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한문 2-12 견리사의 청풍명월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주관식 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의 풀이
必生則死 : 반드시 살기를 각오하면 죽는다.
17. ⑤
사람에게 놀라도 멀리 날아가지 않는다.
18. ①
또 서쪽 산을 향하여 날아간다.
19. ③
唯 : 口부 8획
陰 : 阜부 8획
淺 : 水부 8획
20. ⑤
窓 → 穴, 更 → 曰
21. ③
~를 ~하다.
22. ③
□ ↔ □ (대립관계)
23. ①
① 견리사의
② 견위수명
③ 인불충신
④ 비례물시
⑤ 필생즉사
24. ②
① 효경② 충절③ 교우④ 수신⑤ 입지
25. ②
‘~하지 말라’로 금지를 나타내는 한자를 찾는다.
26. ②
馬耳東風(마이동풍) : 말 귀에 샛바람.
晝耕夜讀(주경야독) :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읽는다.
牛耳讀經(우이독경) : 소 귀에 경 읽기.
同苦同樂(동고동락) : 괴로움과 즐거움을 같이함.
結草報恩(결초보은) :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
27. ②
單一共同體(단일공동체), 統一(통일). 愛國(애국)은 모두 민족과 관련이 있는 한자어들이다.
28. ④
全心全力(전심전력) : 있는 힘껏 최선을 다하다.
愛國愛族(애국애족) :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다.
富國强兵(부국강병) :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군대를 강하게 하다.
自然師也(자연사야) : 자연은 스승이다.
29. ①
人不學不知道(인불학부지도) : 사람이 배우지 않으면 도를 알지 못한다.
― 道(도리 도), 理(이치, 도리 리)
30. ⑤
각 구(句)를 해석해 보자.
31. ③
禽 : 새, 날짐승 금
32. ④
최치원이 당나라에 있을 때 지은 시이다.
33. ①
(경) 고치다. 때

(갱) 다시
34. ④
‘백아’와 ‘종자기’의 고사에서 유래된 말.
35. ⑤
문장 완성하기
‘~하면 곧’으로 해석되는 한자를 찾는다.
36. ②
한자 성어의 의미
見危授命 → 조국이 위태할 때 목숨을 바친다.
37. ①
葉(艸) - 杯(木)
38. ②
玉(상형자)
39. ④
①②③⑤ : 수식 관계
④ : 술목 관계
40. ⑤
①②③④ : 매우 위태로운 형세 ⑤ : 방문객이 많아 문앞이 시장이 되다시피 함
1. 한자어의 풀이에 유의하여 □ 부분을 완성하시오. (신정여, 풍납여)
燈下不□ : 등잔밑이 어둡다.
2. ‘모서리, 방법’의 뜻을 지닌 한자를 쓰시오. (대림, 구정)

3. ( ) 안을 알맞게 채우시오
(즉) 곧 : 必死則生
( ) 법 : 法則
4. 다음 문장을 한문으로 완성하시오. (신정여, 원촌)
의로움은 사람의 길이다. → □는 □□也
5.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써 보자. (영도, 영파여)
그는 희미한 가로등 아래 서 있었다.
6. 다음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원묵, 오금)
仁 은 人 心 □ 요, 義 는 人 路 □ 라. : 인은 사람의 마음이요, 의는
사 람 의 길 이 다.
7. ‘必死□生’에서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는 ? (자양, 청담)
8. ‘事皆無實’에서 가장 나중에 풀이하는 글자를 찾아 쓰시오. (서울여, 진선여)
※ (9~10)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草堂에 벗이 없어 혼자 누은 잠을 드니,
㉠청풍명월이 임자 없이 들어온다.
잠깨어 이 ㉡좋은 景을 누구더러 물으랴.
<작자 미상>
9. 밑줄 친 ㉠을 한자로 옮겨 쓸 때, 그 의미에 유의하여 다음 □ 부분을 채우시오. (대림여, 구룡)
□風□月 : 맑은 바람과 밝은 달.
10. 다음 중 ㉡의 ‘ 좋은 景’에서 ‘좋은’에 해당하는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신반포, 오주)
11. 다음의 밑줄 친 한자의 뜻을 쓰시오. (풍납, 둔촌)
愛養父母를 謂之孝라.
12.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해석해 보자. (서연, 중평)
음식은 適量만 먹도록 하자.
※ (13~15)보기를 보고 답하시오.
(가) □人心㉠也 (나) 人不忠信 事皆無實
(다) 樹欲靜㉡而風不止 (라) 必死㉢則生
(마) 孝㉣者 百行㉤之源
13. (가)의 □ 안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고덕, 휘문)
14. 보기의 밑줄 친 한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 (양정, 당산)
① ㉠은 ‘~이다’로 풀이한다.
② ㉡은 ‘그리고’로 풀이한다.
③ ㉢은 ‘~하면 곧’으로 풀이한다.
④ ㉣은 ‘~라는 것’으로 풀이한다.
⑤ ㉤은 ‘~의’로 풀이한다.
15. (다)의 주제를 나타내는 한자가 들어있는 문장을 찾아 그 기호와 한자를 옮겨 쓰시오. (연희여, 신사)
16. 다음 한자어의 밑줄 친 부분을 짜임에 유의하여 풀이하시오.
(동대사대부속, 오륜)
花朝月夕
(1) 花 …… ( )
(2) 月 …… ( )
17. 다음 문장을 해석하여라. (중계, 보인)
陽春方來
18.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서라벌, 한영)
우리 조상의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 계승 발전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 시대에 맞는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고 개발하는 일도 중요하다.
19. ‘卷中對聖賢’의 풀이 순서를 쓰시오. (당산서, 경원)
① ② ③ ④ ⑤
20. 다음 □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중앙여, 오금)
讀書有三到하니 □到眼到口到니라.
※ (21~23)다음 밑줄 친 한자의 독음을 쓰시오.
21. 그의 銳利한 관찰력과 판단력은 이번 사건에서도 빛을 발했다. (백석, 휘문)
22. 그들은 차마 命令을 어기고 대열을 이탈할 수가 없었다. (광명북, 오금)
23. 현대 사회에서 禮節 교육은 더욱 필요하다. (한강, 고명)
24.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중대사대부속, 풍납여)
남들은 자유를 사랑한다지마는 나는 복종을 좋아해요. 자유를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당신에게는 복종만 하고 싶어요. 복종하고 싶은데 복종하는 것은 아름다운 자유보다도 달콤합니다. 그것이 나의 행복입니다.
25. ‘三歲之習 至于八十’을 우리말 속담으로 옮기시오. (백운, 풍납)
주관식 기출문제 ………
1. 明
2. 方
3. 칙
4. 義, 人路
5. 街路燈
6. 也
7. 則
8. 無
9. 淸, 明
10. 佳 또는 美
11. 그것을
12. 적당한 분량
13. 仁
14. ②
15. (마), 孝
16. (1) 꽃 피는 (2) 달 뜨는
17. 따뜻한 봄이 바야흐로 오다.
18. 文化
19. ①, ②, ④, ⑤, ③
20. 心
21. 예리
22. 명령
23. 예절
24. 自由
25.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키워드

예리,   명령,   에절,   세살,   버릇,   바야흐르,   분량,   그것을
  • 가격3,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