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사회 3-2학기 기말 03 도시의 발달과 분포(교사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도시의 발달과 분포

본문내용

있다.
[이촌 향도]
이촌 향도로 인해 농촌 지역에도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는데, 다음 중 이러한 농촌 문제에 해당하는 것은? ③
①출생률의 증가

②노동력 과잉 문제
③인구의 노령화 현상
④주민 편의 시설의 확충
⑤농업 생산 활동의 증가
농촌 지역에서는 생산 연령층인 청장년층이 도시로 떠났기 때문에 노인 인구의 비중이 증가하고, 결혼 적령기 인구의 감소로 출생률이 낮게 나타난다.
[용어의 이해]
다음 글이 설명하고 있는 것을 쓰시오. 재개발 사업
도심 주변에서 불량 주택을 철거하고 주택, 상업, 공공 시설들을 새로 건설하는 사업을 말한다.
주거 환경이 열악한 도시에서 시행하고 있다.
재개발 사업
[도시의 문제]
대도시에서 실업, 교통 혼잡, 주택 부족, 환경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①인구의 집중②공업의 발달③출생의 저하
④사회의 고령화⑤문화 시설의 발달
공업의 발달이나 문화 시설의 발달 등은 인구가 집중되었기 때문에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인구 문제]
선진국과 개발 도상국이 당면하고 있는 대표적인 인구 문제를 <보기>에서 골라 바르게 묶은 것은? ①
㉠ 노인에 대한 부양비 증가
㉡ 낮은 출생률에 다른 인구 감소
㉢ 사망률 감소에 따른 인구의 급증
㉣ 지역 간의 불균형적인 인구 분포

선진국개발도상국
① ㉠, ㉡ ㉢, ㉣
② ㉠, ㉢ ㉡, ㉣
③ ㉡, ㉢ ㉠, ㉣
④ ㉡, ㉣ ㉠, ㉢
⑤ ㉢, ㉣ ㉠, ㉡
선진국은 낮은 출생률과 고령화, 개발 도상국은 인구 급증과 대도시로의 인구 집중이 가장 큰 인구 문제이다.
[인구 문제]
다음 중 개발 도상국의 인구 문제가 아닌 것은? ③
①높은 인구 증가율

②농촌 인구의 고령화
③높은 노인 인구 부양비
④농촌의 노동력 부족 현상
⑤도시로의 인구 집중과 도시 문제
경제가 발달한 선진국은 인구 노령화 현상으로 노인 인구 부양비가 높으나, 개발 도상국의 경우 유소년 인구 부양비가 높다.
[인구 문제]
다음과 같은 정책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⑤
우리 나라는 대도시로의 인구 집중에 따른 교통 혼잡, 주택 부족, 일자리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방 도시를 육성하고, 농촌에 농공 단지를 만드는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①이촌 향도②산아 제한 정책

③가족 계획 사업④사회 보장 제도
⑤인구 분산 정책
농촌이나 지방 도시를 개발하면 대도시에 집중된 인구의 분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도시 문제]
도심에서 외곽으로의 상주 인구 밀도 및 주간 인구 밀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A의 폭이 커질수록 심해지는 도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③
①개발 제한 구역을 더욱 확대시킨다.

②도시 외곽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건설한다.
③부심을 많이 건설하여 도심의 기능을 분담시킨다.
④도시 재개발 사업으로 불량 주택 지구를 정비한다.
⑤도심에 대규모 택지를 개발하여 상주 인구 수를 늘린다.
도심의 기능을 분담할 수 있는 부심의 건설이 필요하다. 그래프 A의 폭이 클수록 주간 인구와 상주 인구의 차가 크게 나타난다.
[농어촌의 도시 문제]
다음 글에 나타난 문제점의 해결 방안이 아닌 것은? ③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학생 수가 감소함에 따라 교육인적자원부는 관리운영상의 이유로 이 같은 학교들을 통합분교화, 또는 폐교하는 정책을 시행해 왔다.
①농공 단지 조성

②지방 도시 육성
③사회 보장 제도 확충
④도농 간 소득 격차 해소
⑤농촌에 각종 편의 시설 배치
농촌 학교의 폐교 실정을 볼 때 인구의 분산이 시급하다.
[우리 나라의 인구 문제]
1995년 우리 나라의 인구 피라미드이다. 이와 같은 변화가 지속된다고 가정하고 20년 후(2015년)를 예측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⑤
①대학 진학이 훨씬 쉬워진다.
②노인 복지를 위한 예산이 늘어난다.
③초등 학교 학급당 인원 수가 줄어든다.

④산업체마다 외국인 노동자가 많아진다.
⑤전체적으로 태어나는 아이들의 숫자가 늘어난다.
인구 피라미드에서 0 ~ 10세 사이의 인구는 줄어 전체적으로 완만한 종형의 피라미드가 될 것이다. 20년(2015년) 후에는 60세 이상의 인구가 현재보다 크게 늘어날 것이다.
[우리 나라의 시기별 인구 문제]
다음 <보기>에서 우리 나라의 시기별 인구 문제에 대한 정책을 바르게 설명한 것을 모두 고르면? ②
㉠ 1962년에 가족 계획 사업을 시작하였다.
㉡ 1950년대 이후 인구의 노령화는 계속 문제시 되었다.
㉢ 1970년대 후반 이래 꾸준히 산아 제한 정책을 시행하였다.
㉣ 1980년대에는 이른바 출산 붐으로 인구가 크게 증가하였다.

①㉠, ㉡②㉠, ㉢③㉡, ㉢
④㉢, ㉣⑤㉠, ㉢, ㉣
㉡의 인구의 노령화는 최근 우리 사회에 새롭게 떠오르는 인구 문제이고, ㉣의 출산 붐은 1960년대의 인구 증가의 원인이었다.
[인구 문제]
다음 글의 밑줄 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
선진국의 경우에는 평균 수명이 길어져 노인 인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출생률이 낮아져 상대적으로 경제 활동 인구가 부족해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①실버 산업을 확충한다.

②사회 복지 제도를 강화한다.
③산아 제한 정책을 실시한다.
④외국인 노동자를 받아들인다.
⑤출산과 자녀 양육에 따른 비용의 일부를 정부가 보조한다.
선진국의 인구 문제는 출생률이 낮아진다는 데에 있으므로, 산아 제한 정책은 적절하지 않다.
[성비의 문제]
다음 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②
정상적인 출생 성비는 105 정도인데, 우리 나라는 1993년에 115.3을 비롯하여 지금도 약 110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한 조사에 따르면 우리 나라 여성의 69.8%가 아들을 꼭 원한다고 했으며, 그 이유로는 심리적 만족가정의 행복가문 유지 등이라고 대답했다.

①남아 선호 사상을 잘 보여 주고 있다.
②여아의 수가 많아 성비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다.
③앞으로 결혼 적령기의 남자는 여자가 부족하게 될 것이다.
④우리 나라에서 최근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인구 문제이다.
⑤초등 학교 교실에서 여자 짝궁이 없는 남학생이 많은 것도 이와 관련된다.
성비 110이라는 것은 여아 100명에 대한 남아의 수가 110이라는 뜻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1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