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국어 3-1학기 중간 2단원 중심내용 파악하기 예상문제(교사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표준어와 방언
2 현대 사회와 과학
보충심화

본문내용

(가) 그리고 더 잘 기억할 수 있도록 일상 생활을 체계화한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이튿날 해야 할 일들의 목록을 작성한다. 또, 둔 곳을 잊어버리기 쉬운 것들은 일정하게 둘 장소를 마련한다. 예를 들면, 현관 안벽에 못을 박아 두고 열쇠는 집에 들어오자마자 못에 걸어 두고, 각종 영수증은 일정한 상자에 모아 둔다. 정기적으로 해야 하는 일은 날짜를 일정하게 해 두는 등, 언제나 체계적으로 계획을 짜 놓고 그대로 따른다. 이렇게 하는 것은 기계적이고 단조로운 것 같으나, 잊지 않고 실행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나) 폭포수와 분수는 동양과 서양은 각기 다른 두 문화의 원천이 되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대체 그것은 어떻게 다른가를 보자. 무엇보다도 폭포수는 자연이 만든 물줄기이며, 분수는 인공적인 힘으로 만든 물줄기이다. 그래서 폭포수는 심산유곡에 들어가야 볼 수 있고, 반대로 분수는 도시의 가장 번화한 곳에 가야 구경할 수 있다. ㉠하나는 숨어 있고, ㉡하나는 겉으로 드러나 있다. 폭포수는 자연의 물이요, 분수는 도시의 물, 문명의 물이다.
(다) 우리 것을 대하는 눈은 우리 자신을 보는 눈과 같다. 곧, 우리 자신을 소홀히 해 왔다는 얘기가 된다. 그리하여 판소리를 훌륭한 창극으로 발전시키지 못한 것은 실로 안타까운 일 중의 하나이다. 우리 모두 신데렐라의 이야기를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반대로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춘향가와 심청가의 이야기를 알도록 노력해야 되는 게 아닐까? 그리하여 세계 방방곡곡에서 우리의 판소리에 넋을 잃고 “좋다!”, “얼쑤!”하는 추임새 소리가 들리도록 해야 하는 게 아닐까? 그런 노력이 올바른 세계화의 길일 것이다.
(라) 고려 시대의 경우를 예로 들면,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자연 현상인 일식과 월식은 모두 역사로 기록되었으면서도 금속 활자가 세계에서 가장 먼저 발명된 사실은 역사로 기록되지 않았고, 이 때문에 우리는 지금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 활자를 누가 몇 년에 처음으로 만들었는지 모르고 있다. 일식과 월식은 자연 현상이면서도 하늘이 인간 세계의 부조리를 경고하는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역사가 되었지만, 목판(木版)이나 목활자 인쇄술이 금속 활자로 넘어가는 중요성이 인식되지 않았기 때문에 금속 활자는 역사로 될 수 없었다.
(마) 사투리가 그 지방만이 간직한 고유 언어로서 지방의 넋이 밴 정서와 문화의 뼈와 살임을 생각하면, 그냥 사라지는 뒷모습을 바라보고만 있어선 안 될 것 같다. 앞으로는 사투리 대회와 코미디 프로에서나 들을 수 있을 것 같아 허전하기만 하다. 어느새 소중한 문화 유산을 상실해 가고 있음을 눈치채지 못하고 있다. 보리밥 같은, 쑥부쟁이 같은 사투리가 그립기만 한데, 청소년들은 이것을 알지 못한다. 표준어를 쓰는 것이 바람직한 일이나, 사투리를 천시하거나 홀대하지 말아야 한다. 나는 고향의 자연, 부모와 벗들의 표정이 담긴 정다운 사투리를 좋아한다. 사투리는 나를 낳고 기른 야생의 싱그러운 풀밭이 아니었던가.
[문단의 이해]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글은? ②
대상의 특징을 객관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두 설명 대상의 차이점을 밝혀내고 있다.

① (가) ② (나) ③(다) ④(라) ⑤(마)
대상에 대한 서술 태도가 객관적인 글은(나), (라)이다.
[글의 내용 이해] ★★★
우리의 삶에 대한 글쓴이의 반성적 인식이 드러나 있는 글을 모두 찾아 그 기호를 쓰시오. (다), (마)
(다)는 우리 것을, (마)는 사투리를 무시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을 드러내고 있다.
(다), (마)
[지시어] ★★★
글 (나)의 밑줄 친 ㉠과 ㉡이 무엇을 가리키는지 찾아 각각 한 단어로 쓰시오. ㉠ 폭포수 ㉡ 분수
가리키는 대상이 있는 곳과 연결지어 생각해 본다.
㉠ 폭포수 ㉡ 분수
[글의 소재] ★★★
글쓴이의 생각을 뒷받침하기 위한 글 (다)의 소재들 중에서 상반되는 의미로 쓰이고 있는 소재들을 찾아 쓰시오.신데렐라 스토리 ↔ 춘향가와 심청가의 스토리(안숙선의 열창)
남의 것이라면 사족을 못쓰는 풍조를 비판하고 있는 대목이다.
신데렐라 스토리↔춘향가와 심청가의 스토리(안숙선의 열창)
[문단의 이해] ★★★
글 (라)로 볼 때, 고려 시대의 역사로 기록되었던 일에 해당하는 것은? ④
①세계에서 가장 먼저 일어난 일
②주기적으로 일어나는 자연 현상
③좀처럼 일어나지 않는 자연 현상

④역사가가 중요하다고 인식했던 일
⑤지금 우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일이라고 해서 모두가 기록했던 것은 아니다.

키워드

표준어,   방언,   현대,   사회,   과학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3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