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리는 신화에 나오는 사냥꾼의 이름을 딴 것으로 겨울철의 대표적인 별자리이다.
우리 은하를 구성하는 천체 중 성운 속에 있는 미세한 티끌 입자가 주변의 별빛을 반사시켜 빛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③
▶
① 구상 성단② 암흑 성운③ 반사 성운
④ 발광 성운⑤ 성간 물질
반사 성운은 별빛을 반사산란시켜 밝게 보이는 성운으로 푸른색인 경우가 많다.
.
다음 중 화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이 아닌 것은? ⑤
①생물의 진화 과정
②퇴적물의 퇴적 당시의 환경
③생물의 번성과 멸종
④지층의 퇴적된 시대
▶
⑤지구의 모양과 크기
화석은 지구의 역사를 알아내는 보조자료일 뿐이다
다음 중 지질 시대와 번성했던 화석 생물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②
①중생대-공룡, 삼엽층
▶
②신생대-화폐석, 매머드
③신생대-속씨식물, 암모나이트
④고생대-시조새, 겉씨식물
⑤고생대-스트로마톨라이트, 삼엽층
①삼엽층→고생대, ③암모나이트→중생대, ④시조새겉씨식물→중생대, ⑤스트로마톨라이트→선캄브리아대
다음 중 부정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④
①지층과 지층 사이에 침식을 받은 흔적이 있다.
②부정합면을 경계로 시간적인 불연속이 있다.
③부정합면 위에는 대부분 역암으로 되어 있다.
▶
④지층에 단층이 생기면 단층면을 경계로 부정합면이 형성된다.
⑤지층의 상하 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부정합은 불연속적인 상하 두 지층의 관계로 대규모 지각변동의 흔적이다. 퇴적이 한동안 중단되었다가 다시 쌓여서 부정합면에는 침식의 흔적이 있다.
다음 그림은 뿌리의 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뿌리에서 물을 흡수할 때 각 부분의 농도 비교를 바르게 한 것은? ②
① A > B > C > D
② A < B < C < D
③ A > B > D > C
④ A < C < D < B
⑤ A = B = C = D
▶
삼투현상은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이므로 뿌리 내부로 갈수록 농도가 커져야 물이 흡수된다.
식물 생장의 필수 원소 중 잎의 기공을 통해 흡수되는 원소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
① 탄소② 질소③ 수소
④ 인⑤ 마그네슘
탄소는 이산화탄소 형태로 가공을 통해 흡수되며 나머지 원소들은 주로 뿌리로 물과 함께 흡수된다.
다음 <보기>에서 물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③
㉠ 죽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 위아래 세포벽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유기 양분의 이동 통로이다.
㉣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의 이동 통로이다.
▶
① ㉠② ㉠, ㉢③ ㉠, ㉣
④ ㉠, ㉡, ㉣⑤ ㉠, ㉢, ㉣
㉡, ㉢은 체관에 대한 설명이다.
증산작용의 의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
① 식물체내의 호흡을 왕성하게 한다.
② 물의 상승 원동력이 된다.
③ 식물체의 체온을 조절한다.
④ 식물체내의 수분량을 조절한다.
⑤ 식물체내의 무기양분을 축적한다.
증산 작용의 의의 : 물과 무기양분 상승의 원동력, 수분량체액 농도 조절, 식물의 체온 조절, 양분 농축
지연이는 충분히 입김을 불어넣어 황색으로 변한 BTB용액을 다음 그림과 같이 장치하여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용액의 색깔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시험관 B와 D만 청색으로 변했다.
위의 실험은 무엇을 알아보기 위한 것인가? ③
① 광합성과 온도의 관계
② 호흡과 이산화탄소의 관계
▶
③ 광합성과 이산화탄소의 관계
④ 호흡과 빛의 관계
⑤ 온도와 이산화탄소의 관계
그림은 광합성에 필요한 물질을 알아보는 실험내용으로 BTB용액은 이산화탄소의 양에 의해 색깔이 변한다. 그러므로 광합성에 이산화탄소가 소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공을 둘러싸고 있는 반달 모양의 세포를 쓰시오. 공변세포
기공을 둘러싸고 있는 공변세포는 표피가 변해서 된 것으로 엽록체가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다.
공변세포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 ★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⑤
①식물이 낮에 호흡할 때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지만 밤에 호흡할 때는 산소를 흡수한다.
② 식물은 낮엔 광합성만 하고 밤엔 호흡만 한다.
③ 식물의 광합성은 주로 잎의 표피 세포에서 일어난다.
④ 호흡은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포도당을 만드는 과정이다.
▶
⑤낮에는 호흡량보다 광합성량이 많아 이산화탄소가 흡수된다.
① 호흡할 때는 항상 산소를 흡수한다.
② 낮에는 광합성과 호흡을 둘다 한다.
③ 표피는 엽록체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한다.
④빛에너지를 이용하여 포도당을 만드는 과정은 광합성 과정이다.
[열매의 구조] ★
다음 그림은 감과 사과의 내부 모식도이다. 씨방이 자라서 된 부분으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①
<감> <사과>
▶
① A, D② A, F③ B, D
④ C, E⑤ C, F
감은 참열매로 과육 부분이 씨방이 자라 된 것이고, 사과는 헛열매로 딱딱한 내과피 부분이 씨방이다.
식물의 각 기관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③
①뿌리의 표피는 뿌리털로 변하여 물과 무기양분을 많이 흡수 할 수 있다.
②잎의 표피에 있는 기공을 통해 광합성과 호흡에 필요한 기체가 출입하고 증산작용이 일어난다.
▶
③관다발은 물관, 체관, 형성층으로 이루어져 뿌리와 줄기, 잎을 연결하고 있으며 종자식물은 모두 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④옥수수의 줄기에는 관다발이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고, 잎맥은 나란히맥이다.
⑤ 꽃은 종자를 만드는 생식기관이며, 종자는 배와 배젖으로 되어있다.
같은 종자식물이라도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의 관다발 구조는 다르다.
A과정이 일어나는 장소를 쓰시오. 엽록체
물 이산화탄소 에너지 영양분 산소
광합성은 엽록체에서 일어난다.
엽록체
[식물의 수정] ★
식물을 관찰하고 식물의 수정에 대한 생각을 토의하였다. 틀린 생각인 것을 두 개 고르면? ②, ③
①하나:화분관의 정핵과 밑씨의 난세포가 결합하여 배가 되지!
▶
② 소이 : 암술머리에 화분이 달라붙는 것이 수정이야!
▶
③ 새름 : 밑씨가 자라서 열매가 된다구!
④ 승연:화분관 속의 정핵과 극핵이 결합하여 배젖이 된단다.
⑤송희:친구들아! 밑씨는 종자로, 씨방은 열매로 자라게 된다고 생각해!
암술머리에 화분이 붙는 것은 수분, 화분이 자라 정핵과 난세포가 결합하면 수정이라 한다. 밑씨는 자라서 종자가 된다.
우리 은하를 구성하는 천체 중 성운 속에 있는 미세한 티끌 입자가 주변의 별빛을 반사시켜 빛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③
▶
① 구상 성단② 암흑 성운③ 반사 성운
④ 발광 성운⑤ 성간 물질
반사 성운은 별빛을 반사산란시켜 밝게 보이는 성운으로 푸른색인 경우가 많다.
.
다음 중 화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이 아닌 것은? ⑤
①생물의 진화 과정
②퇴적물의 퇴적 당시의 환경
③생물의 번성과 멸종
④지층의 퇴적된 시대
▶
⑤지구의 모양과 크기
화석은 지구의 역사를 알아내는 보조자료일 뿐이다
다음 중 지질 시대와 번성했던 화석 생물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②
①중생대-공룡, 삼엽층
▶
②신생대-화폐석, 매머드
③신생대-속씨식물, 암모나이트
④고생대-시조새, 겉씨식물
⑤고생대-스트로마톨라이트, 삼엽층
①삼엽층→고생대, ③암모나이트→중생대, ④시조새겉씨식물→중생대, ⑤스트로마톨라이트→선캄브리아대
다음 중 부정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④
①지층과 지층 사이에 침식을 받은 흔적이 있다.
②부정합면을 경계로 시간적인 불연속이 있다.
③부정합면 위에는 대부분 역암으로 되어 있다.
▶
④지층에 단층이 생기면 단층면을 경계로 부정합면이 형성된다.
⑤지층의 상하 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부정합은 불연속적인 상하 두 지층의 관계로 대규모 지각변동의 흔적이다. 퇴적이 한동안 중단되었다가 다시 쌓여서 부정합면에는 침식의 흔적이 있다.
다음 그림은 뿌리의 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뿌리에서 물을 흡수할 때 각 부분의 농도 비교를 바르게 한 것은? ②
① A > B > C > D
② A < B < C < D
③ A > B > D > C
④ A < C < D < B
⑤ A = B = C = D
▶
삼투현상은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이므로 뿌리 내부로 갈수록 농도가 커져야 물이 흡수된다.
식물 생장의 필수 원소 중 잎의 기공을 통해 흡수되는 원소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
① 탄소② 질소③ 수소
④ 인⑤ 마그네슘
탄소는 이산화탄소 형태로 가공을 통해 흡수되며 나머지 원소들은 주로 뿌리로 물과 함께 흡수된다.
다음 <보기>에서 물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③
㉠ 죽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 위아래 세포벽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유기 양분의 이동 통로이다.
㉣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의 이동 통로이다.
▶
① ㉠② ㉠, ㉢③ ㉠, ㉣
④ ㉠, ㉡, ㉣⑤ ㉠, ㉢, ㉣
㉡, ㉢은 체관에 대한 설명이다.
증산작용의 의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
① 식물체내의 호흡을 왕성하게 한다.
② 물의 상승 원동력이 된다.
③ 식물체의 체온을 조절한다.
④ 식물체내의 수분량을 조절한다.
⑤ 식물체내의 무기양분을 축적한다.
증산 작용의 의의 : 물과 무기양분 상승의 원동력, 수분량체액 농도 조절, 식물의 체온 조절, 양분 농축
지연이는 충분히 입김을 불어넣어 황색으로 변한 BTB용액을 다음 그림과 같이 장치하여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용액의 색깔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시험관 B와 D만 청색으로 변했다.
위의 실험은 무엇을 알아보기 위한 것인가? ③
① 광합성과 온도의 관계
② 호흡과 이산화탄소의 관계
▶
③ 광합성과 이산화탄소의 관계
④ 호흡과 빛의 관계
⑤ 온도와 이산화탄소의 관계
그림은 광합성에 필요한 물질을 알아보는 실험내용으로 BTB용액은 이산화탄소의 양에 의해 색깔이 변한다. 그러므로 광합성에 이산화탄소가 소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공을 둘러싸고 있는 반달 모양의 세포를 쓰시오. 공변세포
기공을 둘러싸고 있는 공변세포는 표피가 변해서 된 것으로 엽록체가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다.
공변세포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 ★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⑤
①식물이 낮에 호흡할 때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지만 밤에 호흡할 때는 산소를 흡수한다.
② 식물은 낮엔 광합성만 하고 밤엔 호흡만 한다.
③ 식물의 광합성은 주로 잎의 표피 세포에서 일어난다.
④ 호흡은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포도당을 만드는 과정이다.
▶
⑤낮에는 호흡량보다 광합성량이 많아 이산화탄소가 흡수된다.
① 호흡할 때는 항상 산소를 흡수한다.
② 낮에는 광합성과 호흡을 둘다 한다.
③ 표피는 엽록체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한다.
④빛에너지를 이용하여 포도당을 만드는 과정은 광합성 과정이다.
[열매의 구조] ★
다음 그림은 감과 사과의 내부 모식도이다. 씨방이 자라서 된 부분으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①
<감> <사과>
▶
① A, D② A, F③ B, D
④ C, E⑤ C, F
감은 참열매로 과육 부분이 씨방이 자라 된 것이고, 사과는 헛열매로 딱딱한 내과피 부분이 씨방이다.
식물의 각 기관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③
①뿌리의 표피는 뿌리털로 변하여 물과 무기양분을 많이 흡수 할 수 있다.
②잎의 표피에 있는 기공을 통해 광합성과 호흡에 필요한 기체가 출입하고 증산작용이 일어난다.
▶
③관다발은 물관, 체관, 형성층으로 이루어져 뿌리와 줄기, 잎을 연결하고 있으며 종자식물은 모두 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④옥수수의 줄기에는 관다발이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고, 잎맥은 나란히맥이다.
⑤ 꽃은 종자를 만드는 생식기관이며, 종자는 배와 배젖으로 되어있다.
같은 종자식물이라도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의 관다발 구조는 다르다.
A과정이 일어나는 장소를 쓰시오. 엽록체
물 이산화탄소 에너지 영양분 산소
광합성은 엽록체에서 일어난다.
엽록체
[식물의 수정] ★
식물을 관찰하고 식물의 수정에 대한 생각을 토의하였다. 틀린 생각인 것을 두 개 고르면? ②, ③
①하나:화분관의 정핵과 밑씨의 난세포가 결합하여 배가 되지!
▶
② 소이 : 암술머리에 화분이 달라붙는 것이 수정이야!
▶
③ 새름 : 밑씨가 자라서 열매가 된다구!
④ 승연:화분관 속의 정핵과 극핵이 결합하여 배젖이 된단다.
⑤송희:친구들아! 밑씨는 종자로, 씨방은 열매로 자라게 된다고 생각해!
암술머리에 화분이 붙는 것은 수분, 화분이 자라 정핵과 난세포가 결합하면 수정이라 한다. 밑씨는 자라서 종자가 된다.
추천자료
[과외]물상 물질구성의 규칙성
성인기 건강증진에 대한 접근
[태양계][태양][행성][우주][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태양계의 ...
겉보기 비중 및 겉기공률 측정 방법
별의 진화
[생물학]감자 조직의 삼투압 측정
감압응고 결과 보고서
물리학 - Waves on a string [줄의 진동]
[속도측정, 탄성파 속도측정, 전자 속도측정, 탄환 속도측정, 빛 속도측정, 중력가속도 속도...
현의 진동 예비 보고서
[화학실험보고서] 부정비성 화합물 n-type ZnO
[공학물리] 줄의 진동 : 진동하는 줄 내에서 정상파를 관찰하고, 각 수치에 대한 이론적 관계...
골다공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