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는 북극성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루에 360°를 돈다.
18. ⑤
밤과 낮이 바뀌는 현상은 지구 자전에 의한 것이고, 밤과 낮의 길이 변화는 지구 공전에 의한 현상이다.
19. ③
유리 막대는 지구의 자전축이며, 수면은 지평선이 된다.
20. ①
북극성의 고도는 그 지점의 위도와 같으므로 두 지점의 위도 차이는 30°이다. 따라서,
21. ④
지구는 달에 비해 4배가 크기 때문에 각지름도 4배로 커진다.
22. ④
중심각의 크기와 원호의 길이가 비례함을 이용한다.
23. ①
북극성의 고도는 그 지방의 위도와 같다. 따라서 두 지방의 위도차는 두 지방에서 북극성의 고도차와 같다.
24. 황도
25. ②
태양의 시운동은 태양이 지구 둘레를 돈다고 해도 설명이 된다.
26. ②
중심각의 크기와 호의 길이가 비례한다는 관계로부터 지구 모형의 크기를 구할 수 있는데, 중심각의 크기는 직접 측정할 수 없으므로 엇각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한다. 이 때, 햇빛이 평행하지 않다면 와 는 같다고 할 수 없다.
〔27~28〕문제에서 주어진 그림으로부터 달의 크기는 반지름이 인 원에서 중심각의 크기 를 알면 구할 수 있으므로
의 비례식을 세울 수 있다.
27. ㉠, ㉣
28. ⑤
29. ①
북극성의 고도는 그 지점의 위도와 같다. 따라서 A와 B가 지구 중심과 이루는 각은 50°-30°=20°이고, 원의 중심각과 호의 길이는 비례하므로 의 비례식을 세울 수 있다.
30. (1) 가 (2) 춘분, C (3) D (4) C
31. ②
32. 지구의 자전 때문에
33. ⑤
34. ⑤
별들은 천구의 북극을 중심으로 일주 운동을 하므로 지역에 따라 그 모습이 다르게 나타난다.
35. ④
천구의 적도는 황도와 23.5°기울어져 있다.
36. ④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므로 태양의 고도와 밤낮의 길이가 변화한다.
37. ④
지구는 서에서 동으로 하루에 360°자전하며 일주 운동은 지구 자전에 의한 상대적인 운동이다.
38. ④
천구의 적도는 지구의 적도를 연장한 것이므로 지평선이 천구의 적도와 나란한 곳은 지구의 북극과 남극이다.
39. ④
++지구 공전의 증거로는 계절에 따른 별자리의 이동, 별과 태양의 연주 운동, 밤낮의 길이 변화, 별의 시차 발생 등이 있다.
40. 서→동
그림을 겹쳐 놓으면 태양이 별자리 사이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다.
41. ③
태양의 시운동은 지구 공전에 의한 상대적인 운동이다.
42. ④
지구가 태양 둘레를 공전하기 때문에 천구상에서 보이는 별의 위치가 달라져 보이는 것이 별의 시차 현상이다.
43. ①
공전 궤도면과 지구 자전축이 66.5°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가 생긴다.
44. ④
밤과 낮의 길이 변화는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45. ②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나타나는 태양의 시운동 경로를 황도라 하는데, 태양은 황도를 따라 지구의 공전 방향으로 운동한다. 한편, 밤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는 태양의 반대쪽에 있는 별자리이다.
46. ⑤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대하여 90°를 이루고 있을 때는 밤과 낮의 길이가 일정하며, 태양의 남중 고도 변화가 없다.
47. ㈏-㈐-㈎
지구는 서에서 동으로 1일에 약 1°씩 공전하며 별자리의 변화는 지구의 공전에 의한 상대적인 운동이다.
48. ①
한밤중(자정)에 남중하는 별자리는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의 반대편에 있어야 한다.
49. ②
낮의 길이가 약 14시간으로 밤보다 길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낮의 길이가 4~5분씩 짧아지고 있다.
50. ⑤
북극성 주변의 별자리는 북극성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1시간에 약 15°씩 회전한다.
51. ③
24절기는 양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52. ④
태양 고도와 밤낮 길이 변화의 원인을 찾는다.
53. ③
태양의 고도 = 90-(37-23.5)
54. ③
지구의 적도와 자전축은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을 연장하여 천구와 만나는 점을 각각 천구의 적도, 천구의 북극과 남극이라고 한다.
55. ④
지평선은 관측자의 지평면이 천구와 만나 생긴 원이다.
56. 53°
위도는 북극성의 고도와 같으므로 37°이다.
∴ 남중 고도 = 90°- 37°= 53°
57. ⑤
지구는 하루를 주기으로 서에서 동으로 자전하므로 별의 일주 운동, 밤낮의 변화, 인공 위성 궤도의 서편 현상 등이 나타난다.
58. ②
하지는 태양이 북쪽으로 가장 높이 올라온 날로, 천구의 적도와 23.5°의 각을 이룬다.
59. B
우리 나라는 동지 때 태양 복사 에너지를 가장 적게 받는다.
60. ①
춘분, 추분 때는 밤과 낮의 길이가 같다.
61. ④
춘분이나 추분날 태양은 적도에 수직하게 비치므로 위도 35°인 지점에서의 태양의 고도( )는
62. C
63. ②
시에네에서는 하짓날 정오에 태양이 깊은 우물 수면에 자신의 모습을 비춘다.
64. ③
①은 남반구 중위도 지방, ②는 적도 지방, ③은 북반구의 중위도 지방, ④는 남극 지방에서 보이는 일주 운동 현상이다.
65. 지구의 자전 때문에
인공 위성 궤도의 서편 현상은 지구 자전의 증거이다.
66. 궁수자리
황도 12궁 중에서 태양이 겨울철에 지나는 별자리들은 여름철이 되어야 볼 수 있다.
67. ④
지구의 공전 궤도면은 황도면과 일치한다.
68. ②
태양이 지평선 위에 있는 시간과 아래에 있는 시간이 같은 지점이다.
69. ③
70. ④
71. ③
72. ④
태양빛은 평행하므로 AA'와 CB'는 평행하며, 와 는 엇각이므로 이다.
73. ⑤
태양의 남중 고도를 구하는 식은 90°- 위도 + (춘추분 0°, 하지 23.5°, 동지 - 23.5°)
74. ②
하짓날 태양은 천구의 적도에서 북쪽으로 약 23.5°떨어져 있다.
75. ③
지구는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과 66.5°기울어진 상태에서 서에서 동으로 1년을 주기로 공전한다.
76. ③
일주 운동의 모습은 위도에 따라 달라진다. 극에서는 지평선과 나란하며, 중위도에서는 비스듬히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며, 적도에서는 지평선과 수직으로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
77. ①
태양이 A에 있을 때 지구의 적도를 똑바로 비추므로 적도 지방이 햇빛을 가장 많이 받는다.
18. ⑤
밤과 낮이 바뀌는 현상은 지구 자전에 의한 것이고, 밤과 낮의 길이 변화는 지구 공전에 의한 현상이다.
19. ③
유리 막대는 지구의 자전축이며, 수면은 지평선이 된다.
20. ①
북극성의 고도는 그 지점의 위도와 같으므로 두 지점의 위도 차이는 30°이다. 따라서,
21. ④
지구는 달에 비해 4배가 크기 때문에 각지름도 4배로 커진다.
22. ④
중심각의 크기와 원호의 길이가 비례함을 이용한다.
23. ①
북극성의 고도는 그 지방의 위도와 같다. 따라서 두 지방의 위도차는 두 지방에서 북극성의 고도차와 같다.
24. 황도
25. ②
태양의 시운동은 태양이 지구 둘레를 돈다고 해도 설명이 된다.
26. ②
중심각의 크기와 호의 길이가 비례한다는 관계로부터 지구 모형의 크기를 구할 수 있는데, 중심각의 크기는 직접 측정할 수 없으므로 엇각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한다. 이 때, 햇빛이 평행하지 않다면 와 는 같다고 할 수 없다.
〔27~28〕문제에서 주어진 그림으로부터 달의 크기는 반지름이 인 원에서 중심각의 크기 를 알면 구할 수 있으므로
의 비례식을 세울 수 있다.
27. ㉠, ㉣
28. ⑤
29. ①
북극성의 고도는 그 지점의 위도와 같다. 따라서 A와 B가 지구 중심과 이루는 각은 50°-30°=20°이고, 원의 중심각과 호의 길이는 비례하므로 의 비례식을 세울 수 있다.
30. (1) 가 (2) 춘분, C (3) D (4) C
31. ②
32. 지구의 자전 때문에
33. ⑤
34. ⑤
별들은 천구의 북극을 중심으로 일주 운동을 하므로 지역에 따라 그 모습이 다르게 나타난다.
35. ④
천구의 적도는 황도와 23.5°기울어져 있다.
36. ④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므로 태양의 고도와 밤낮의 길이가 변화한다.
37. ④
지구는 서에서 동으로 하루에 360°자전하며 일주 운동은 지구 자전에 의한 상대적인 운동이다.
38. ④
천구의 적도는 지구의 적도를 연장한 것이므로 지평선이 천구의 적도와 나란한 곳은 지구의 북극과 남극이다.
39. ④
++지구 공전의 증거로는 계절에 따른 별자리의 이동, 별과 태양의 연주 운동, 밤낮의 길이 변화, 별의 시차 발생 등이 있다.
40. 서→동
그림을 겹쳐 놓으면 태양이 별자리 사이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다.
41. ③
태양의 시운동은 지구 공전에 의한 상대적인 운동이다.
42. ④
지구가 태양 둘레를 공전하기 때문에 천구상에서 보이는 별의 위치가 달라져 보이는 것이 별의 시차 현상이다.
43. ①
공전 궤도면과 지구 자전축이 66.5°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가 생긴다.
44. ④
밤과 낮의 길이 변화는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45. ②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나타나는 태양의 시운동 경로를 황도라 하는데, 태양은 황도를 따라 지구의 공전 방향으로 운동한다. 한편, 밤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는 태양의 반대쪽에 있는 별자리이다.
46. ⑤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대하여 90°를 이루고 있을 때는 밤과 낮의 길이가 일정하며, 태양의 남중 고도 변화가 없다.
47. ㈏-㈐-㈎
지구는 서에서 동으로 1일에 약 1°씩 공전하며 별자리의 변화는 지구의 공전에 의한 상대적인 운동이다.
48. ①
한밤중(자정)에 남중하는 별자리는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의 반대편에 있어야 한다.
49. ②
낮의 길이가 약 14시간으로 밤보다 길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낮의 길이가 4~5분씩 짧아지고 있다.
50. ⑤
북극성 주변의 별자리는 북극성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1시간에 약 15°씩 회전한다.
51. ③
24절기는 양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52. ④
태양 고도와 밤낮 길이 변화의 원인을 찾는다.
53. ③
태양의 고도 = 90-(37-23.5)
54. ③
지구의 적도와 자전축은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을 연장하여 천구와 만나는 점을 각각 천구의 적도, 천구의 북극과 남극이라고 한다.
55. ④
지평선은 관측자의 지평면이 천구와 만나 생긴 원이다.
56. 53°
위도는 북극성의 고도와 같으므로 37°이다.
∴ 남중 고도 = 90°- 37°= 53°
57. ⑤
지구는 하루를 주기으로 서에서 동으로 자전하므로 별의 일주 운동, 밤낮의 변화, 인공 위성 궤도의 서편 현상 등이 나타난다.
58. ②
하지는 태양이 북쪽으로 가장 높이 올라온 날로, 천구의 적도와 23.5°의 각을 이룬다.
59. B
우리 나라는 동지 때 태양 복사 에너지를 가장 적게 받는다.
60. ①
춘분, 추분 때는 밤과 낮의 길이가 같다.
61. ④
춘분이나 추분날 태양은 적도에 수직하게 비치므로 위도 35°인 지점에서의 태양의 고도( )는
62. C
63. ②
시에네에서는 하짓날 정오에 태양이 깊은 우물 수면에 자신의 모습을 비춘다.
64. ③
①은 남반구 중위도 지방, ②는 적도 지방, ③은 북반구의 중위도 지방, ④는 남극 지방에서 보이는 일주 운동 현상이다.
65. 지구의 자전 때문에
인공 위성 궤도의 서편 현상은 지구 자전의 증거이다.
66. 궁수자리
황도 12궁 중에서 태양이 겨울철에 지나는 별자리들은 여름철이 되어야 볼 수 있다.
67. ④
지구의 공전 궤도면은 황도면과 일치한다.
68. ②
태양이 지평선 위에 있는 시간과 아래에 있는 시간이 같은 지점이다.
69. ③
70. ④
71. ③
72. ④
태양빛은 평행하므로 AA'와 CB'는 평행하며, 와 는 엇각이므로 이다.
73. ⑤
태양의 남중 고도를 구하는 식은 90°- 위도 + (춘추분 0°, 하지 23.5°, 동지 - 23.5°)
74. ②
하짓날 태양은 천구의 적도에서 북쪽으로 약 23.5°떨어져 있다.
75. ③
지구는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과 66.5°기울어진 상태에서 서에서 동으로 1년을 주기로 공전한다.
76. ③
일주 운동의 모습은 위도에 따라 달라진다. 극에서는 지평선과 나란하며, 중위도에서는 비스듬히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며, 적도에서는 지평선과 수직으로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
77. ①
태양이 A에 있을 때 지구의 적도를 똑바로 비추므로 적도 지방이 햇빛을 가장 많이 받는다.
추천자료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을 읽고
[창작동화]해랑이와 달덩이 이야기
장경동 목사, 불교국가 가난 발언에 대한 반문
화장실의 역사
종말에 대한 올바른 시각
코맥 멕카시의 더 로드를 읽고...
서양의 인종주의
중국의 자동차 문화
북의 헌법과 인권문제
[제조업][제조기업][한국 제조기업][미국 제조기업][중국 제조기업]한국의 제조업(제조기업),...
동북아시아-냉전질서,한국전쟁의 발발원인,한국전쟁의 영향,냉전질서 형성과정,동북아에서의 ...
[인간과 과학] 인공지능의 발달이 인류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지 생각해 보시오. : ...
현대사회와 문화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