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한문 1-11 한자 풀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자풀이

2. 주관식 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는 ‘女’에 두 점을 더하여 어머니의 젖 모양을 나타낸 글자
9. ③
弟(제) : 아우, 제자
妹(매) : 손아래 누이
夫(부) : 사내, 남편
父(부) : 아버지
10. ④
① 좋을 량
② 자리 석
③ 은혜 은
⑤ 개일 청
11. ②
① 눈 설―구름 운
② 물을 문―들을 문
③ 아우 제―언니 자
④ 올 래―갈 왕
⑤ 입 구―같을 동
12. ②
상대(대립) 관계 ① 대등, ② 상대, ③ 수식, ④ 대등, ⑤ 대등
13. ⑤
① 맑을 청, ② 흰 백, ③ 붉을 단, ④ 붉을 홍, ⑤ 푸를 록
14. ①
① 月부
15. ①
民(백성 민), 族(겨레 족), 國(나라 국), 家(집 가)
16. ②
17. ①
① 本(근본 본) ② 未(아닐 미) ③ 末(끝 말) ④ 木(나무 목)
18. ④
主 : 방 한가운데의 촛불을 본뜬 글자→주인.
19. ③
① 한반도 ② 한민족 ③ 무실역행 ④ 백의민족
20. ③
말하다 설
說기쁘다 열
달래다 세
21. ①
원문참조
22. ②
性→心()
23. ④
立│國(술목)→國∥立(주술)
24. ①
25. ③
名 : 이름, 이름나다.
26. ⑤
念 : 8획
所 : 8획
총획수 決 : 7획
完 : 7획
努 : 7획
27. ②
28. ④
보기의 글자들을 ‘成’의 앞이나 뒤에 넣고 해석해 볼 것.
29. ③
努 와 怒
名 과 各
揚 과 陽
問 과 間
30. ①
子女 : 아들과 딸
31. ①
② 아내의 언니
③ 손아래 누이의 남편
④ 할아버지
⑤ 작은 어머니
32. ②
①, ③, ④, ⑤ : 부수 글자
母<毋, 1획>
33. ①
숙부와 아버지의 촌수는 二寸이고 나와 아버지의 촌수는 一寸이기 때문에 나와 숙부와의 촌수는 三寸에 해당한다.
34. ④
획수가 적은 부수를 가진 글자가 자전의 앞부분에 수록되어 있다.
① 田, 2 ② 女, 5 ③ 示, 5 ④ 又, 6 ⑤ 弓, 4
35. ⑤
① ― 5획 ② ― 10획 ③ ― 11획 ④ ― 5획
36. ③
남자끼리의 손위와 손아래는 ‘兄弟’라 하고, 여자끼리의 손위와 손아래는 ‘姉妹’라 한다.
37. ④
祖母 : 할머니
①, ②, ③, ⑤ : 대등관계
④ : 수식관계
38. ②
女(상형) : 여자가 무릎을 꿇고 그 위에 두손을 맞잡아 얹어 놓은 예의바른 모양
39. ①
바람
風(풍)
풍습
② 家道 : 집안에서 지켜야 할 도리
40. ①
모양이 비슷한 한자
鳥(새 조)
島(섬 도)
41. ②
① 主(주)―玉(옥) ② 가 ③ 民(민)―半(반) ④ 調(조)―島(도)
42. ③
本(근본 본)
43. ④
家의 총획수는 10획
44. ②
① 家- ③ 和-口 ④ 主-
45. ③
46. ①
遊 : 놀다, 돌아다니다 유
47. ④
좌우가 대칭일 때는 가운데를 먼저 쓴다.
48. ②
한자의 짜임
立, 人 : 상형
安 : 회의
49. ③
한자의 활용
뜻으로 미루어 낱말이 이루어지는가 살핀다.
加 : 더하다 가
家 : 집 가
50. ④
자전에서 한자 찾기
民―氏
史―口
51. ③
說 : 말하다 설
生 : 살다 생
泰 : 태평하다 태
52. ④
④ 붉은 잎새
53. ④
54. ⑤
① 늙은 사람 ② 집의 가르침 ③ 즐거울 락
55. ④
제부수의 이해
居<尸, 5획>
56. ③
‘과실’, 즉 ‘허물’이라는 뜻의 ‘실’은 한자로 ‘失’이다.
57. ⑤
國 : 원문참조
58. ①
淸(청) : 맑다, 皇(황) : 임금, 韓(한) : 나라, 瓦(와) : 기와
59. ③
白(흰 백), 衣(옷 의), 自(스스로 자), 生(날 생)→제부수한자
60. ④
민족, 민본, 민주는 정치 이념에 해당함
61. ①
‘백의민족’에 대한 설명.
62. ②
國歌 : 나라를 상징하는 노래.
國家 : 나라
63. ③

家(가)
집안
64. ①
服<月, 4>
65. ②
屋<尸, 6> 총 9획
①, ③, ④, ⑤는 8획
66. ①
皇(황), 服(복), 屋(옥), 船(선), 草(초)
67. ④
68. ①
和의 부수는 ‘口’
69. ②
‘민족’에 대한 설명이다.
70. ③
‘통일’은 우리 민족의 지상 과제.
71. ④
‘방’을 뜻하는 한자
室(실) : 방
房(방) : 방
72. ④
① 民生 ② 民意 ③ 國民
73. ①
島―山
鳥―火()
74. ②
‘市主’란 말은 없다.
75. ①
대륙 : 크고 넓은 땅.
반도 : 대륙에서 바다쪽으로 길게 뻗어 나와 3면이 바다인 육지.
76. ③
至上(지상) : 지극히 높음.
77. ②
분열↔통일.
78. ①
집―家口, 家族, 國家

전문가―大家
79. ④
國의 부수는 (큰입구 몸)
80. ③
① 韓民族(한민족)
② 韓半島(한반도)
④ 韓國語(한국어)
1. ‘民族和合’의 음을 쓰시오. (잠신, 중원)
2. ‘民主市民’의 음을 쓰시오. (단국대부속, 중대사대부속)
3. ‘백의민족’을 한자로 쓰시오. (잠실, 중앙여중)
4. ‘국가’를 한자로 쓰시오. (대명, 중앙여중)
5. ‘대한민국’을 한자로 쓰시오. (언남, 중계)
6. ‘결혼하여 남의 아내가 된 여자’를 가리키는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2음절)
(대원,중원)
7. 다음과 같은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언북, 장훈)
祖父 父母 兄弟 姉妹
8. 다음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대청, 중평)
오누이 ― □□
9. 다음 ‘樂’의 뜻을 각각 써라. (영동, 자양 )
樂器 樂山 樂園
① ② ③
10. 다음 글에 해당하는 4자 성어를 써라. (대치, 천호)
한 번 웃을 때마다 한 번 젊어진다.
11. 다음 □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라. (영파여중, 중대사대부속)
靑雲□志 螢雪□功
12.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도곡, 청운)
그는 교외의 아담한 주택에서 살고 있다.
13. 다음과 같은 뜻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신반포, 청운)
온 가족이 함께 생활하는 방 ― □□
14.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동덕여중, 충암)
내 공부방은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여 공부하기에 참 좋다.
주관식 기출문제
1. 민족 화합
2. 민주 시민
3. 白衣民族
4. 國家
5. 大韓民國
6. 婦人
7. 家族
8. 男妹
9. 음악, 좋아하다, 즐겁다
10. 一笑一少
11. 之
12. 住宅
13. 居室
14. 工夫房

키워드

민주,   시민,   화합,   4자성어,   독음,   풀이,   한자,   한자어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5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