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구산선문)에 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종(구산선문)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선종이 들어오게 된 계기)

2. 구산선문의 연원
(1)가지산문
(2)실상산문
(3)동리산문
(4)봉림산문
(5)사자산문
(6)성주산문
(7)사굴산문
(8)수미산문
(9)희양산문

3. 마치며(선종등장의 의미)

본문내용

래 이엄의 수미산문 개산(태조15년, 932)로 여겨져 왔으나, 도헌을 개산조로 하는 희양산문이 경양대에 이르러 실질적인 산문의 형태를 띠게 된 것으로 보아(태조18, 935) 희양산문의 개산을 마지막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수미산문과 희양산문의 성립에 의하여 비로소 구산선파가 형성되었고 이후 많은 선사들이 배출되어 9산으로 이루어진 선문가풍을 이어 나갔다. 구산선문은 신라말에 다 완성 된 것이 아니라 고려 초까지 이어지지만 구산선문이라고 하면 신라의 선문을 말하는 것으로 통용되고 있다.
구산선문의 성격은 모두 육조 혜능의 법을 잇는 남종선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산문은 아홉군데로 나뉘어져 있었지만 모두 조계, 혜능을 조(祖)로 삼고 그 선법(禪法)인 조계선(曹溪禪)을 참구(參究)하였으므로, 고려초에 확립된 조계(曹溪)를 조(祖)로 하는 해동(海東)의 선종이라는 것이다.
선종의 등장은 단순히 중국의 선불교를 옮긴 차원이 아니라 신라 말 고려 초의 사회, 정치적 격변의 시기에 우리 민족과 한국 불교의 새로운 사상으로 자리잡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선종은 고려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되며, 오교양종으로 자리잡아가기 시작하는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6.23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7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