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국어 2-1학기 중간 3단원 우리 고전의 맛과 멋 기출문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동요
2) 슬견설
3) 토끼전

본문내용

님과 고운 님
③ 임을 기다리는 마음④ 재미있는 개의 행동
⑤ 개를 기르는 일의 어려움
[글의 중심 소재] ★★★
(나)글의 중심 소재를 쓰시오. 개
[작품 해석] ★★★
(나)와 같은 글에 대한 설명을 바르지 못한 것은? ⑤
① 솔직하고 대담한 표현을 했다.
② 조선 후기부터 성행한 시조이다.
③ 중장에 구체적인 내용이 끼어 든다.
④ 관념적인 것보다 구체적인 이야기를 담았다.
⑤ 임금에 대한 충성이나 자연을 예찬한 것이 많다.
[구절의 이해] ★★★
㉠~㉤의 뜻풀이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②
① ㉠ : 서러운데
② ㉡ : 여섯 정도
③ ㉢ : 올라 뛰었다가 내려 뛰었다가.
④ ㉣ : 물러섰다가 나아갔다가
⑤ ㉤ : 남더라도
[작품 해석] ★★
토끼전의 결말은 다음과 같이 여러 개의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토끼전의 형성 과정상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 ⑤
결말1 : 별주부가 토끼에게 속은 것을 알고 죽음을 택하려 할 때 화타란 도인이 나타나 별주부에게 선약을 준다.
결말2 : 별주부는 토끼의 속은 것을 알고 고민고민 하다가 소상강 대숲으로 도망가 숨어 살고, 용왕은 토끼가 간을 가져 오기만을 기다리다가 병이 점점 더 깊어져 결국 죽고 만다.
① 권선징악적 주제를 담고 있다.
② 대부분 행복한 결말로 끝맺는다.
③ 구체적인 작가가 드러나 있지 않다.
④ 몇 개의 유형화된 결말이 존재한다.
⑤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어 전해 내려온다.
[소설 감상] ★★
다음은 고전 소설과 현대 소설의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바르지 못한 것은? ②
구분
고전소설
현대 소설

주제
권선 징악
인간과 사회에 대한 다양한 탐구

구성
다양한 구성
시간 순서에 따른 구성

인물
평면적 인물, 전형적 인물
입체적 인물, 개성적 인물

배경
저승, 용궁 등 비현실적인 공간
현실 공간

내용
비현실적 세계, 유교적 이념
현실의 다양한 모습 및 인간 내면 의식의 세계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52~58)
(가) “토 선생은 과인의 무례함을 너무 탓하지 마시게.” 하고, 옥으로 만든 술잔에 귀한 술을 가득 부어 권하며 재삼 위로하니, 토끼가 공손히 받아 마신 후 황송함을 아뢰었다.
그 때, 한 신하가 문득 앞으로 나와 아뢰었다.
“신이 듣사오니 토끼는 본디 간사한 짐승이라 하옵니다. 바라옵건대 토끼의 간사한 말을 곧이듣지 마시고 바삐 간을 내어 옥체를 보존하옵소서.”
모두 바라보니, 간언을 잘 하는 자가사리였다. 하지만, 토끼의 말을 곧이듣게 된 용왕은 기꺼워하지 않으며 말하였다.
“토 선생은 산중의 점잖은 선비인데, 어찌 거짓말로 과인을 속이겠는가? 경은 부질없는 말을 내지 말고 물러가 있으라.”
(나) 토끼가 공손히 받은 후 용왕에게 하직하고 나오니, 수궁의 모든 신하들이 대궐 문 밖에까지 나와 전송하였다. 그러나 자가사리만은 그 자리에 나오지 아니하였다.
(다) “어제 저녁, 어떤 사람이 화로 옆에서 이()를 잡아 태워 죽이는 것을 보고 마음이 무척 아팠네. 그래서 다시는 이를 잡지 않겠다고 맹세를 하였네.”
그러자 그 사람은 화를 내며 말했다.
“이는 하찮은 존재가 아닌가? 나는 큰 동물이 죽는 것을 보고 불쌍한 생각이 들어 말한 것인데, 그대는 어찌 그런 사소한 것이 죽는 것과 비교하는가? 그대는 지금 나를 놀리는 것인가?”
나는 좀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를 느꼈다.
“무릇 살아 있는 것은 사람으로부터 소, 말, 돼지, 양, 곤충, 개미에 이르기까지 모두 사는 것을 원하고 죽는 것을 싫어한다네. 어찌 큰 것만 죽음을 싫어하고 작은 것은 싫어하지 않겠는가? 그렇다면 개와 이의 죽음은 같은 것이겠지. 그래서 이를 들어 말한 것이지. 어찌 그대를 놀리려는 뜻이 있었겠는가? 내 말을 믿지 못하거든, 그대의 열 손가락을 깨물어 보게나. 엄지손가락만 아프고 나머지 손가락은 안 아프겠는가? 우리 몸에 있는 것은 크고 작은 마디를 막론하고 그 아픔은 모두 같은 것일세. 더구나 개나 이나 각기 생명을 받아 태어났는데, 어찌 하나는 죽음을 싫어하고 하나는 좋아하겠는가? 그대는 눈을 감고 조용히 생각해 보게. 그리하여 달팽이의 뿔을 소의 뿔과 같이 보고, 메추리를 큰 붕새와 동일하게 보도록 노력하게나. 그런 뒤에야 내가 그대와 더불어 도(道)를 말할 수 있을 걸세.”
(라) 선화 공주님은
남몰래 시집 가 두고
맛둥(薯童) 도련님을
밤에 몰래 안으러 간다네.
[문단의 이해] ★★★
(라)에 나타난 우리 선조들의 삶의 태도로 볼 수 있는 것은? ③
① 약한 자가 강한 자를 물리치려면 지혜를 가져야 한다.
② 평범한 대상에서도 삶의 이치를 깨닫는다.
③ 애정 표현이 적극적이다.
④ 헛된 욕심에 대해 경계해야 한다.
⑤ 신분 상승의 욕구가 강하다.
[문단의 이해] ★★
(라)와 관계가 적은 것은? ①
① 고려 시대에 불려진 노래이다.
② 신분의 한계를 뛰어넘은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③ 넉 줄 형식(4구체)이다.
④ 작가는 서동이다.
⑤ 현재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향가이다.
[중심 소재] ★★★
(다)에서 글쓴이가 자신의 주된 생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중심 소재는? ①
① 이와 개 ② 소의 뿔 ③ 붕새
④ 엄지손가락 ⑤ 이
[문단의 이해] ★★★
(다)에서 말하고자 한 것은? ④
① 이()의 생명은 소중하다.
② 개(犬)의 생명이 소중하다.
③ 이와 개의 생명은 둘 다 소중하다.
④ 올바른 시각을 가지고 사물을 바라보자.
⑤ 이 세상의 모든 생명을 존중하자.
[인물의 성격] ★★★
(가), (나)에 나오는 자가사리의 성격으로 바른 것은? ②
① 재치가 있다.② 분별력이 있다.
③ 우직하다.④ 허욕이 많다.
⑤ 이기적이다.
[단어의 뜻] ★★★
낱말의 뜻을 바르게 풀이하지 못한 것은? ②
① 묘시(卯時) - 오전 5시부터 오전 7시까지
② 간언(諫言) - 간사한 말
③ 과인(寡人) - 임금이 자기를 낮추어 일컫는 말
④ 풍마우불상급(風馬牛不相及) - ‘서로 아무런 관계도 없음’을 비유할 때에 쓰는 말
⑤ 간특 - 간사하고 악독함
[문단의 이해] ★★★
(가), (나)와 관련이 없는 것은? ③
① 우화 소설② 고전 소설
③ 산문체④ 판소리계 소설
⑤ 작가를 알 수 없다

키워드

서동요,   선화,   슬견설,   토끼,   자라,   용왕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25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