모든 깨달음이 일어나고 한 가지 마음이 사라지면 모든 깨달음은 사라진다. 모든 세상은 오직 마음뿐이고 모든 깨달음도 마음속에 있으니 어찌 따로 구하려고 할 것인가?
①당으로 휴학 가는 것보다는 신라에서 공부하는 것이 낫다.
② 친구만을 두고 혼자 신라로 돌아가는 것은 나쁘다.
③모든 진리는 밖에 보이는 현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 속에 있는 것이다.
④ 해골에 괸 물을 모르고 먹으면 안 된다.
⑤ 해탈하기 위해서는 불경을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석가모니]
석가모니는 출사하여 6년의 수행 끝에 보리수나무 아래서 진리를 깨달았다. 석가모니가 깨달은 진리의 내용이 아닌 것은? ⑤
① 사람의 생(生)은 괴로움으로 가득 차 있다.
② 인간의 마음에는 쓸데없는 욕심이나 나쁜 생각이 있다.
③ 인간의 괴로움의 근거는 진리를 모르는 데서 기인한다.
④자신이 영원히 산다고 착각하지 말고 참다운 자신을 깨달아 해탈에 이르러야 한다.
⑤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행복이다.
[원효] ★
원효가 승려가 되기로 결심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①
① 삶에 대한 반성과 허무감 때문에
② 출신 성분에 대한 회의가 있어서
③ 사회적인 명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④ 보다 높은 무술 실력을 쌓기 위하여
⑤ 당나라에 유학을 가는데 승려의 신분이 필요해서
[원효] ★
다음 중 원효의 사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③
① 누구나 진리에 가까이 갈 수 있다.
② 모든 깨달음은 마음 속에 달려 있다.
③ 인간의 삶은 괴로움으로 가득 차 있다고 보았다.
④ 모든 대립된 것들은 하나로 합해질 수 있다.
⑤마음의 참모습을 깨달으면 모든 것을 올바르게 볼 수 있다.
[석가모니]
다음은 석가모니의 사상을 적어놓은 것이다. 바르게 설명되지 못한 것은? ④
① 인간의 삶은 괴로움으로 가득 차 있다.
②인간의 삶을 괴롭게 하는 근본 원인은 마음 속에 있는 쓸데없는 욕심이나 나쁜 생각에 있다.
③인간의 모든 괴로움의 원인을 알고 마음을 잘 다스린다면 진리를 깨달을 수가 있다.
④진리를 깨닫고 난 후의 인간은 영원히 죽지 않고 행복하게 살 수 있다.
⑤진리를 깨달아 열반의 상태에 이른 것을 ‘해탈’했다고 한다.
[원효] ★★★
원효가 다음과 같이 주장을 하면서 사용한 말은? ②
“서로 다른 의견을 존중해야 한다. 서로 다른 것이 왜 다른지를 알게 되면 그 대립을 합리적인 도리에 따라 해결할 수 있다.”
① 일심(一心)② 화쟁(和諍)③ 고행(苦行)
④ 사색(思索)⑤ 해탈(解脫)
[원효] ★★
원효는 의상대사와 함께 당나라로 가던 도중 해골 물을 마신 사건을 계기로 하여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라는 것을 깨닫고 신라로 돌아와 진리를 대중에게 전파했다. 원효의 이 사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③
①무애 사상②박애 사상③일심 사상
④화쟁 사상⑤대중 사상
[원효] ★
원효가 어려서부터 능했던 삼학(三學)에 대한 옳은 설명을 두 가지 고르면? ③, ⑤
① 유교, 불교, 도교를 뜻한다.
② 화랑도로서 배우는 말타기, 활쏘기, 검술이다.
③ 불교의 진리를 담고 있는 학문이다.
④ 효경, 시경, 역경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⑤몸을 바르게 하며 마음을 흔들리지 않게 하고, 바르고 그른 것을 구분하게 하는 공부이다.
[석가모니] ★★★
석가모니가 ‘인간의 괴로움’의 근본원인이라고 본 것은? ⑤
①욕심과 재물②나쁜 생각과 질병
③늙음과 죽음④태어나고 죽는 것
⑤쓸데없는 욕심과 나쁜 생각
[석가모니] ★
자신의 참된 모습을 깨닫는 방법으로 석가모니가 제시한 것이 아닌 것은? ⑤
①올바른 견해②올바르게 사유(思惟)
③올바른 말④올바른 기억
⑤올바른 독서
[삼학] ★
불교의 진리를 담고 있는 삼학(三學)의 궁극 목적은? ④
① 무병장수② 입신양명
③ 물질적 풍요로움④ 인간의 괴로움 제거
⑤ 가정의 화목
[석가모니] ★★★
마음을 갈고 닦아서 마음 속에 있는 쓸데없는 욕심이나 나쁜 생각들을 몰아내는 것을 불교 용어로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시오. 해탈
[원효] ★★★
다음은 원효의 사상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르지 못한 것은? ④
①모든 것은 사람의 마음 속에 달려 있으므로, 자기 자신을 먼저 다스려야 한다.
②‘화쟁 사상’이란 불교의 어느 한 종파에 집착하지 않고 다른 것도 모두 참모습을 깨달으면 진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③‘일심 사상’이란 인간의 마음을 깊이 통찰하여 마음의 근원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④원효는 ‘화쟁 사상’을 통하여 서로 다른 의견 존중보다는 자기 자신만의 진리추구를 강조하였다.
⑤원효가 진리를 깨닫게 된 계기는 해골에 괸 물을 마시면서였다.
[석가모니] ★★
다음은 석가모니의 사상이다. ( ) 안에 알맞은 말은 무엇인가? ④
인간의 모든 괴로움의 원인을 알고, 마음을 다스린다면 진리를 깨달아 ( )에 이를 수 있다.
① 정견② 팔정도③ 정명
④ 열반⑤ 천국
[원효] ★
원효가 깨달음을 통해서 백성들에게 전하려고 한 것과 거리가 먼 것은? ②
① 누구나 진리에 가까이 갈 수 있다.
② 산 속에 들어가 혼자 정진하여라.
③ 모든 깨달음은 마음속에 달려 있다.
④ 대립된 것들은 하나가 될 수 있다.
⑤ 서로 다른 의견을 존중하여 주자.
[석가모니]
석가모니가 네 개의 성 밖에서 깨닫게 된 인간의 삶에 대한 네 가지 진리는 무엇인지 쓰시오. 생로병사(生老病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