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상태나 수용액에서는 전기를 통한다. 그 이유로 옳은 것은 ? (숭의여, 신반포)
① 용융 상태가 수용액 상태나 되면 전자가 많아진다.
② 일반적으로 결정체는 전류를 잘 통하지 않는다.
③ 고체 상태는 분자로 되어 있고, 액체나 수용액에서는 이온으로 분리된다.
④ 염화나트륨은 고체에서나 액체에서 이온으로 되기 매우 어려운 물질이다.
⑤ 고체나 액체 상태에서 모두 Na+와 Cl-로 되어 있으나, 고체 상태에서는 이온들이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고 액체나 수용액 상태에서는 이온 들이 자유롭게 움직인다.
36. 다음 이온식 중 옳지 않은 것은 ? (홍대사대부속)
① Zn → Zn2+ + 2② K → K+ +
③ Cu + 2 → Cu2+④ I + → I-
⑤ Cl- → Cl +
37. 그림과 같은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온식은 ? (예일여, 경희)
① O2- - 2 → O② Zn → Zn2+ + 2
③ Fe + 2 → Fe2+④ S + 2 → S2-
⑤ Mg2+ + 2 → Mg
38. 중성 상태에서 전자 2개를 잃어서 된 이온은 ? (옥정, 서라벌)
① NH4+② S2-
③ Fe2+④ SO42-
⑤ Cl2+
39. 다음 그림과 같은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온식은 ? (방학, 언북)
① Na → Na+ + ② Cl + → Cl-
③ Cu → Cu2+ + 2④ S + 2 → S2-
⑤ NO3 + → NO3-
40. 오른쪽 그림은 어떤 물질이 물에 녹아 이온화된 것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다음 중 이와 같은 모형으로 이온화되는 것은 ? (풍납, 과천)
① NaCl② CaCl2
③ Na2CO3④ CuSO4
⑤ AgNO3
1. ③
물에 녹아 전류를 흐르게 하는 물질을 전해질이라고 한다.
2. ③
설탕과 알코올은 물에는 녹지만 이온화하지 못한다.
3. ③
원자가 전자를 얻으면 (-)전하를 띠며, 부호 앞의 숫자는 얻은 전자수를 의미한다.
4. ④
용액 속에 Cu2+가 들어 있으면 푸른색이 나타난다.
5. ①
6. ④
7. ④
8. 2Cl-
9. ⑤
10. ②
전해질은 물에 녹아 전류를 흐르게 하는 물질이지만, 고체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11. ㄴ, ㄹ, ㅅ
물에 녹아도 이온화되지 않는 물질은 비전해질이다.
12. ③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양이온이, 전자를 얻으면 음이온이 된다.
13. 1 : 2
염화구리(Ⅱ)의 화학식은 CuCl2이다.
14. ⑤
전해질이 이온화하여 생긴 양이온과 음이온의 전하량은 항상 같다.
15. ②
물질 입자들을 쉴 새 없이 움직인다. 위의 기본 입자 는 와 ○로까지 쪼갤 수 있는데, 와 ○를 ‘원자’라 하고 와 같이 물질의 성질을 지닌 기본 입자를 ‘분자’라 한다. 얼음은 분자들이 6각형으로 모여 이룬 큰 공간 때문에 물보다 부피가 더 크다.
물질의 종류가 다르면 입자의 크기가 달라, 고체(혹은 액체)에서는 같은 개수가 모여도 전체 부피가 달라지게 되나, 기체에서는 입자 크기의 차이가 전체 부피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같은 개수가 모이면 그 부피가 같게 된다. 이를 ‘아보가드로의 법칙’이라 한다.
16. ①
원자의 종류는 약 100여 종이며, 이 원자들이 다양한 형태로 결합하여 분자를 이루므로 다양한 물질이 만들어진다. 원자들이 결합하여 한 가지 물질을 만들 때는, 반드시 일정한 개수비로만 결합하여 일정 성분비의 법칙이 성립된다.
17. NaCl → Na+ + Cl-
Na+와 Cl-가 전기적 인력으로 뭉쳐 있는 NaCl 결정이 물에 녹으면, 물 분자에 의해 Na+와 Cl-가 나뉘어져 각각 독립된 입자가 되어 움직이게 되는데, 이를 ‘해리’라 한다.
18. 전자()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양이온, 얻으면 음이온이 된다.
19. ③
그림을 보면, Cu2+가 (-)극으로 끌려가 2개의 전자를 받아 Cu 원자로 되면서 (-)극에 붙고, Cl-는 (+)극으로 끌려가 전자 1개를 주고 Cl 원자로 되면서 주변의 다른 Cl과 결합하여 Cl2분자가 된다.
20. 2HCl → H2 + Cl2
화학 변화를 화학식을 이용해 간단히 나타낸 것이 화학 반응식이다. 염화구리(Ⅱ)의 전기 분해는 「CuCl2 → Cu + Cl2」로 나타낸다.
21. ⑤
A그룹은 전해질이고, B그룹은 비전해질이다.
22. ②
어느 한도까지는 전해질의 농도가 진해질수록 전류의 세기는 증가한다.
23. ②
전자를 잃으면 양이온이 된다.
24. ②
염화나트륨은 나트륨 이온과 염화 이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체 염화나트륨은 나트륨 이온과 염화 이온이 서로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이온들은 각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다.
25. ①
전해질의 수용액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양이온은 (-)극으로, 음이온은 (+)극으로 끌려간다.
26. 얻은 전자의 수 → 잃은 전자의 수
원자나 원자단이 전자를 잃으면 양이온이 되고, 전자를 얻으면 음이온이 된다.
27. ④
양이온은 원소 이름 +이온, 음이온은 원소 이름 + “화” +이온으로 나타낸다.
28. ③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양이온이 된다.
29. ①
원자는 (+)전하와 (-)전하의 총량이 같으며, 원자가 전자 2개를 얻으면 -2가의 이온이 된다.
30. ④
수용액 속의 Cu2+은 (-)극으로, Cl-은 (+)극으로 끌려간다.
31. ②
전구에 불이 켜지는 것은 전해질이 물에 녹아 이온화한 경우이다.
32. ①
모형은 중성 원자가 전자 1개를 잃고 (+)이온이 되는 것이다.
33. ③
전자를 잃으면 (+)이온이 되며, 원소의 오른쪽 어깨 위에 숫자로 표시한다.
34. ②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하량과 (-)전하량은 같다.
35. ⑤
이온 결정의 결정 단위는 양이온과 음이온이며, 고체에서는 전기 부도체, 용융 상태에서는 전기 도체이다.
36. ③
Cu는 전자를 받을 수 없고, 오히려 전자를 잃어 양이온이 되므로, Cu → Cu2+ + 2로 써야 한다.
37. ⑤
2+의 양이온이 전자 2개를 얻어 중성 원자가 되는 모형이다.
38. ③
중성에서 전자 2개를 잃으면 양전하가 2개 많은 상태가 된다.
39. ③
중성 원자가 전자 2개를 잃어 양이온이 되는 모형이다.
40. ②
이온화되어 생긴 양이온 : 음이온의 비가 1 : 2이다.
① 용융 상태가 수용액 상태나 되면 전자가 많아진다.
② 일반적으로 결정체는 전류를 잘 통하지 않는다.
③ 고체 상태는 분자로 되어 있고, 액체나 수용액에서는 이온으로 분리된다.
④ 염화나트륨은 고체에서나 액체에서 이온으로 되기 매우 어려운 물질이다.
⑤ 고체나 액체 상태에서 모두 Na+와 Cl-로 되어 있으나, 고체 상태에서는 이온들이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고 액체나 수용액 상태에서는 이온 들이 자유롭게 움직인다.
36. 다음 이온식 중 옳지 않은 것은 ? (홍대사대부속)
① Zn → Zn2+ + 2② K → K+ +
③ Cu + 2 → Cu2+④ I + → I-
⑤ Cl- → Cl +
37. 그림과 같은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온식은 ? (예일여, 경희)
① O2- - 2 → O② Zn → Zn2+ + 2
③ Fe + 2 → Fe2+④ S + 2 → S2-
⑤ Mg2+ + 2 → Mg
38. 중성 상태에서 전자 2개를 잃어서 된 이온은 ? (옥정, 서라벌)
① NH4+② S2-
③ Fe2+④ SO42-
⑤ Cl2+
39. 다음 그림과 같은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온식은 ? (방학, 언북)
① Na → Na+ + ② Cl + → Cl-
③ Cu → Cu2+ + 2④ S + 2 → S2-
⑤ NO3 + → NO3-
40. 오른쪽 그림은 어떤 물질이 물에 녹아 이온화된 것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다음 중 이와 같은 모형으로 이온화되는 것은 ? (풍납, 과천)
① NaCl② CaCl2
③ Na2CO3④ CuSO4
⑤ AgNO3
1. ③
물에 녹아 전류를 흐르게 하는 물질을 전해질이라고 한다.
2. ③
설탕과 알코올은 물에는 녹지만 이온화하지 못한다.
3. ③
원자가 전자를 얻으면 (-)전하를 띠며, 부호 앞의 숫자는 얻은 전자수를 의미한다.
4. ④
용액 속에 Cu2+가 들어 있으면 푸른색이 나타난다.
5. ①
6. ④
7. ④
8. 2Cl-
9. ⑤
10. ②
전해질은 물에 녹아 전류를 흐르게 하는 물질이지만, 고체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11. ㄴ, ㄹ, ㅅ
물에 녹아도 이온화되지 않는 물질은 비전해질이다.
12. ③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양이온이, 전자를 얻으면 음이온이 된다.
13. 1 : 2
염화구리(Ⅱ)의 화학식은 CuCl2이다.
14. ⑤
전해질이 이온화하여 생긴 양이온과 음이온의 전하량은 항상 같다.
15. ②
물질 입자들을 쉴 새 없이 움직인다. 위의 기본 입자 는 와 ○로까지 쪼갤 수 있는데, 와 ○를 ‘원자’라 하고 와 같이 물질의 성질을 지닌 기본 입자를 ‘분자’라 한다. 얼음은 분자들이 6각형으로 모여 이룬 큰 공간 때문에 물보다 부피가 더 크다.
물질의 종류가 다르면 입자의 크기가 달라, 고체(혹은 액체)에서는 같은 개수가 모여도 전체 부피가 달라지게 되나, 기체에서는 입자 크기의 차이가 전체 부피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같은 개수가 모이면 그 부피가 같게 된다. 이를 ‘아보가드로의 법칙’이라 한다.
16. ①
원자의 종류는 약 100여 종이며, 이 원자들이 다양한 형태로 결합하여 분자를 이루므로 다양한 물질이 만들어진다. 원자들이 결합하여 한 가지 물질을 만들 때는, 반드시 일정한 개수비로만 결합하여 일정 성분비의 법칙이 성립된다.
17. NaCl → Na+ + Cl-
Na+와 Cl-가 전기적 인력으로 뭉쳐 있는 NaCl 결정이 물에 녹으면, 물 분자에 의해 Na+와 Cl-가 나뉘어져 각각 독립된 입자가 되어 움직이게 되는데, 이를 ‘해리’라 한다.
18. 전자()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양이온, 얻으면 음이온이 된다.
19. ③
그림을 보면, Cu2+가 (-)극으로 끌려가 2개의 전자를 받아 Cu 원자로 되면서 (-)극에 붙고, Cl-는 (+)극으로 끌려가 전자 1개를 주고 Cl 원자로 되면서 주변의 다른 Cl과 결합하여 Cl2분자가 된다.
20. 2HCl → H2 + Cl2
화학 변화를 화학식을 이용해 간단히 나타낸 것이 화학 반응식이다. 염화구리(Ⅱ)의 전기 분해는 「CuCl2 → Cu + Cl2」로 나타낸다.
21. ⑤
A그룹은 전해질이고, B그룹은 비전해질이다.
22. ②
어느 한도까지는 전해질의 농도가 진해질수록 전류의 세기는 증가한다.
23. ②
전자를 잃으면 양이온이 된다.
24. ②
염화나트륨은 나트륨 이온과 염화 이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체 염화나트륨은 나트륨 이온과 염화 이온이 서로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이온들은 각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다.
25. ①
전해질의 수용액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양이온은 (-)극으로, 음이온은 (+)극으로 끌려간다.
26. 얻은 전자의 수 → 잃은 전자의 수
원자나 원자단이 전자를 잃으면 양이온이 되고, 전자를 얻으면 음이온이 된다.
27. ④
양이온은 원소 이름 +이온, 음이온은 원소 이름 + “화” +이온으로 나타낸다.
28. ③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양이온이 된다.
29. ①
원자는 (+)전하와 (-)전하의 총량이 같으며, 원자가 전자 2개를 얻으면 -2가의 이온이 된다.
30. ④
수용액 속의 Cu2+은 (-)극으로, Cl-은 (+)극으로 끌려간다.
31. ②
전구에 불이 켜지는 것은 전해질이 물에 녹아 이온화한 경우이다.
32. ①
모형은 중성 원자가 전자 1개를 잃고 (+)이온이 되는 것이다.
33. ③
전자를 잃으면 (+)이온이 되며, 원소의 오른쪽 어깨 위에 숫자로 표시한다.
34. ②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하량과 (-)전하량은 같다.
35. ⑤
이온 결정의 결정 단위는 양이온과 음이온이며, 고체에서는 전기 부도체, 용융 상태에서는 전기 도체이다.
36. ③
Cu는 전자를 받을 수 없고, 오히려 전자를 잃어 양이온이 되므로, Cu → Cu2+ + 2로 써야 한다.
37. ⑤
2+의 양이온이 전자 2개를 얻어 중성 원자가 되는 모형이다.
38. ③
중성에서 전자 2개를 잃으면 양전하가 2개 많은 상태가 된다.
39. ③
중성 원자가 전자 2개를 잃어 양이온이 되는 모형이다.
40. ②
이온화되어 생긴 양이온 : 음이온의 비가 1 : 2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