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모양이 원형으로 일정하다.
이에 비해 외떡잎식물은 물관부와 체관부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형성 층이 없어 부피성장을 하지 못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B. dicot plant leaf tissue system
상층 구조 (도형으로 표시)
쌍떡잎의 구조는 하나 또는 여럿의 층으로서, 엽록체의 유조직 세포로 빽빽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머지 여러 조직들은 얇은 세포의 층에서 광합성이 효과적으로 일어나게 한다. 유조직의 긴밀한 층은 책상유조직 이라 하며, 이 세포들은 서로 간, 빽빽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잎의 윗 표면 쪽에 수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층 구조
상층과 대조적으로 느슨하게 쌓여있는 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들 사이는 수많은 공기 공간들이 있다. 이 공기 공간은 대기로의 공기의 빠른 확산을 돕는다.
cf.
vascular bundle : 관다발 xylem : 물관부
cambium : 형성층 phloem : 체관부
cortex : 식물의 피층
parenchyma:유조직
chloroplasts: 엽록체
palisade mesophyll: 책상유조직
3. Xylem 과 phloem 의 구조와 기능적 차이점은 무엇인가?
참고문헌
순천향대학교 캠퍼스 내 관속 식물상 (2003년도 학술지 논문)/ 박기진
미생물학 실험/한국미생물학회-아카데미 서적
이미지 참조
www.nsci.plu.edu/b359web/pages/apleaves.htm
www.inclinehs.org/smb/Sungirls/index.htm
www1.fccj.edu/dbyres/plants.htm
이에 비해 외떡잎식물은 물관부와 체관부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형성 층이 없어 부피성장을 하지 못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B. dicot plant leaf tissue system
상층 구조 (도형으로 표시)
쌍떡잎의 구조는 하나 또는 여럿의 층으로서, 엽록체의 유조직 세포로 빽빽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머지 여러 조직들은 얇은 세포의 층에서 광합성이 효과적으로 일어나게 한다. 유조직의 긴밀한 층은 책상유조직 이라 하며, 이 세포들은 서로 간, 빽빽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잎의 윗 표면 쪽에 수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층 구조
상층과 대조적으로 느슨하게 쌓여있는 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들 사이는 수많은 공기 공간들이 있다. 이 공기 공간은 대기로의 공기의 빠른 확산을 돕는다.
cf.
vascular bundle : 관다발 xylem : 물관부
cambium : 형성층 phloem : 체관부
cortex : 식물의 피층
parenchyma:유조직
chloroplasts: 엽록체
palisade mesophyll: 책상유조직
3. Xylem 과 phloem 의 구조와 기능적 차이점은 무엇인가?
참고문헌
순천향대학교 캠퍼스 내 관속 식물상 (2003년도 학술지 논문)/ 박기진
미생물학 실험/한국미생물학회-아카데미 서적
이미지 참조
www.nsci.plu.edu/b359web/pages/apleaves.htm
www.inclinehs.org/smb/Sungirls/index.htm
www1.fccj.edu/dbyres/plants.htm
추천자료
상수도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생물학적 산소요구량)실험에 대해서
[생물학 실험보고서] Direct PCR 방법을 이용한 GMO 판별
[생물학 실험보고서] LB 배지를 만들기
[생물학 실험]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생물학 실험] Xenopus의 발생과 축(axis) 형성
생물학 실험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온도, pH, salt의 영향
[생물학 실험] 상추실험 - 상추 치아 미백 실험
생물학 실험보고서 - 원생생물 관찰
다양한 호소생물의 관찰 (생물학 실험 예비보고서)
[세포 생물학 실험] pH 변화에 따른 Enzyme의 Activty(pH 효소 활성화)
[공학생물학 및 실험] 초파리 침샘염색체 관찰: 침샘염색체의 슬라이드 표본을 제작하는 방...
[레포트paper] 생물학 실험-PCR&molecular cloning
생물학 실험제목 : 혈구세포 관찰
[레포트] 분자생물학 실험보고서 real time PCR 실험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