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2 신라의 동요와 후삼국의 성립
2 신라의 동요와 후삼국의 성립
본문내용
- 교종② 호족 - 선종
③ 무신 - 서학④ 신진사대부 - 성리학
⑤ 권문세족 - 실학
선종, 유교, 풍수지리설의 결합 → 6두품, 지방 호족 세력에 의해 주도
[신라 말기의 시대적 상황] ★★★
신라 하대, 진골들의 왕위 쟁탈전이 원인이 되어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없는 것은? ②
▶
① 골품 제도의 붕괴② 왕권의 강화
③ 지방 세력의 등장④ 농민 백성들의 불만이 폭발
⑤ 녹읍의 농민에 대한 착취가 극심
권력 다툼의 시작(혜공왕 때부터) : 귀족들의 반란 → 혜공왕 피살 → 무열왕계 단절 → 왕위 다툼 심화 → 왕권 약화
[후삼국의 형세]
다음 지도를 보고 후삼국의 형세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④
① 견훤이 후백제를 세웠다.
②궁예는 후고구려를 세웠다.
③왕건은 나주를 점령했다.
▶
④태봉의 수도는 송악이었다.
⑤평양 이북에는 발해가 있었다.
후고구려 : 궁예가 송악을 근거로 건국(901) - 후에 국호를 태봉으로 고치고 철원에 도읍을 정함
[신라 말기 6두품 세력] ★★
신라 말기 6두품 세력의 동향을 잘못 설명한 것은? ①
▶
① 당에 유학을 다녀와 유교를 바탕으로 왕권 확립에 기여
② 골품제도의 모순을 비판
③ 진골의 특권에 저항
④ 선종 불교의 확산에 기여
⑤ 지방 호족 세력과 연결되어 정권의 수립에 기여
6두품의 동향
중앙귀족이면서도 관직 승진에 제한을 받음
진골 위주의 사회체제에 특히 불만을 가짐
골품제의 모순을 앞장서서 비판하면서 사회 변화를 주도
[문학역사]
다음 자료는 삼국사기 궁예, 견훤 편 끝에 나오는 두 사람에 관한 평가 부분입니다. 이를 읽고 학생들이 아래와 같은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 중 가장 올바른 역사를 보고 있는 학생은 누구입니까? ①
신라의 운수가 쇠퇴하고 정치가 어지러워 하늘이 돕지 아니하고 백성들이 갈 곳이 없었다. 그리하여 반란자들이 일어나 마치 고슴도치 털처럼 되었으나 그 중에서 가장 악독한 자는 궁예와 견훤을 둘 뿐이다. 궁예는 원래 신라의 왕자로 도리어 조국을 원수로 삼고 무너뜨리려 했으며 심지어 왕의 초상화까지 칼로 쳤으니 그 무도함이 극심하였다. 견훤은 처음부터 신라의 밥을 먹으면서 임금과 신하를 죽이기를 마치 새를 죽이고 풀을 베듯 하였으니 실로 천하의 원수였다. 그러므로 궁예는 자기 부하에게 버림을 당하였고 견훤은 제 자식에게서 화를 당하였다. 이는 모두 제 자신이 저지른 짓이니 누구를 원망할 수 있으랴... 그들이 어찌 우리 태조(왕건)와 더불어 대항할 수 있으랴. 다만 훌륭한 우리 태조에게 백성들이 몰아다 주는 사람들이 되었을 뿐이다.
- 삼국사기 열전 궁예, 견훤편
▶
①한예슬:역사의 기록은 승리자의 입장에서 쓰여졌을 가능성이 커.
②전지현:궁예와 견훤의 인간성에서 결정적으로 큰 문제가 있네.
③ 한지혜:위의 책과 TV 사극 ‘태조 왕건’ 내용이 일치한다면 틀림없는 사실이겠군.
④송해교:왕건이 나라를 세움으로 궁예와 견훤의 백성들이 모두 행복해졌으니 다행이야.
⑤이나영:모두 지나간 일이니 지금 우리와 아무 관계도 없잖아. 이런 토론 자체가 필요 없지.
고려의 후삼국 통일 : 한민족의 정치적, 사회적 통일 완성
역사의 기록은 승리자 고려의 입장에서 쓰여질 수 밖에 없다.
[후삼국의 지도자]
후삼국시대의 지도자가 아닌 것은? ①
▶
① 최치원② 양길③ 궁예
④ 왕건⑤ 견훤
최치원은 통일신라의 진골 위주의 사회에 강력히 반발한 6두품 세력이다.
[김헌창의 난] ★★
다음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진골 귀족
김헌창의 난 이후 신라에서는 ( ) 사이에 왕위쟁탈전이 이어져 정치가 혼란해지고 지방세력이 자라났다.
지방 세력의 반란(9세기 전반) : 웅주(공주) 도독 김헌창의 난, 청해진 장보고의 반란 등 → 중앙의 왕위다툼과 관련
진골 귀족
[신라 말기의 사상] ★★★
다음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풍수지리사상
6두품 출신 지식인의 반발, 지방세력의 성장과 함께 신라 말에는 선종 세력의 강화, 유교 정치의 보급, ( )의 유행으로 인해 사상계의 변화가 일어났다.
도선이 소개한 풍수지리설은 산세나 지형이 인간의 길흉화복에 영향을 준다는 사상으로 경주의 지덕이 다했다고 주장하여 신라 정부의 권위를 약화시켰다.
풍수지리사상
[후삼국의 성립] ★★
다음은 후삼국 시대의 대한 설명이다. 적당한 것은? ④
①견훤은 신라 왕족의 아들로 송악에 도읍하여 후고구려를 세웠다.
②궁예는 상주 농민의 아들로 신라에 쳐들어가 경애왕을 살해하였다.
③ 왕건은 자신을 미륵불로 자처하면서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민심을 잃었다.
▶
④신라는 후백제의 침입으로 약해져 국가를 보전할 수 없게 되자 나라를 고려에 항복했다.
⑤후백제는 신라와의 전쟁에서 세력이 쇠퇴하여 스스로 멸망하였다.
송악의 호족인 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건국(918) → 신라의 고려 투항(935) → 후백제 멸망(936)
[고려의 재통일] ★
다음의 사건들이 일어난 순서대로 바르게 배열된 것을 고르면? ④
㉠ 고려건국 ㉡ 후고구려 건국 ㉢ 신라 항복
㉣ 김헌창의 난 ㉤ 원종과 애노의 난
① ㉡-㉠-㉢-㉣-㉤② ㉡-㉣-㉤-㉢-㉠
▶
③ ㉣-㉡-㉤-㉢-㉠④ ㉣-㉤-㉡-㉠-㉢
⑤ ㉤-㉣-㉠-㉡-㉢
김헌창의 난으로 신라사회가 동요되었고 귀족들의 착취로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농민을 규합하여 후백제, 후고구려가 건국되고, 고려가 건국되어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신라 말기의 시대상황] ★
신라 말기에 관한 잘못된 설명은? ①
▶
① 정치적 혼란은 선덕왕 때부터 시작되었다.
② 각처의 농민들이 봉기를 일어났다.
③ 골품제의 모순이 드러났다.
④ 귀족들이 왕위 쟁탈전이 극심하였다.
⑤ 중앙 정부의 권위와 왕권이 약화되었다.
ㆍ8세기 후반의 상황 : 소수 진골 귀족에게 권력 집중, 귀족 간의 다툼 빈번, 귀족들의 농장 확대, 군대(사병) 양성
ㆍ권력 다툼의 시작(혜공왕 때부터) : 귀족들의 반란→혜공왕 피살→무열왕계 단절→왕위 다툼 심화→왕권 약화
[인물] ★
다음 <보기>에 관련된 인물은 누구인가? ②
ㆍ상주 지방 농민 아들 ㆍ완산주에 도읍을 정함
ㆍ경주에 침입함
▶
① 궁예② 견훤③ 왕건
④ 이성계⑤ 대조영
견훤이 완산주에 도읍을 정함(900)으로써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③ 무신 - 서학④ 신진사대부 - 성리학
⑤ 권문세족 - 실학
선종, 유교, 풍수지리설의 결합 → 6두품, 지방 호족 세력에 의해 주도
[신라 말기의 시대적 상황] ★★★
신라 하대, 진골들의 왕위 쟁탈전이 원인이 되어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없는 것은? ②
▶
① 골품 제도의 붕괴② 왕권의 강화
③ 지방 세력의 등장④ 농민 백성들의 불만이 폭발
⑤ 녹읍의 농민에 대한 착취가 극심
권력 다툼의 시작(혜공왕 때부터) : 귀족들의 반란 → 혜공왕 피살 → 무열왕계 단절 → 왕위 다툼 심화 → 왕권 약화
[후삼국의 형세]
다음 지도를 보고 후삼국의 형세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④
① 견훤이 후백제를 세웠다.
②궁예는 후고구려를 세웠다.
③왕건은 나주를 점령했다.
▶
④태봉의 수도는 송악이었다.
⑤평양 이북에는 발해가 있었다.
후고구려 : 궁예가 송악을 근거로 건국(901) - 후에 국호를 태봉으로 고치고 철원에 도읍을 정함
[신라 말기 6두품 세력] ★★
신라 말기 6두품 세력의 동향을 잘못 설명한 것은? ①
▶
① 당에 유학을 다녀와 유교를 바탕으로 왕권 확립에 기여
② 골품제도의 모순을 비판
③ 진골의 특권에 저항
④ 선종 불교의 확산에 기여
⑤ 지방 호족 세력과 연결되어 정권의 수립에 기여
6두품의 동향
중앙귀족이면서도 관직 승진에 제한을 받음
진골 위주의 사회체제에 특히 불만을 가짐
골품제의 모순을 앞장서서 비판하면서 사회 변화를 주도
[문학역사]
다음 자료는 삼국사기 궁예, 견훤 편 끝에 나오는 두 사람에 관한 평가 부분입니다. 이를 읽고 학생들이 아래와 같은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 중 가장 올바른 역사를 보고 있는 학생은 누구입니까? ①
신라의 운수가 쇠퇴하고 정치가 어지러워 하늘이 돕지 아니하고 백성들이 갈 곳이 없었다. 그리하여 반란자들이 일어나 마치 고슴도치 털처럼 되었으나 그 중에서 가장 악독한 자는 궁예와 견훤을 둘 뿐이다. 궁예는 원래 신라의 왕자로 도리어 조국을 원수로 삼고 무너뜨리려 했으며 심지어 왕의 초상화까지 칼로 쳤으니 그 무도함이 극심하였다. 견훤은 처음부터 신라의 밥을 먹으면서 임금과 신하를 죽이기를 마치 새를 죽이고 풀을 베듯 하였으니 실로 천하의 원수였다. 그러므로 궁예는 자기 부하에게 버림을 당하였고 견훤은 제 자식에게서 화를 당하였다. 이는 모두 제 자신이 저지른 짓이니 누구를 원망할 수 있으랴... 그들이 어찌 우리 태조(왕건)와 더불어 대항할 수 있으랴. 다만 훌륭한 우리 태조에게 백성들이 몰아다 주는 사람들이 되었을 뿐이다.
- 삼국사기 열전 궁예, 견훤편
▶
①한예슬:역사의 기록은 승리자의 입장에서 쓰여졌을 가능성이 커.
②전지현:궁예와 견훤의 인간성에서 결정적으로 큰 문제가 있네.
③ 한지혜:위의 책과 TV 사극 ‘태조 왕건’ 내용이 일치한다면 틀림없는 사실이겠군.
④송해교:왕건이 나라를 세움으로 궁예와 견훤의 백성들이 모두 행복해졌으니 다행이야.
⑤이나영:모두 지나간 일이니 지금 우리와 아무 관계도 없잖아. 이런 토론 자체가 필요 없지.
고려의 후삼국 통일 : 한민족의 정치적, 사회적 통일 완성
역사의 기록은 승리자 고려의 입장에서 쓰여질 수 밖에 없다.
[후삼국의 지도자]
후삼국시대의 지도자가 아닌 것은? ①
▶
① 최치원② 양길③ 궁예
④ 왕건⑤ 견훤
최치원은 통일신라의 진골 위주의 사회에 강력히 반발한 6두품 세력이다.
[김헌창의 난] ★★
다음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진골 귀족
김헌창의 난 이후 신라에서는 ( ) 사이에 왕위쟁탈전이 이어져 정치가 혼란해지고 지방세력이 자라났다.
지방 세력의 반란(9세기 전반) : 웅주(공주) 도독 김헌창의 난, 청해진 장보고의 반란 등 → 중앙의 왕위다툼과 관련
진골 귀족
[신라 말기의 사상] ★★★
다음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풍수지리사상
6두품 출신 지식인의 반발, 지방세력의 성장과 함께 신라 말에는 선종 세력의 강화, 유교 정치의 보급, ( )의 유행으로 인해 사상계의 변화가 일어났다.
도선이 소개한 풍수지리설은 산세나 지형이 인간의 길흉화복에 영향을 준다는 사상으로 경주의 지덕이 다했다고 주장하여 신라 정부의 권위를 약화시켰다.
풍수지리사상
[후삼국의 성립] ★★
다음은 후삼국 시대의 대한 설명이다. 적당한 것은? ④
①견훤은 신라 왕족의 아들로 송악에 도읍하여 후고구려를 세웠다.
②궁예는 상주 농민의 아들로 신라에 쳐들어가 경애왕을 살해하였다.
③ 왕건은 자신을 미륵불로 자처하면서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민심을 잃었다.
▶
④신라는 후백제의 침입으로 약해져 국가를 보전할 수 없게 되자 나라를 고려에 항복했다.
⑤후백제는 신라와의 전쟁에서 세력이 쇠퇴하여 스스로 멸망하였다.
송악의 호족인 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건국(918) → 신라의 고려 투항(935) → 후백제 멸망(936)
[고려의 재통일] ★
다음의 사건들이 일어난 순서대로 바르게 배열된 것을 고르면? ④
㉠ 고려건국 ㉡ 후고구려 건국 ㉢ 신라 항복
㉣ 김헌창의 난 ㉤ 원종과 애노의 난
① ㉡-㉠-㉢-㉣-㉤② ㉡-㉣-㉤-㉢-㉠
▶
③ ㉣-㉡-㉤-㉢-㉠④ ㉣-㉤-㉡-㉠-㉢
⑤ ㉤-㉣-㉠-㉡-㉢
김헌창의 난으로 신라사회가 동요되었고 귀족들의 착취로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농민을 규합하여 후백제, 후고구려가 건국되고, 고려가 건국되어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신라 말기의 시대상황] ★
신라 말기에 관한 잘못된 설명은? ①
▶
① 정치적 혼란은 선덕왕 때부터 시작되었다.
② 각처의 농민들이 봉기를 일어났다.
③ 골품제의 모순이 드러났다.
④ 귀족들이 왕위 쟁탈전이 극심하였다.
⑤ 중앙 정부의 권위와 왕권이 약화되었다.
ㆍ8세기 후반의 상황 : 소수 진골 귀족에게 권력 집중, 귀족 간의 다툼 빈번, 귀족들의 농장 확대, 군대(사병) 양성
ㆍ권력 다툼의 시작(혜공왕 때부터) : 귀족들의 반란→혜공왕 피살→무열왕계 단절→왕위 다툼 심화→왕권 약화
[인물] ★
다음 <보기>에 관련된 인물은 누구인가? ②
ㆍ상주 지방 농민 아들 ㆍ완산주에 도읍을 정함
ㆍ경주에 침입함
▶
① 궁예② 견훤③ 왕건
④ 이성계⑤ 대조영
견훤이 완산주에 도읍을 정함(900)으로써 후백제를 건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