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1.생물9-2생물의탐구(기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제1~33번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수 있도록 기록하면 된다.
⑤ 사진이나 비디오 테이프 등은 기록에 포함되지 않는다.
23. 오른쪽 두 식물에 대한 관찰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상명사대부속, 과천)
① 모두 키는 거의 같다. ② 모두 나이는 같다.
③ 잎 모양은 서로 다르다. ④ 모두 줄기가 있다.
⑤ 모두 꽃은 피지 않았다.
24. 관찰 결과의 기록 방법이 바르게 된 것은 ? (정신여, 구의)
① 복잡하고 치밀하게 기록한다.
② 미리 예측한 결과도 함께 기록한다.
③ 생물만 관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④ 감각 기관이 느낀 대로 사실을 기록한다.
⑤ 인위적인 조작이나 기구를 사용하면 안된다.
25. 자연의 탐구 과정에서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실험을 한 다음에 해야 할 일은 ?(과천, 명지)
① 관찰 ② 의문 제시
③ 가설 검증 ④ 가설 설정
⑤ 가설 일반화
26. 현미경으로 어떤 문체를 관찰하다가 접안 렌즈는 그대로 두고 대물 렌즈의 배율을 ×10에서 ×40으로 바꾸었다. 이 때 일어나는 변화로 옳은 것은 ? (잠실, 목동)
① 시야가 좁아지고 어두워진다.
② 시야가 넓어지고 물체는 크게 보인다.
③ 시야는 어두우나 많은 세포가 관찰된다.
④ 물체가 크게 보이며 많은 세포가 관찰된다.
⑤ 대물 렌즈의 길이가 짧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27. 현미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암, 창일)
① 상은 상하만 바뀌어 보인다.
② 조리개로 상의 위치를 찾는다.
③ 고배율에서 저배율로 관찰한다.
④ 저배율로 관찰하면 시야가 밝고 많은 수의 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
⑤ 미동 나사로 상을 찾은 다음 조동 나사로 정확한 초점을 맞춘다.
28. 다음은 현미경의 배율에 따른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한 것이다. 고배율에 해당하면 ‘고’, 저배율에 해당하면 ‘저’로 표시하여라. (동명여, 영훈)
① 현미경 시야에 나타나는 범위가 좁다. ( )
② 현미경에 나타나는 상의 크기가 작다. ( )
③ 빛을 모을 때는 오목 거울인 반사경을 사용한다. ( )
④ 대물 렌즈와 프레파라트의 거리가 가깝다. ( )
⑤ 현미경에 나타나는 상의 모양이 밝고 선명하다. ( )
29. 다음〔보기〕는 현미경 관찰시 유의해야 할 점을 적은 것이다. 옳은 것을 있는 대로 골라라. (서문여, 명지)
(가) 렌즈는 반드시 면으로 닦아야 한다.
(나) 왼쪽 눈은 감고 오른쪽 눈으로 관찰해야 한다.
(다) 반사 광선이 비치는 실험대에 놓고 관찰한다.
(라) 현미경을 옮길 때는 두 손으로 다리를 받쳐 든다.
(마) 먼저 저배율로 관찰한 후 배율을 높인다.
(바) 상은 반드시 펜으로 그리도록 한다.
30. 다음은 현미경을 조작하는 방법을 순서없이 나열한 것이다. 가정 먼저 이루어지는 과정은 ? (중원, 대명)
① 조동 나사를 돌리면서 상을 찾는다.
② 미동나사로 정확한 초점을 맞춘다.
③ 낮은 배율로 맞추고, 빛의 양을 조절한다.
④ 회전판을 돌려 고배율로 바꾼다.
⑤ 경통을 프레파라트 바로 위까지 내린다.
31. 다음 그림은 현미경의 조작 방법을 순서없이 나열한 것이다. 이것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 (과천문원, 광남)
① (가)→(다)→(나) ② (나)→(가)→(다)
③ (나)→(다)→(가) ④ (다)→(가)→(나)
⑤ (다)→(나)→(가)
32. 현미경으로 양파의 표피 세포를 관찰하였다. 한 시야에 가장 많은 세포의 수가 보이는 현미경의 배율은 ? (반포, 중동)
접안 렌즈의 배율
대물 렌즈의 배율
①②③④⑤
×5
×5
×10
×10
×10
×40
×10
×40
×10
×60
33. 현미경 시야에서 보려고 하는 물체의 상이 다음 그림과 같이 나타났다. 물체의 상이 중앙에 오게 하려면 프레파라트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되겠는가 ? (방이, 천일)
핵심기출문제 ………
1. 가설 설정
탐구 과정 : 관찰 → 가설 설정 → 실험 → 결과 → 일반화
2. ①
저배율일수록 시야가 넓게 보인다.
3. ④
관찰 내용은 사실 그대로 기록하여야 한다.
4. 경통이 올라간다.
(나)는 조동 나사이다.
5. ④
(다)는 미동 나사이다.
6. (라) 회전판
(가) 접안 렌즈, (라) 회전판, (마) 제물대, (바) 반사경
7. ④
8. ①
9. (1) 마 (2) 다
(가) : 접안 렌즈, (나) : 조동 나사, (다) : 미동 나사, (라) : 대물 렌즈, (마) : 반사경
10. 프레파라트
11. ②12. ②13. ①14. ①15. ①
16. ④
곤충의 활동은 꽃이 피어서 활동하는 시각과 관계가 있다. 기온이 높아지고 햇빛이 강해지면 식물체 내의 활동이 왕성해지므로 곤충이 많이 모여든다.
17. ①
현미경은 처음에 저배율로 관찰한다.
18. ②
현미경을 편평한 곳에 놓고 경통을 올린 다음 프레파라트를 올려 놓고 시야를 밝게 조절한다.
19. 관찰
탐구 과정 중 가장 먼저하는 것은 관찰이다.
20. ①
배율이 낮을수록 시야가 넓어져서 많은 수의 생물을 관찰할 수 있다.
21. ④
관찰이란 사물이나 자연 현상을 자세히 알아보는 일로서, 보다 정확한 관찰을 위하여 망원경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생물뿐만 아니라 모든 자연이 관찰의 대상이며 관찰할 때에는 많은 관심과 의문점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22. ①
관찰 결과는 감각 기관이 느낀대로 정확하고 간단 명료하게 기록하며,결과를 예측하거나 남이 알아볼 수 없도록 기록하지는 않는다. 한편,관찰 결과를 주로 글이나 그림 또는 표로 나타내는 것이 보통이나, 사진, 녹음기, 비디오 테이프 등을 이용하면 편리할 때도 있다.
23. ②
관찰은 감각 기관을 통하여 느낀 것이므로 예측이나 추측으로 얻은 것은 관찰의 내용이 될 수 없다. 두 식물의 키, 줄기, 잎 모양 그리고꽃은 우리의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지만, 나이는 감각 기관만으로 알수 없다.
24. ④25. ③
26. ①
고배율일수록 시야가 좁고 어두우며 적은 수의 세포를 자세히 관찰할수 있다.
27. ④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는 먼저 저배율로 관찰한 다음 필요에 따라 고배율로 변경하여 관찰한다.
28. ① 고 ② 저 ③ 고④ 고 ⑤ 저
29. (다), (마)
현미경 관찰시 두 눈을 모두 뜨고 보며, 직사 광선은 피해야 한다.
30. ③31. ②32. ②33. ⑤

키워드

관찰,   고배율,   현미경,   자연,   배율,   세포,   곤충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199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2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