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내용정리
2. 핵심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2. 핵심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여, 개원)
① 秋風唯苦吟-쓸쓸히 읊다
② 世路少知音-나를 알아 주는 이
③ 窓外三更雨-3시에
④ 燈前萬里心-만리를 달리는 마음(향수)
⑤ 世路少知音-세상에
6. 다음 한자어의 음이 바른 것은 ? (한강, 청담)
① 風浪(풍량)② 脫水(설수)
③ 圓舞(원무)④ 曲線(곡천)
⑤ 明示(명시)
7. 다음 중 부수자인 것은 ? (백운, 진선여)
① 泉② 尤
③ 也④ 示
⑤ 圓
8. 다음과 같은 구조로 짜여진 것은 ? (문창, 당산)
花∥開(꽃이 피다)
① 月明② 深夜
③ 讀書④ 雪花
⑤ 自然
9. 다음 중 짜임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 (금란여, 대명)
① 自來② 亂舞
③ 最明④ 風來
⑤ 至高
10. ‘自然師也’에서 ‘也’의 새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정의여, 신사)
① ~의② ~에
③ ~(이)다④ ~보다
⑤ ~하는
11. ‘~지 말라’의 뜻으로 쓰이는 한자는 ? (서울여, 둔촌)
① 勿② 以
③ 者④ 須
⑤ 而
12. 다음 글의 뜻에 맞는 속담은 ? (오산, 중동)
來語不美 去言何美
①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야 가지 마라.
②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③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④ 한 마리의 물고기가 온 내를 흐린다.
⑤ 천 사람에게서 손가락질을 받으면 병이 없어도 죽는다.
13. ‘無道人之短’에서 밑줄 친 ‘道’의 바른 풀이는 ? (광남, 휘문)
① 길② 기술
③ 방법④ 이치
⑤ 말하다
14. 다음 한자중, ‘부정사’로 쓰이지 않는 글자는 ? (정신여, 서연)
① 不② 非
③ 雖④ 未
⑤ 莫
15. 음이 두 가지가 아닌 것은 ? (방학, 한영)
① 壹② 易
③ 參④ 拾
⑤ 不
16. ‘放’을 이용하여 만든 한자어 중 어색한 것은 ? (봉영여, 보성)
① 放學② 開放
③ 放心④ 訓放
⑤ 卒放
17. 보어가 들어 있지 않은 것은 ? (경희여, 한일)
① 積善之家② 少年易老
③ 必有餘慶④ 學難成
⑤ 天下無敵
18. 음이 다른 하나는 ? (장훈, 영파여)
① 耳② 利
③ 貳 ④ 二
⑤ 以
19. 다음 중, 제부수 글자는 ? (서라벌, 동북)
① 而② 之
③ 夫④ 病
⑤ 不
20. 부수와 한자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개) (예일여, 잠실)
① 口-唯, 吟② 제부수-谷, 風
③ 水-溪, 湖④ 火-秋, 燈
⑤ 月-湖, 脚
21. ‘更’ 음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 (과천문원, 휘문)
① 深更② 三更
③ 更生④ 燮更
⑤ 更正
22. ‘追□’에서 □안에 가장 잘 어울리는 한자는 ? (백석, 서문여)
① 落② 億
③ 湖④ 憶
⑤ 谷
23. 서로 어울려 의미 있는 한자어가 되기 어려운 것은 ? (상경, 동북)
① 橋-脚② 望-鄕
③ 湖-落④ 秋-風
⑤ 落-葉
24. 다음 중 한자어의 짜임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 (강남여, 고덕)
① 秋風② 世路
③ 知音④ 三更
⑤ 燈前
핵심기출문제 ………
1. ⑤
자전에서 한자 찾기
月→달
月
肉의 변형
2. ③
한자어의 짜임
수식 구조와 술목 구조 구별
3. ②
한시의 끊어 읽기
5언시는 주로 2자, 3자로 끊어 읽는다.
4. ③
시구의 풀이
서술어는 맨 나중에 풀이함.
5. ③
시어의 풀이
三更:밤11시~새벽1시
6. ③
① 풍랑 ② 탈수
④ 곡선 ⑤ 명시
7. ④
① 水 ②
③ 乙 ⑤ 口
8. ①
②④⑤ : 수식
③ : 술목
9. ④
①②③⑤ : 수식
④ : 주술
10. ③
자연은 스승이다.
11. ①
금지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를 찾는다.
12. ②
① 近墨者黑, 近朱者赤
③ 千人所指, 無病而死
④ 一魚混全川
⑤ 水深可知, 人心難知
13. ③
道: 길, 도리, 방법, 기예, 말하다, 다스리다
14. ③
문장의 형식
부정형:어떤 동작이나 상태 혹은 사물을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문장의 형식
15. ①
쉽다 이
易
바꾸다 역
16. ⑤
한자어를 독음해 보자.
17. ①
보어를 만드는 서술어:있다, 없다, 같다, 되다, 쉽다, 어렵다, 많다.
18. ②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글자는 단독으로 읽을 때는 원음으로 읽는다.
19. ①
之→, 夫→大
20. ④, ⑤
자전에서 한자찾기
‘秋’의 부수:禾
‘湖’의 부수:水
21. ③
한자의 음
(경) 고치다, 시간
更
(갱) 다시
22. ④
한자의 활용
憶(억) 억
23. ③
한자어 구성
24. ③
한자어의 짜임
A B : A 한 B
A 하게 B하다
A┃B:B를 A하다.
1. 다음 글의 빈 칸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한영, 서문여)
師( )( )賢於弟子 스승은 반드시 제자보다 어질지 않다.
2. 다음 ( )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오금, 대림여)
一日不念善이면 諸( )이 皆自起니라.
하루라도 선을 생각하지 않으면 모든 악이 다 스스로 일어난다.
3. ( )안을 알맞게 채우시오. (구의, 언주) 少
젊다 ↔ 老
적다 ↔ ( )
4. ‘秋月最明’에서 서술어를 찾아 쓰시오. (중원, 보성)
5. ‘일백삼십만’을 ‘갖은자’로 써 보자. (남서울, 한산)
6. 다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목동, 영동)
人不學不知□
朝聞□夕死可矣
無□人之短, 無說己之長
7. 다음 밑줄 친 ‘莫如’의 뜻을 풀이하여라. (과천, 신암)
至樂은 莫如讀書요, 至要는 莫如敎子니라.
8. 다음 보기와 같이 확장 구조의 문장을 기본 구조의 문장으로 바꾸어 쓰시오
陽春方來 → 春來
(1) 百花滿開
(2) 秋月最明
9. ㉠과 ㉡의 뜻이 같도록 □□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도봉여, 중동)
㉠ 맑은 바람이 서서히 불어오고, 물결은 일지 않았다.
㉡ □□徐來 水波不興
10.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숭의여, 양정)
有始者 必有□:시작이 있는 것은 반드시 끝이 있다.
11. □안에 알맞은 부정사를 아래에서 골라 쓰시오. (장훈, 방배)
完成(완전하게 이루다.) ↔ □完成(아직 이루지 못하다.)
未, 不, 無, 勿, 非
12.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신사, 정신여)
千言□用:천 마디 말이 쓸모가 없다.
□能力:능력이 없다.
주관식 기출문제 ………
1. 必, 不
2. 惡
3. 多
4. 明
5. 壹百參拾萬
6. 道
7. ~와(과) 같은 것이 없다.
8. (1) 花開
(2) 月明
9. 淸風
10. 終
11. 未
12. 無
① 秋風唯苦吟-쓸쓸히 읊다
② 世路少知音-나를 알아 주는 이
③ 窓外三更雨-3시에
④ 燈前萬里心-만리를 달리는 마음(향수)
⑤ 世路少知音-세상에
6. 다음 한자어의 음이 바른 것은 ? (한강, 청담)
① 風浪(풍량)② 脫水(설수)
③ 圓舞(원무)④ 曲線(곡천)
⑤ 明示(명시)
7. 다음 중 부수자인 것은 ? (백운, 진선여)
① 泉② 尤
③ 也④ 示
⑤ 圓
8. 다음과 같은 구조로 짜여진 것은 ? (문창, 당산)
花∥開(꽃이 피다)
① 月明② 深夜
③ 讀書④ 雪花
⑤ 自然
9. 다음 중 짜임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 (금란여, 대명)
① 自來② 亂舞
③ 最明④ 風來
⑤ 至高
10. ‘自然師也’에서 ‘也’의 새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정의여, 신사)
① ~의② ~에
③ ~(이)다④ ~보다
⑤ ~하는
11. ‘~지 말라’의 뜻으로 쓰이는 한자는 ? (서울여, 둔촌)
① 勿② 以
③ 者④ 須
⑤ 而
12. 다음 글의 뜻에 맞는 속담은 ? (오산, 중동)
來語不美 去言何美
①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야 가지 마라.
②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③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④ 한 마리의 물고기가 온 내를 흐린다.
⑤ 천 사람에게서 손가락질을 받으면 병이 없어도 죽는다.
13. ‘無道人之短’에서 밑줄 친 ‘道’의 바른 풀이는 ? (광남, 휘문)
① 길② 기술
③ 방법④ 이치
⑤ 말하다
14. 다음 한자중, ‘부정사’로 쓰이지 않는 글자는 ? (정신여, 서연)
① 不② 非
③ 雖④ 未
⑤ 莫
15. 음이 두 가지가 아닌 것은 ? (방학, 한영)
① 壹② 易
③ 參④ 拾
⑤ 不
16. ‘放’을 이용하여 만든 한자어 중 어색한 것은 ? (봉영여, 보성)
① 放學② 開放
③ 放心④ 訓放
⑤ 卒放
17. 보어가 들어 있지 않은 것은 ? (경희여, 한일)
① 積善之家② 少年易老
③ 必有餘慶④ 學難成
⑤ 天下無敵
18. 음이 다른 하나는 ? (장훈, 영파여)
① 耳② 利
③ 貳 ④ 二
⑤ 以
19. 다음 중, 제부수 글자는 ? (서라벌, 동북)
① 而② 之
③ 夫④ 病
⑤ 不
20. 부수와 한자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개) (예일여, 잠실)
① 口-唯, 吟② 제부수-谷, 風
③ 水-溪, 湖④ 火-秋, 燈
⑤ 月-湖, 脚
21. ‘更’ 음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 (과천문원, 휘문)
① 深更② 三更
③ 更生④ 燮更
⑤ 更正
22. ‘追□’에서 □안에 가장 잘 어울리는 한자는 ? (백석, 서문여)
① 落② 億
③ 湖④ 憶
⑤ 谷
23. 서로 어울려 의미 있는 한자어가 되기 어려운 것은 ? (상경, 동북)
① 橋-脚② 望-鄕
③ 湖-落④ 秋-風
⑤ 落-葉
24. 다음 중 한자어의 짜임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 (강남여, 고덕)
① 秋風② 世路
③ 知音④ 三更
⑤ 燈前
핵심기출문제 ………
1. ⑤
자전에서 한자 찾기
月→달
月
肉의 변형
2. ③
한자어의 짜임
수식 구조와 술목 구조 구별
3. ②
한시의 끊어 읽기
5언시는 주로 2자, 3자로 끊어 읽는다.
4. ③
시구의 풀이
서술어는 맨 나중에 풀이함.
5. ③
시어의 풀이
三更:밤11시~새벽1시
6. ③
① 풍랑 ② 탈수
④ 곡선 ⑤ 명시
7. ④
① 水 ②
③ 乙 ⑤ 口
8. ①
②④⑤ : 수식
③ : 술목
9. ④
①②③⑤ : 수식
④ : 주술
10. ③
자연은 스승이다.
11. ①
금지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를 찾는다.
12. ②
① 近墨者黑, 近朱者赤
③ 千人所指, 無病而死
④ 一魚混全川
⑤ 水深可知, 人心難知
13. ③
道: 길, 도리, 방법, 기예, 말하다, 다스리다
14. ③
문장의 형식
부정형:어떤 동작이나 상태 혹은 사물을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문장의 형식
15. ①
쉽다 이
易
바꾸다 역
16. ⑤
한자어를 독음해 보자.
17. ①
보어를 만드는 서술어:있다, 없다, 같다, 되다, 쉽다, 어렵다, 많다.
18. ②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글자는 단독으로 읽을 때는 원음으로 읽는다.
19. ①
之→, 夫→大
20. ④, ⑤
자전에서 한자찾기
‘秋’의 부수:禾
‘湖’의 부수:水
21. ③
한자의 음
(경) 고치다, 시간
更
(갱) 다시
22. ④
한자의 활용
憶(억) 억
23. ③
한자어 구성
24. ③
한자어의 짜임
A B : A 한 B
A 하게 B하다
A┃B:B를 A하다.
1. 다음 글의 빈 칸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한영, 서문여)
師( )( )賢於弟子 스승은 반드시 제자보다 어질지 않다.
2. 다음 ( )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오금, 대림여)
一日不念善이면 諸( )이 皆自起니라.
하루라도 선을 생각하지 않으면 모든 악이 다 스스로 일어난다.
3. ( )안을 알맞게 채우시오. (구의, 언주) 少
젊다 ↔ 老
적다 ↔ ( )
4. ‘秋月最明’에서 서술어를 찾아 쓰시오. (중원, 보성)
5. ‘일백삼십만’을 ‘갖은자’로 써 보자. (남서울, 한산)
6. 다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목동, 영동)
人不學不知□
朝聞□夕死可矣
無□人之短, 無說己之長
7. 다음 밑줄 친 ‘莫如’의 뜻을 풀이하여라. (과천, 신암)
至樂은 莫如讀書요, 至要는 莫如敎子니라.
8. 다음 보기와 같이 확장 구조의 문장을 기본 구조의 문장으로 바꾸어 쓰시오
陽春方來 → 春來
(1) 百花滿開
(2) 秋月最明
9. ㉠과 ㉡의 뜻이 같도록 □□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도봉여, 중동)
㉠ 맑은 바람이 서서히 불어오고, 물결은 일지 않았다.
㉡ □□徐來 水波不興
10.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숭의여, 양정)
有始者 必有□:시작이 있는 것은 반드시 끝이 있다.
11. □안에 알맞은 부정사를 아래에서 골라 쓰시오. (장훈, 방배)
完成(완전하게 이루다.) ↔ □完成(아직 이루지 못하다.)
未, 不, 無, 勿, 非
12.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신사, 정신여)
千言□用:천 마디 말이 쓸모가 없다.
□能力:능력이 없다.
주관식 기출문제 ………
1. 必, 不
2. 惡
3. 多
4. 明
5. 壹百參拾萬
6. 道
7. ~와(과) 같은 것이 없다.
8. (1) 花開
(2) 月明
9. 淸風
10. 終
11. 未
12. 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