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적인간학-데칼로그] 제 9 계명 - 네 이웃의 아내를 탐내지 말지어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학적인간학-데칼로그] 제 9 계명 - 네 이웃의 아내를 탐내지 말지어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영화 Dekalog no.9
ꊱ 줄거리
ꊲ 중요 인물들
ꊳ 중요 장면들과 그 의미

3. 십계명에 대한 간략한 설명
ꊱ 십계가 쓰인 배경
ꊲ 십계명의 의미

4. 제 9계명의 신학적 의미
ꊱ word-by-word로 이해하는 9계명
ꊲ 자족하는 삶으로서 9계명

5. 영화 안에서 찾아보는 9계명

6. 9계명과 다른 계명과 상관관계
ꊱ 6계명
ꊲ 10계명

7.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는 두 계명은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전자의 탐욕의 마음이 간음이라는 또 다른 죄의 길로 인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볼 때, 6계명은 간음 그 자체를 금지하고 9계명은 간음으로 이어질 수 있는 욕구를 원천적으로 봉쇄한다고 볼 수 있다.
즉, 간음은 결혼관계 전후 할 것 없이, 성관계를 문란하게 함으로서 스스로를 정결하게 하지 못하는 것을 경계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반면, 9계명은 결혼한 사람의 가정을 위협할 수 있는, 결혼의 계약을 표면상으로는 아닐지라도 사실상 파기하는 결과를 경계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 원한다는 탐심은 언제든지 행위로 변화될 수 있다는 의도와 염원을 나타내낸 것으로, 6계명인 직접적인 간음 행위와 그로 인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 과제들을 9계명에서는 간음행위가 있기 이전의 단계를 모두 금한다. 이에 대한 말씀은 마태오복음 5장 28절의 “‘간음하지 말라’고 말씀하신 것은 여러분은 들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말합니다. 누구든지 남의 아내를 탐내어 바라보는 사람은 이미 마음으로 간음한 사람입니다.”가 있다.
또한 이 계명이 육체적 탐욕을 이기기 위해서 마음을 정화하고 절제를 실천할 필요가 있고 스스로를 정결하게 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마태오복음 5장 8절 “마음이 깨끗한 사람은 행복하다. 그들은 하느님을 뵙게 될 것이다.”라는 부분에서 잘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보면 원한다()와 간음()을 다른 단어로 계명에서 보여줬다는 것은, 이 두 단어의 의미를 구분 지었다는 것은, 두 단어 사이에 의미상의 차이점이 있다는 것이고, 6계명은 행위 그 자체와 결과물에 대한 경계라면, 9계명은 동기와 그 행위를 하기 전 단계인 탐심에 대한 경계이다.
10계명과 비교
의미상에서는 9계명과 10계명이 바울로는 로마서 13장 9절에서 이 두 계명을 하나로서 요약해 “‘간음하지 마라, 살인하지 마라, 도둑질하지 마라, 탐내지 마라’는 계명과 그 밖의 모든 계명이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하라’는 한마디로 요약됩니다.”볼 수 있다. 즉, 탐하지 말라는 한 계명의 설명을 위해 두 가지 계명으로 나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십계가 적힌 출애굽기와 신명기의 본문을 잘 살펴보면 9계명이 분리되어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네 이웃의 집을 탐내서()는 안 된다. 네 이웃의 아내나 남종이나 여종, 소나 나귀 할 것 없이 네 이웃의 소유는 무엇이든 탐내서()는 안 된다. 출애굽기 20장 17절”
“그리고 네 이웃의 아내를 탐내서()는 안 된다. 또 네 이웃의 집이나 밭이나 남종이나 여종, 소나 나귀 할 것 없이 네 이웃의 소유는 무엇이든 욕심내서()는 안 된다. 신명기 5장 21절.”
위 출애굽기에서 두 번 사용된 동사인 탐내다는 의지를 표명할 뿐 아니라 행동으로 옮겨지는 뜻을 가리킨다고 설명할 수 있는데 신명기에서 나오는 동사는 ‘의지의 움직임(a movement of the will)’만을 가리킨다. 이는 이웃의 소유를 탐하는 염원 자체를 금한다고 볼 수 있고, 신명기는 출애굽기와 달리 이웃의 집보다 이웃의 아내를 먼저 언급하여 아내를 소유물에서 분리시켜 독립적으로 다룬다. 즉 출애굽기 보다 이후에 적힌 신명기에 분류법에 따라 보면 9계명과 10계명이 두개의 다른 문장으로 이루어졌고 그 문장이 등위접속사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이 두 계명을 따로 보는 것이 옳다. 9계명은 우리에게 탐욕의 근본원인인 감사할 수 있는 마음의 부족에서 오는 자족하지 못한다는 것을 경계하며, 10계명은 소유물로서 만족함을 채우려는 소유욕에 대한 경계라고 분리시켜서 봐야 될 것이다.
7. 결론
Dekalog에서는 문제를 제시한다. 그리고 계명에 대한 의미도 제시해준다. 그리고 그 적용을 보는 이들의 몫으로 남겨두었다. 그래서 우리는 지금까지 영화에 대한 분석을 하고, 제 9계명인 “네 이웃의 아내를 탐하지 말라”를 공부하면서 결론을 내렸다. 제 9계명을 현대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감사하는 삶을 살자.’로 말이다. 자족한다는 것은, 그 상황에 만족한다는 것이다. 그 상황에 진심으로 만족한다는 것은, 그 상황에 감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황에 감사하고 만족한다면
또한 하느님은 성서를 통해 감사하는 삶을 강조하셨다. 우선 그는 감사를 해야 됨을 신명기 8장 10절 “네가 먹어서 배불리고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옥토로 네게 주셨음을 인하여 그를 찬송하리라.”와 골로사이 3장 15절“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평강을 위하여 너희가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또한 너희는 감사하는 자가 되라.”고 말씀하셨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세상을 주셨고, 또한 하느님과의 합일이라는 은혜를 주셨기 때문에 감사하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하느님은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의 5장 18절에서는 “범사에 감사하라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느님의 뜻이니라.”라고 하시면서 다시 한번 강조하셨다. 또한 루카복음 17장에서 예수님은 열명에게 행하신 기적에 한사람이 감사하러 다시 돌아오자 그를 몹시 칭찬하시면서 17~18절에서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열 사람이 다 깨끗함을 받지 아니하였느냐 그 아홉은 어디 있느냐 이 이방인 외에는 하느님께 영광을 돌리러 돌아온 자가 없느냐 하시고”라고 하시면서 감사함을 모르는 사람에 한탄하신다.
일상의 사소한 것에서 행복을 찾으라고 속담 역시 우리에게 조언한다. 사소한 것에서 행복을 찾으려면 지금 현재 처해진 상황에 만족해야하고, 그 안에서 감사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결론이다. 이것은 물론 그리스도교적인 입장에서는 하느님께 영광을 돌리는 행위로 하느님이 기뻐하시는 행위이며, 비-그리스도교 믿음을 가진 사람들에게도 자족을 통한 행복을 위해서는 적용되는 공통적인 선(good)인 것이다.
- 수고하셨습니다 -
[참고 도서]
『십계명』 - 박요한 영식 지음 - 가톨릭대학교출판부
『예화로 쉽게 엮은 가톨릭 교리 vol.2』 - Lawrence G Lovasik 지음 김정진 옮김 가톨릭출판사
『데칼로그』 - 김용규 지음 바다출판사
『간추린 가톨릭 교회 교리서』 -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 가격2,9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11.18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2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