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00~157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은광여, 오산)
① 내린 눈의 부피를 잰다.
② 우량계로 내린 눈의 양을 잰다.
③ 내린 눈의 질량을 잰다.
④ 내린 눈을 녹여서 우량계로 잰다.
⑤ 내린 눈의 깊이를 잰다.
154. 더운 여름날 마당에 물을 뿌리면 시원해지는 이유는 ? (수서, 서초)
① 물이 마당을 식혀주기 때문에
② 물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③ 물이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④ 물은 스스로 열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⑤ 물의 비열이 매우 크기 때문에
155. 다음 중 비에 대한 바른 설명은 ?(대치, 고덕)
① 열대 지방의 비는 온대 지방의 비보다 따뜻하고 빗방울이 작다.
② 열대 지방의 비는 온대 지방의 비보다 차고 빗방울이 크다.
③ 열대 지방의 비는 구름 속의 얼음이 녹아서 내리는 것이다.
④ 열대 지방의 비는 물방울이 여러 개 뭉쳐서 내리는 것이다.
⑤ 온대 지방의 비는 물방울이 여러 개 모여서 내리는 것이다.
156. 맑은 날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바람이 분다. (a)와 (b) 지역의 일기는 차츰 어떻게 변하겠 는가 ? (목일, 풍납여)
(a) (b)
① 맑음 맑음
② 맑음 흐리고 비
③ 흐리고 비 맑음
④ 흐리고 비 흐리고 비
⑤ 갬 흐리고 비
157. 구름 속의 큰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고 하늘에 떠 있는 이유는 ?
① 상승 기류 때문에 (아주, 경희)
② 물방울이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③ 기압이 낮기 때문에
④ 물방울이 뭉쳐서 있기 때문에
⑤ 기온이 매우 낮기 때문에
100. 물방울
101. 이슬
102. 포화 수증기량
103. 12.8g
수직 이동하여 세로축과 만나는 값
104. 6.8g
수평으로 이동하여 세로축과 만나는 값
105. 6.0g
12.8g - 6.8g = 6.0g
106. 5℃
수평으로 이동하여 포화 수증기량 곡선과 만나는 온도
107. 태양 복사 에너지
대기의 순환과 함께 물의 순환을 일으키는 원동력은 태양 복사 에너지이다.
108. ①
바다의 물이 공기 중의 수증기로 될 때 (A)는 열을 흡수하고,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할 때 (B)는 열을 방출한다.
109. ⑤
물은 상태 변화를 하면서 육지와 바다, 대기 사이를 끊임없이 순환한다.
110. ②
포화 상태가 되어도 대기 중에 응결핵이 없으며 응결이 일어나지 않는다.
111. ②
112. ⑤
113. ③
114. 92.3%
수증기량은 이므로
습도는 이다.
115. ②
116.
117. ①
온도와 포화 수증기량은 비례하므로 습도는 낮아진다.
118. ④
119. 눈(비)
증위도나 고위도의 강수 이론인 찬비에 대한 설명으로, 빙정에 수증기가 달라붙어 떨어지면 눈이 되고, 떨어지다가 녹은 것이 비이다.
120. 강수량
강수량 = 강설량 + 강우량
121. ①
눈이 결정은 약 31종이며, 눈이 만들어질 때의 기온과 수증기의 공급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모양을 만든다.
122. ④
구름 속에 빙정이 없어도 비가 올 수 있다. → 열대 지방
123. 23℃
습구와 건구의 기온 차가 2℃이므로 건구의 온도는 21+2=23(℃)이다.
124. 기온
기온이 높아지면 습도는 낮아진다.
125. B, A
기온은 오후 3시경에 최대이고, 습도는 기온과 반비례한다.
126. ③
B 그래프에서 최대, 최소값의 차이가 일변화이다. 22℃ - 8℃ = 14℃
127. 50%
A 그래프의 최대, 최소값의 차이는
128. ④
이슬점은 기온과는 무관하며 수증기량이 많으면 이슬점은 높아진다.
129. ③
130. ④
131. ①
구름과 안개는 포화 상태에 도달한 수증기가 응결된 것으로 성분은 같지만 알갱이의 크기는 다르다.
132. 15℃
컵 안의 밀폐되었기 때문에 수증기가 증발하여 공기 안에 포함될 수 있는 양은 한정되어 있다.
133. 10.3g
온도가 올라갈수록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량이 증가한다.
134. 15℃
15℃일 때의 포화 수증기량이 12.8g이다.
135. 10.3g
25℃의 포화 수증기량이 23.1g이고 현재 수증기량이 12.8g이므로 10.3g 수증기를 더 포함해야 포화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136. 6g
5℃의 포화 수증기량은 6.8g이므로 현재 12.8g - 6.8g = 6.0g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이 된다.
137. 약 55.4%
상대 습도
138. A, D
그래프의 가로축에 표시된 시간을 보면, 한 낮에 가장 높은 값을 보이는 것이 기온이 되고, 하루 중 공기 속의 수증기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으며, 상대 습도는 포화 수증기량에 대한 현재 수증기량의 백분율이므로 온도가 높을수록 포화 수증기량이 커지기 때문에 상대 습도는 작아진다.
139. ④
?과포화 수증기량은 비례한다.
140. ①
피스톤을 잡아당기면 물방울이 생긴다.
141. ③
피스톤을 밀면 기온이 높아지고 포화 수증기량이 커져서 습도가 낮아진다.
142. ①, ④
공기가 상승하면 부피는 팽창하고, 기온이 내려간다.
143. ③
144. ①
상대 습도와 기온은 반대로 나타난다. 따라서 기온이 낮은 0 시 ~ 6 시 사이의 상대 습도가 가장 높다.
145. ②
포화 수증량 곡선상에 있는 곳의 상대 습도는 100%이다.
146. 난층운
난층운은 약한 비를 뿌린다.
147. 권운
새털구름 = 권운
148. 서리
서리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바로 얼어서 물체에 붙은 것이다.
149. ③
안개는 새벽과 저녁에 잘 생긴다.
150. ④
응결 현상에 의해서 생기는 것은 이슬, 구름, 안개 등이다.
151. 적운
뭉게 구름 = 적운
152. ④
상승 기류가 강하면 적운형 구름이 되고, 상승 기류가 약하면, 층운형 구름이 된다.
153. ④
154. ③
물이 증발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한다.
155. ④
열대 지방은 물방울이 합쳐져서 비가 되어 내린다(병합설).
156. ③
(a) 지역은 공기가 상승하므로 구름이 만들어져서 비를 뿌리고, (b) 지역에서는 건조하고 따뜻한 바람이 분다.
157. ①
구름의 작은 물방울은 약한 기류에 의해서도 또 있으나, 얼음 알갱이나 큰 물방울은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서 떠 있게 된다.
① 내린 눈의 부피를 잰다.
② 우량계로 내린 눈의 양을 잰다.
③ 내린 눈의 질량을 잰다.
④ 내린 눈을 녹여서 우량계로 잰다.
⑤ 내린 눈의 깊이를 잰다.
154. 더운 여름날 마당에 물을 뿌리면 시원해지는 이유는 ? (수서, 서초)
① 물이 마당을 식혀주기 때문에
② 물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③ 물이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④ 물은 스스로 열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⑤ 물의 비열이 매우 크기 때문에
155. 다음 중 비에 대한 바른 설명은 ?(대치, 고덕)
① 열대 지방의 비는 온대 지방의 비보다 따뜻하고 빗방울이 작다.
② 열대 지방의 비는 온대 지방의 비보다 차고 빗방울이 크다.
③ 열대 지방의 비는 구름 속의 얼음이 녹아서 내리는 것이다.
④ 열대 지방의 비는 물방울이 여러 개 뭉쳐서 내리는 것이다.
⑤ 온대 지방의 비는 물방울이 여러 개 모여서 내리는 것이다.
156. 맑은 날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바람이 분다. (a)와 (b) 지역의 일기는 차츰 어떻게 변하겠 는가 ? (목일, 풍납여)
(a) (b)
① 맑음 맑음
② 맑음 흐리고 비
③ 흐리고 비 맑음
④ 흐리고 비 흐리고 비
⑤ 갬 흐리고 비
157. 구름 속의 큰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고 하늘에 떠 있는 이유는 ?
① 상승 기류 때문에 (아주, 경희)
② 물방울이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③ 기압이 낮기 때문에
④ 물방울이 뭉쳐서 있기 때문에
⑤ 기온이 매우 낮기 때문에
100. 물방울
101. 이슬
102. 포화 수증기량
103. 12.8g
수직 이동하여 세로축과 만나는 값
104. 6.8g
수평으로 이동하여 세로축과 만나는 값
105. 6.0g
12.8g - 6.8g = 6.0g
106. 5℃
수평으로 이동하여 포화 수증기량 곡선과 만나는 온도
107. 태양 복사 에너지
대기의 순환과 함께 물의 순환을 일으키는 원동력은 태양 복사 에너지이다.
108. ①
바다의 물이 공기 중의 수증기로 될 때 (A)는 열을 흡수하고,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할 때 (B)는 열을 방출한다.
109. ⑤
물은 상태 변화를 하면서 육지와 바다, 대기 사이를 끊임없이 순환한다.
110. ②
포화 상태가 되어도 대기 중에 응결핵이 없으며 응결이 일어나지 않는다.
111. ②
112. ⑤
113. ③
114. 92.3%
수증기량은 이므로
습도는 이다.
115. ②
116.
117. ①
온도와 포화 수증기량은 비례하므로 습도는 낮아진다.
118. ④
119. 눈(비)
증위도나 고위도의 강수 이론인 찬비에 대한 설명으로, 빙정에 수증기가 달라붙어 떨어지면 눈이 되고, 떨어지다가 녹은 것이 비이다.
120. 강수량
강수량 = 강설량 + 강우량
121. ①
눈이 결정은 약 31종이며, 눈이 만들어질 때의 기온과 수증기의 공급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모양을 만든다.
122. ④
구름 속에 빙정이 없어도 비가 올 수 있다. → 열대 지방
123. 23℃
습구와 건구의 기온 차가 2℃이므로 건구의 온도는 21+2=23(℃)이다.
124. 기온
기온이 높아지면 습도는 낮아진다.
125. B, A
기온은 오후 3시경에 최대이고, 습도는 기온과 반비례한다.
126. ③
B 그래프에서 최대, 최소값의 차이가 일변화이다. 22℃ - 8℃ = 14℃
127. 50%
A 그래프의 최대, 최소값의 차이는
128. ④
이슬점은 기온과는 무관하며 수증기량이 많으면 이슬점은 높아진다.
129. ③
130. ④
131. ①
구름과 안개는 포화 상태에 도달한 수증기가 응결된 것으로 성분은 같지만 알갱이의 크기는 다르다.
132. 15℃
컵 안의 밀폐되었기 때문에 수증기가 증발하여 공기 안에 포함될 수 있는 양은 한정되어 있다.
133. 10.3g
온도가 올라갈수록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량이 증가한다.
134. 15℃
15℃일 때의 포화 수증기량이 12.8g이다.
135. 10.3g
25℃의 포화 수증기량이 23.1g이고 현재 수증기량이 12.8g이므로 10.3g 수증기를 더 포함해야 포화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136. 6g
5℃의 포화 수증기량은 6.8g이므로 현재 12.8g - 6.8g = 6.0g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이 된다.
137. 약 55.4%
상대 습도
138. A, D
그래프의 가로축에 표시된 시간을 보면, 한 낮에 가장 높은 값을 보이는 것이 기온이 되고, 하루 중 공기 속의 수증기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으며, 상대 습도는 포화 수증기량에 대한 현재 수증기량의 백분율이므로 온도가 높을수록 포화 수증기량이 커지기 때문에 상대 습도는 작아진다.
139. ④
?과포화 수증기량은 비례한다.
140. ①
피스톤을 잡아당기면 물방울이 생긴다.
141. ③
피스톤을 밀면 기온이 높아지고 포화 수증기량이 커져서 습도가 낮아진다.
142. ①, ④
공기가 상승하면 부피는 팽창하고, 기온이 내려간다.
143. ③
144. ①
상대 습도와 기온은 반대로 나타난다. 따라서 기온이 낮은 0 시 ~ 6 시 사이의 상대 습도가 가장 높다.
145. ②
포화 수증량 곡선상에 있는 곳의 상대 습도는 100%이다.
146. 난층운
난층운은 약한 비를 뿌린다.
147. 권운
새털구름 = 권운
148. 서리
서리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바로 얼어서 물체에 붙은 것이다.
149. ③
안개는 새벽과 저녁에 잘 생긴다.
150. ④
응결 현상에 의해서 생기는 것은 이슬, 구름, 안개 등이다.
151. 적운
뭉게 구름 = 적운
152. ④
상승 기류가 강하면 적운형 구름이 되고, 상승 기류가 약하면, 층운형 구름이 된다.
153. ④
154. ③
물이 증발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한다.
155. ④
열대 지방은 물방울이 합쳐져서 비가 되어 내린다(병합설).
156. ③
(a) 지역은 공기가 상승하므로 구름이 만들어져서 비를 뿌리고, (b) 지역에서는 건조하고 따뜻한 바람이 분다.
157. ①
구름의 작은 물방울은 약한 기류에 의해서도 또 있으나, 얼음 알갱이나 큰 물방울은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서 떠 있게 된다.
추천자료
한국과 서양 수영의 역사 비교 및 의의와 특성
세계의 각 기후 지역의 특성
알루미늄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우리나라 환경정책의 과제와 추진방향
중국음식문화의 이해
[엘니뇨][엘리뇨][라니냐][이상기후][지구온난화]엘니뇨(엘리뇨)와 라니냐, 엘니뇨(엘리뇨)의...
수입이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Doctor Fish를 통한 생산성 분석
(1) 우리나라의 태풍처럼 미국의 허리케인은 여름철 기상의 주요한 요인이며, 허리케인은 인...
광학현미경,실체현미경 실험
야콘
원예작물학2, 근처 화원에서 거래되는 화훼의 종류를 조사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함 (30점).
[코코넛오일] 코코넛오일의 효능, 성분, 특징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