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이해] 홍콩과 대만의 대중음악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이해] 홍콩과 대만의 대중음악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홍콩/대만 대중 음악의 범주

◎ 홍콩/대만 대중 음악의 발전 흐름
▷ 드라마/영화 음악을 중심으로 발전 (1950대~1970대)
◆ 허관걸(許冠杰)
◆ 등려군(鄧麗君
▷ 대만 민가(民歌)의 유행과 그에 따른 영향
▷ 알란탐(譚詠麟), 장국영(張國榮),매염방(梅艶芳)의 트로이카 시대 (80년대 중.후반)
◆ 알란탐
◆ 장국영
◆ 매염방
▷ 4대 천왕, 양대천후의 활약
□ 4대천왕 (四大天王)
◆ 유덕화 (劉德華)
◆ 장학우 (張學友)
◆ 여명 (黎明)
◆곽부성 (郭富城)
□양대천후
◆임억련 (林憶蓮)
◆엽천문 (葉蒨文)
□혜성같이 등장한 절대천후, 왕비(王菲)
□양안(兩岸)에 불어닥친 A-mei 열풍
□해외 유학파의 활약, R&B, Hip-Hop 등 장르의 다양화

◎ 홍콩/대만 대중 음악의 특징

◎ 앞으로의 발전 방향

본문내용

있게 한 가수 겸 프로듀서 장우생의 눈에 들어 정식으로 데뷔하게 된다. 데뷔 음반 <姉妹>가 대만에서 신인 사상 최고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대성공을 거두고 이러한 그녀의 인기는 동남아시아 전역과 대륙에까지 퍼져 종종 아시아 최고의 여가수라 불리는 왕비와 비교할 만큼 성장했고 또한 등려군 이후 대륙과 대만 문화계, 특히 음악계를 연결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 해외 유학파의 활약, R&B, Hip-Hop 등 장르의 다양화
Coco Lee, 도철, 주걸륜, 오월천 그리고 F4
◎ 홍콩/대만 대중 음악의 특징
-국어 음악계의 대만, 광동어 음악계의 홍콩 -> 국어 음악 중심으로 변화하는 경향
-발라드 주류 -> 장르의 다양화
- 음반사의 영향력이 막강
- 시장은 크지만 수익성은 낮은 구조
- 다양하고 기발한 마케팅 활동
- 대부분 방송국 주최 신인가수 선발대회 등을 통해 데뷔, 가수와 연기자를 겸업하는 구조
◎ 앞으로의 발전 방향
세계 최다 인구를 과시하고 있는 중국에서 해외로 빠져 나간 중국인들은 서로 단합해 동남아 경제권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연예 산업에 있어서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위력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중국어권에서 어느 정도 고정적인 위치를 확보한 가수들은 소위 星馬지역이라 불리는 싱가폴, 말레이시아 지역에서의 홍보 활동을 게을리 할 수 없는데, 순회 콘서트 지역을 경정할 때에도 중국 대륙-홍콩-대만이 기본적인 1차 선택지라고 한다면 星馬지역은 콘서트가 보다 장기 공연으로 추진될 때 반드시 추가되는 지역이다. 그 다음은 화교권이 비교적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 (미주, 캐나다, 유럽 공동권 등)으로 공연지가 확대되어 그야말로 “세계 순회 콘서트”라 할 만한 공연 일정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중국어권 가수들은 결코 한 지역에서만 인기를 끌 것을 생각하지 않고, 데뷔 때부터 여러 지역에서의 성공 가능성을 점친다. 그 이유로, 홍콩 출신이면서도 보다 광범위한 활동지역으로의 진출을 위해 미리부터 국어 음반 시장을 노려 대만으로 건너와 데뷔를 하는 이들이 등장하고, 星馬지역에서 어느 정도 인기를 확보하고 대만으로 진출하는 가수들도 눈에 띄고 있다. 이처럼 성공하고자 하는 가수들이 대만으로 몰려드는 이유는, 요즘 대만에서 뜨면 중국어권 시장에서 반은 성공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이야기 될 만큼 대만 음악계에 여러 국가에서 들어 오는 상품이 집결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대만 시장의 무한한 가능성을 인식한 비화교권 지역에서도 대만에서의 음반 발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러한 지역으로는 대표적으로 태국과 한국을 꼽을 수 있는데, 위성 채널인 채널V를 통해 이 지역의 음악이 자연스럽게 중국어권 지역에 알려지게 되면서 얻게된 지명도를 이용해 속속들이 자국 가수들을 홍보하는 데 힘쓰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면서, 중국어권 가수들 역시 마케팅 전략을 바꿔 비화교권 (한국, 일본 등)까지 깊숙이 파고드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을 촉진시키기 위해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대한 외국 자본 투자 문호를 더 개방할 것임을 발표함으로서 중국의 음반 산업은 세계 시장과 보다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한편으로 중국의 대중 가요에 대한 정체성 부재에 대한 우려와 각종 불법 복제판으로 인한 음반 시장의 위축을 걱정하는 의견이 있지만 자국 시장에 있어서의 저력과 세계 진출을 위한 준비 작업은 성공적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의 음악 시장, 그 중에서도 대중 가요 부분에서 중국은 현재 다국적 음악이 난무하고 있지만 머지않아 더욱 분명한 그들의 색깔을 찾게 될 것이다.
[중국의이해] 홍콩과 대만의 대중음악
목 차
◎ 홍콩/대만 대중 음악의 범주
◎ 홍콩/대만 대중 음악의 발전 흐름
▷ 드라마/영화 음악을 중심으로 발전 (1950대~1970대)
◆ 허관걸(許冠杰)
◆ 등려군(鄧麗君
▷ 대만 민가(民歌)의 유행과 그에 따른 영향
▷ 알란탐(譚詠麟), 장국영(張國榮),매염방(梅艶芳)의 트로이카 시대 (80년대 중.후반)
◆ 알란탐
◆ 장국영
◆ 매염방
▷ 4대 천왕, 양대천후의 활약
□ 4대천왕 (四大天王)
◆ 유덕화 (劉德華)
◆ 장학우 (張學友)
◆ 여명 (黎明)
◆곽부성 (郭富城)
□양대천후
◆임억련 (林憶蓮)
◆엽천문 (葉文)
□혜성같이 등장한 절대천후, 왕비(王菲)
□양안(兩岸)에 불어닥친 A-mei 열풍
□해외 유학파의 활약, R&B, Hip-Hop 등 장르의 다양화
◎ 홍콩/대만 대중 음악의 특징
◎ 앞으로의 발전 방향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1.21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