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서동요][풍요][제망매가][도솔가][원왕생가]신라 향가 서동요, 신라 향가 풍요, 통일신라 향가 제망매가, 통일신라 향가 도솔가, 통일신라 향가 원왕생가, 통일신라 향가 원가, 통일신라 향가 우적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서동요][풍요][제망매가][도솔가][원왕생가]신라 향가 서동요, 신라 향가 풍요, 통일신라 향가 제망매가, 통일신라 향가 도솔가, 통일신라 향가 원왕생가, 통일신라 향가 원가, 통일신라 향가 우적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신라 향가 서동요
1. 서동요의 원문
2. 서동요의 작품해설
3. 서동요의 표현상 특징
4. 서동요의 민요적 성격
5. 서동요의 ‘결혼’에 대한 의미
6. 서동요의 문학적 가치
7. 서동의 탄생설화와 백제 지역의 야래자 설화가 갖는 유사성

Ⅱ. 신라 향가 풍요
1. 풍요의 원문과 해독
2. 풍요의 작품이해

Ⅲ. 통일신라 향가 제망매가
1. 제망매가의 원문
2. 제망매가의 표현상 특징
3. 제망매가에 나타난 주술성
4. 추모의 정을 담은 향가와의 비교
5. 한용운의 <님의 침묵>과의 비교시 유사점
6. 제망매가의 짜임

Ⅳ. 통일신라 향가 도솔가
1. 도솔가의 원문
2. 도솔가의 작품이해

Ⅴ. 통일신라 향가 원왕생가
1. 원왕생가의 원문
2. 원왕생가의 작품배경

Ⅵ. 통일신라 향가 원가
1. 원가의 원문과 해독
2. 원가의 작품이해

Ⅶ. 통일신라 향가 우적가
1. 우적가의 원문
2. 우적가의 작품배경과 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너는/고 命 브리디/彌勒座主 뫼셔라
두 해가 나타났다는 것은 요컨대 천상계에 어떤 변괴현상이 일어났음을 말한다. 천상계의 변괴를 왜 이일병현(二日竝現)이라 했나 이에 대해서 김승찬은 점성술적 표현이라고 논급하고 있는데 새겨들을 만한 견해라 하겠다. 다만 이 대목을 두고 왕권에 불만을 품은 세력이 반기를 들고 일어난 현상으로 해석하는 학설도 있으나 설득력이 약하다. 경덕왕 일대가 왕당파와 반왕당파로 나누어져 서로 반목 대립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두 해가 나타난 왕 19년 4월 초하룻날을 전후로 해서 반왕당파가 왕권에 도전하여 왕과 동등한 세력을 형성하였다는 기록이 문헌에 없는 이상 이일병현의 기사를 확대 해석하는 것은 곤란하다. 만약 정파간의 심각한 충돌이 실제로 있었다면, 그리하여 경덕왕이 노래로 이를 해소코자 하였다면, 그는 안민가의 경우처럼 귀정문(歸正門)으로 거둥하였을 것이다. 청양루(靑陽樓)는 요컨대 귀정문과 성격을 달리하는 공간, 곧 문자 그대로 하늘의 변괴를 맑게 하는 누각임에 틀림이 없다. 한편 왕권이나 정치적 사건과 전혀 무관하게 이일병현―삼일병현 등의 기록이 옛 문헌에 허다하게 나타나고 있는 사실도 필히 참고하여야 할 것이다.
그때 산화공덕의 의식이 행해지던 자리에서는 월명사의 도솔가뿐만 아니라 散花歌도 가창되었음이 일연(一然)의 기록을 통해서 입증되고 있고, 또 이 문다부재(文多不載)라 한 산화가(散花歌)는 이름이 전해오지 않는 타(他)의 인도승(引導僧) 혹은 어느 범패사에 의해서 창영되었음이 이미 밝혀진 바 있다. 문제는 산화가와의 관계에 있어서 도솔가는 과연 어떤 성격을 띠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요컨대 도솔가는 산화가를 유도키 위해서 선창된 전주곡과 같은 노래이다. 적합한 비유는 아니지만 굳이 조선시대에 성행하던 고사염불에다 견준다면 도솔가는 선염불(先念佛), 산화가는 뒷염불에 해당하는 노래로 이해할 수 있다.
이렇듯 서사적(序詞的) 성격을 띠고 있는 도솔가는 또한 치리가적(治理歌的)16) 성향이 두드러진 노래로도 규정할 수 있다. 월명사가 도솔가를 지어 부른 까닭이 태양의 변괴를 다스려서 물리치고자 한 데 있는 이상 그 성격이 치리가일 수밖에 없다. 가사 내용을 보아서도 미륵좌주를 모셔다가 일괴(日怪)를 불양(禳)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치리가적 성향이 뚜렷함을 거듭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솔가는 무엇보다도 주가적인 성격이 분명한 노래다. 가사의 어법이 꽃에게 내리는 명령법으로 일관되어 있음을 통해서도 이 노래의 주술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고, 외연상으로도 한 가락의 노래로 일괴를 물리쳤으니 주가임을 의심할 여지가 없다. 주가이되 산화공덕을 행하던 자리에서 가창된 노래였으니 불교의식상의 주가라고 그 성격을 분명히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상 세 가지의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도솔가에서 관심의 초점이 되는 것은 의연 꽃이다. 그때의 상서롭지 못한 사태를 물리치기 위해서는 미륵보살의 위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는데, 그 미륵보살을 모셔올 막중한 소임을 맡고 있는 것이 바로 꽃이었기 때문이다.
이런 사정을 염두에 두고 생각할 때 도솔가의 꽃이 지니고 있는 심상은 우선 인간의 청순한 소망의 표상으로 그 모습을 분명히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곧은 마음의 명령(고 命)이 거기에 포개짐에 따라 꽃은 인간의 강인한 의지가 반영된 존재물로서 엄격한 굴레에 갇히게 된다. 이렇듯 인간의 절대소망 절대의지를 표상하고 있는 꽃은 원상으로의 회귀를 바라는 지상의 메시지를 수리하여 삼엄한 임무로 받아들인다. 마침내 꽃의 임무는 旣而日怪卽滅(旣而日怪卽滅)의 순간에 이르자 완벽하게 달성된다. 꽃은 이처럼 놀랍게도 변화의 마력을 소유하고 있다.
비정상의 상태를 정상의 상태로 환원시키는 일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한 도솔가의 꽃, 그러므로 그것은 어차피 광명의 사도로서 의미를 갖는다. 원상으로 복귀한다는 것은 곧 광명의 세계를 되찾는다는 뜻이다. 그 비밀이 기이일괴즉멸에 이르러 분명하게 판명된 것이다.
Ⅴ. 통일신라 향가 원왕생가
1. 원왕생가의 원문
願往生歌
月下伊低赤
西方念丁去賜里遣
無量壽佛前乃
惱叱古音多可支白遣賜立
誓音深史隱尊衣希仰支
兩手集刀花乎白良
願往生願往生
慕人有如白遣賜立
阿耶 此身遣也置遣
四十八大願成遣賜去
2. 원왕생가의 작품배경
이 노래는 유사 권 5 광덕엄장 조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문무왕 때 사문(沙門;출가하여 도를 닦는 사람)으로 광덕, 엄장이란 두 사람이 있어 사이가 매우 좋았으니, 항상 둘 중 누구든지 먼저 잘되면 알려 주기로 하였다. 광덕은 芬皇寺 서쪽 마을에 처자를 데리고 은거하여 짚신이나 삼아 그날그날 지내고, 엄장은 남악에 살면서 농사를 지어 지냈다. 어느날 저녁에 \"나는 벌써 소원 성취했네, 나를 따라 오세\"하는 소리가 문밖에서 난다. 문을 열고 내다보니 중천 구름 밖에서 나는 소리였다. 이튿날 아침 광덕을 찾아가 보니 과연 죽었던 것이다. 장례를 치른 뒤에 과부가 된 그 부인에게 같이 살기를 청하였다. 과부도 허락하므로 엄장은 속으로 좋아서 같이 지내면서 同寢하기를 청하니, 의외에도 거절하며 말하기를 \"당신이 淨土를 바란다는 것은 나무에서 고기를 구하는 것과 같다\"고 한다. 염장은 놀래서 \"그러나 광덕하고는 같이 잔 것이 아니냐, 그렇거늘 나와 같이 잔다고 한들 어떠냐?\"고 하니, 과부가 하는 말이 광덕은 나와 같이 10여년을 동거하였어도 한번 잠자리를 같이 한 일이 없다. 하물며 서로 관계를 했겠습니까? 그는 다만 매일 밤 정좌하여 염불 외고 十六觀을 했었다. 정신을 이렇듯이 하였는데, 천리를 갈려면 한 걸음부터 골라야 하는 법, 당신이 정토를 원한다는 것은 기가 막힐 일이다.\"라고, 이러는 바람에 그는 얼굴을 붉히고 쥐구멍을 찾는 듯이 도망쳐 그 길로 원효법사를 찾아가서 도를 닦고 소원성취 하였다. 광덕의 처는 곧 芬皇寺의 婢가 되었다.
Ⅵ. 통일신라 향가 원가
1. 원가의 원문과 해독
怨歌
物叱好支栢史 ( 자시)
秋察尸不冬爾屋 墮米 ( 안 이우리 디매)
汝於多 行齊敎因隱 (너 엇뎨 니저 니신)
仰頓隱面矣改衣賜乎隱冬矣也 (울월던 치 겨샤온)
月羅理影 古理因淵之叱 (그림제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3.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9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