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1.물상 물질의특성(기출-1)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제1~50번

정답

본문내용

.
③ 피펫 속의 공기의 부피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④ 피펫 속의 공기의 압력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⑤ 피펫 속의 공기의 수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41. 다음 중 녹는점과 끓는점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고체가 액체로 변할 때의 온도를 녹는점이라고 한다.
② 액체의 가열 곡선에서 수평한 부분의 온도가 끓는점이다.
③ 액체의 표면에서 기화가 일어나는 것을 증발이라 한다.
④ 끓는점에서 액체는 열을 방출한다.
⑤ 융해가 일어나는 동안 물질의 온도는 변하지 않는다.
※[42~44] 오른쪽 그래프는 고체 파라디클로로벤젠의 가열냉각 곡선이다. 물음에 답하여라.
42. 각 구간의 상태 연결이 옳은 것은 ?
① A-B : 고체
② B-C : 액체
③ C-D : 기체
④ D-E : 기체
⑤ E-F : 액체
43. 위 실험 결과 파라디클로로벤젠의 녹는점과 어는점의 관계는 ?
44. BC와 EF구간에서 온도가 일정한 까닭은 ?
BC 구간 EF 구간
① 응고열 방출 융해열 흡수
② 기화열 흡수 액화열 방출
③ 액화열 방출 기화열 흡수
④ 액화열 흡수 응고열 방출
⑤ 융해열 흡수 응고열 방출
45. 다음 중에서 액체 물질의 끓는점을 변화시키는 것은 무엇인가 ?
① 물질의 질량
② 외부의 압력
③ 불꽃의 세기
④ 가열 시간
⑤ 온도계의 종류
※[46~47] 오른쪽 그림과 같은 실험을 보고 물음에 답하여라.
*그림
46. 시험관 A와 B에서 일어나는 상태 변화는 무엇인가 ?
47. 다음 중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이 실험은 에탄올의 끓는점을 측정하는 것이다.
② 물중탕을 하는 것은 가지달린 시험관을 골고루 가열하기 위해서이다.
③ 온도계는 A 시험관의 가지가 갈라지는 부분에 위치해야 한다.
④ 끓고 있는 동안 온도 변화는 없다.
⑤ 끓임쪽을 넣는 이유는 갑자기 끓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48. 에탄올의 양을 5g, 10g으로 달리하여 위와 같은 실험을 했을 때 온도 변화를 옳게 나타낸 것은 ?
49. 오른쪽 그래프는 미지의 고체 물질 A, B, C의 녹는점을 측정한 가열 곡선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A, B, C 세 물질 모두 같은 물질이다.
② A, B, C 세 물질 모두 다른 물질이다.
③ B, C는 같은 물질이다.
④ A, B는 같은 물질로 질량이 다를 뿐이다.
⑤ B는 C 보다 질량이 크다.
50. 다음 중 물질의 특성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
① 질량, 녹는점, 용해도
② 색깔, 밀도, 끓는점
③ 결정 모양, 부피, 냄새
④ 어는점, 맛, 무게
⑤ 결정 모양, 상태, 부피
1. ④
철은 매우 높은 온도인 2750℃에서 기화가 일어난다.
2. ⑤
질량은 물질의 고유한 양으로 윗접시 저울이나 양팔 저울로 측정하며, 단위는 kg, g이다.
3. ⑤
요오드는 승화성 물질로, 고체가 액체를 거치지 않고 직접 기체로 변한다.
4. ③
약품을 필요한 양만큼 취하고자 할 때는 물체의 질량을 측정할 때와는 달리, 먼저 원하는 질량에 해당하는 분동을 접시 위에 올려 놓은 후 반대쪽 접시에 올려 놓은 후 반대쪽 접시에 서서히 약품을 쏟아가면서 저울의 수평을 맞추면 된다.
5. ①
돌의 부피 = 돌을 넣은 후의 부피 - 돌을 넣기 전 물의 부피
6. ④
무게는 지구가 그 물체를 당기는 힘의 크기로 용수철 저울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단위는 kg 중, g중, N을 사용한다.
7. ⑤
8. ④
9. ⑤
10. ③
메탄올과 아세트산은 끓는점, 냄새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11. ①
12. ③
13. ⑤
14. ④
15. ②
열을 흡수하는 변화는 융해, 기화, 승화(고체→기체)이고 부피 변화가 가장 큰 것은 기화, 승화(고체→기체)이다.
16. ②
기체 상태는 물질의 알갱이들의 간격이 멀다.
17. ④
얼음이 녹아 물로 될 때에는 다른 물질과 달리 부피가 감소하며 질량은 항상 변하지 않고 일정하다.
18. ①
대부분의 물질은 같은 질량에서 기체 상태일 때 부피가 가장 크다.
19. ③
액체가 열을 받아 기체 상태가 되면 물질을 구성하는 알갱이들이 넓은 공간에 흩어져 자유롭게 활동하므로 부피가 수백 - 수천 배 이상으로 늘어난다.
20. ③
기체는 모양과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21. ①
고체와 액체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부피의 변화가 작지만 기체의 부피는 온도와 압력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22. ②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한다(보일의 법칙).
23. ①
한 알갱이가 넓은 공간을 차지할수록 부피는 증가한다.
24. ②
물질의 특성은 각 물질이 갖는 고유한 성질로 물질의 구분에 이용되며 물질의 양과 관계없이 일정하다.
25. ③
26. ②
27. ③
28. ②
29. E
공기 중의 수증기가 바로 서리로 되는 승화 현상이다.
30. ③
31. ④
32. ⑤
33. ④
상태 변화에서 질량은 항상 일정하다.
34. ③
그래프의 기울기는 밀도를 나타내며 밀도가 큰 것일수록 밑에 가라 앉는다.
35. ①
밀도
36. ⑤
일반적으로 고체 → 액체 → 기체로 상태가 변할 때에는 부피가 증가하나 물은 액체 → 고체로 변할 때 부피가 증가한다.
37. ①
시험관 안에 있던 아세톤의 질량은 일정하다.
38. ③
부피는 용해가 일어나면서 줄어드나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39. ①
쇳물이 식으면 부피가 줄어든다.
40. ③
피펫을 손으로 쥐면 체온에 의해 피펫 속의 공기의 부피가 증가하므로 물을 밀어내게 된다.
41. ④
녹는점과 끓는점에서는 액체가 열을 흡수한다.
42. ①
43. 같다
44. ⑤
기화, 융해 때는 열을 흡수하고 액화, 응고 때는 열을 방출한다.
45. ②
46. A : 기화, B : 액화
47. ②
에탄올은 인화성 물질이고 끓는점이 물보다 낮으므로 물중탕을 이용한다.
48. ③
질량이 크면 끓는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질 뿐이고 끓는점에는 변화가 없다.
49. ③
끓는점이 같으면 같은 물질이고, C가 B보다 질량이 크다.
50. ②
물질의 특성 : 겉보기 성질, 밀도, 녹는점, 끓는점, 용해도
내신문제연구소

키워드

기화,   융해,   에탄올,   인화성,   질량,   끓는점,   용해도,   녹는점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199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2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