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탁구 기초기술
<1> 라켓잡기
▣ 펜홀더 그립
▣ 세이크핸드 그립
※ 기본자세
<2> 스트로크
▣ 포어핸드
▣ 백핸드(발의 중심 : 왼발→오른발)
※ 주의사항
<3> 쇼트
<4> 드라이브
※ 주의사항
<5> 스메시
<6> 커트(역회전)
○ 커트의 공략
<7> 풋워크
<8> 서브
가. 서브의 종류
1. 톱스핀서어브 (드라이브성서어브 : 전진회전)
2. 백스핀서어브 (커트성서어브 : 후퇴회전)
3. 사이드스핀서어브 (횡회전 : 가로)
4. 너클성서어브 (무회전)
나. 서브의 규칙
다. 효과적인 서브 방법
<8> 그 밖의 기술
∘리시브
∘푸시
∘스핀
2. 탁구 규칙
<1> 탁구대
<2> 네트 어셈블리
<3> 공
<4> 라켓
<5>용어의 정의
<6> 올바른 서비스
<7> 올바른 리턴
<8> 경기 순서
<9> 렛
<10> 점수
<11> 게임
<12> 매치
<13> 서빙, 리시빙, 엔드의 순서
<14> 서빙, 리시빙, 엔드의 순서 뒤바뀜
<15> 경기 촉진 제도
<1> 라켓잡기
▣ 펜홀더 그립
▣ 세이크핸드 그립
※ 기본자세
<2> 스트로크
▣ 포어핸드
▣ 백핸드(발의 중심 : 왼발→오른발)
※ 주의사항
<3> 쇼트
<4> 드라이브
※ 주의사항
<5> 스메시
<6> 커트(역회전)
○ 커트의 공략
<7> 풋워크
<8> 서브
가. 서브의 종류
1. 톱스핀서어브 (드라이브성서어브 : 전진회전)
2. 백스핀서어브 (커트성서어브 : 후퇴회전)
3. 사이드스핀서어브 (횡회전 : 가로)
4. 너클성서어브 (무회전)
나. 서브의 규칙
다. 효과적인 서브 방법
<8> 그 밖의 기술
∘리시브
∘푸시
∘스핀
2. 탁구 규칙
<1> 탁구대
<2> 네트 어셈블리
<3> 공
<4> 라켓
<5>용어의 정의
<6> 올바른 서비스
<7> 올바른 리턴
<8> 경기 순서
<9> 렛
<10> 점수
<11> 게임
<12> 매치
<13> 서빙, 리시빙, 엔드의 순서
<14> 서빙, 리시빙, 엔드의 순서 뒤바뀜
<15> 경기 촉진 제도
본문내용
순서
☞ 단식 경기에서는 서버가 먼저 올바른 서비스를 하고 리시버는 올바른 리턴을 하며 이후에는 서버와 리시버가 번갈아 가며 올바르게 리턴한다.
☞ 복식 경기에서는 서버가 먼저 올바른 서비스를 하고 리시버가 올바른 리턴을 하면 서버의 파트너가 올바른 리턴을 하고 그 다음으로 리시버의 파트너가 올바른 리턴을 한다. 이후에는 각 선수가 교대로 순서에 맞게 리턴 한다.
<9> 렛
☞ 다음의 랠리는 렛이 된다.
☞ 서비스된 공이 네트 어셈블리 위로 또는 둘레로 통과할 때 네트 어셈블리를 건드 리는 경우. 단, 네트 어셈블리에 닿은 것을 제외하면 올바른 서비스였거나 리시버 혹은 그의 파트너에 의해 방해를 받은 경우여야 한다.
☞ 리시브하는 측의 선수(또는 조)가 준비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 서비스가 이루어진 경우. 단, 리시버나 그의 파트너가 볼을 치려고 시도하지 않은 경우여야 한다.
☞ 올바른 서비스나 올바른 리턴을 하지 못했거나 규정을 준수하지 못한 것이 선수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의해 발생하였을 경우.
☞ 경기가 심판이나 부심에 의해 방해를 받은 경우.
☞ 다음의 경우에는 경기를 중단시킬 수 있다.
☞ 서빙, 리시빙, 엔드의 순서에 있어 잘못을 교정시키고자 할 때.
☞ 경기 촉진 제도를 실시하고자 할 때.
☞ 선수에게 경고나 처벌을 주고자 할 때.
☞ 랠리의 결과에 영향을 줄 정도로 경기 조건이 방해받았을 때.
<10> 점수
☞ 랠리가 렛이 아닌 경우 선수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득점하게 된다.
☞ 상대방 선수가 올바른 서비스를 하지 못했을 때.
☞ 상대방 선수가 올바른 리턴을 하지 못했을 때.
☞ 서브나 리턴을 한 후 상대편 선수가 공을 치기 전에 네트 어셈블리 이외의 다른 것에 공이 닿았을 때.
☞ 상대편 선수가 친 공이 자신의 코트에 닿지 않고 엔드 라인을 넘어갔을 때.
☞ 상대편 선수가 공을 방해했을 때.
☞ 상대편 선수가 두 번 연속으로 볼을 쳤을 때.
☞ 상대편 선수가 2.4.3, 2.4.4 그리고 2.4.5항의 조건에 맞지 않는 라켓판의 면으로 공을 쳤을 때.
☞ 상대편 선수 또는 상대편 선수의 착용품이나 소지품에 의해 시합 표면이 이동되었을 때.
☞ 상대편 선수 또는 상대편 선수의 착용품이나 소지품이 네트 어셈블리를 건드렸을 때.
☞ 상대편 선수의 프리 핸드가 시합 표면에 닿았을 때.
☞ 복식 경기시 상대편 선수가 올바른 순서를 지키지 않고 볼을 쳤을 때.
☞ 경기 촉진 제도(expedite system)하에서 한 선수(단식) 또는 한 선수와 그의 파트너(복식)가 서비스 리턴을 포함 연속 13개의 올바른 리턴을 한 경우(2.15.2항).
<11> 게임
☞ 10:10이 아닌 상황에서 11포인트를 먼저 획득하는 선수 또는 조가 게임을 이기게 된다. 10:10의 상황에서는 연속 2점을 먼저 획득하는 선수 또는 조가 게임을 이기 게 된다.
<12> 매치
☞ 매치는 홀수전 X선승제로 이루어진다.(ex. 7전 4선승제, 5전 3선승제)
<13> 서빙, 리시빙, 엔드의 순서
☞ 서빙, 리시빙, 엔드의 첫 순서를 선택할 권리는 추첨으로 결정하며 승자가 서브, 리시브를 할 것인가 아니면 특정 엔드에서 시작할 것인가를 선택한다.
☞ 한 선수 또는 조가 먼저 서브 또는 리시브하기로 선택하였거나 특정 엔드에서시 작하기로 선택한 경우, 상대 선수 또는 조는 다른 것을 택하게 된다.
☞ 2포인트를 득점할 때마다 리시빙 선수 또는 조가 서비스 선수 또는 조가 되며 게임이 끝날 때까지 이 방식을 계속한다. 양 선수 또는 조가 모두 10포인트를 득점한 경우나 촉진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경우는 예외로서 이 때는 서비스와 리시빙의 순서는 같은 방식이지만 선수들은 1포인트 변동시 순서대로 서비스를 넘겨준다.
☞ 복식 경기에서 매게임시 우선 서브할 권리를 가진 조는 누가 서브를 할 것인가를 선택하고 매치의 첫 게임시에 리시브 조는 누가 리시브를 먼저 할 것인지를 결정 한다. 매치 후속 게임에서는 첫 서버를 결정하고 나면 이전 게임에서 그에게 서비스를 한 선수가 첫 리시버가 된다.
☞ 복식에서는 서비스가 바뀔 때마다 이전의 리시버는 서버가 되며 이전 서버의 파트너는 리시버가 된다.
☞ 한 게임에서 먼저 서비스한 선수나 조는 후속 게임에서 먼저 리시브를 하게 되며, 복식 매치의 마지막 게임에서는 어느 조가 5포인트를 먼저 획득한 경우 다음 리시브조는 리시브 순서를 바꾼다.
☞ 한 게임에서 어느 한 쪽 엔드에서 시작한 선수 또는 조는 매치의 후속 게임에서는 다른 엔드에서 시작하며 한 매치의 마지막 게임에서는 어느 선수나 조가 먼저 5포 인트를 획득한 경우 서로 엔드를 바꾼다.
<14> 서빙, 리시빙, 엔드의 순서 뒤바뀜
☞ 순서를 지키지 않고 선수가 서브 또는 리시브를 한 경우, 심판은 실수가 발견되는 즉시 경기를 중단시키고 현재의 점수에서 매치초기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경기를 속행시킨다. 복식에서는 실수가 발견된 게임에서 먼저 서브할 권리를 가진 조가 선택한 순서에 따라 경기를 재개한다.
☞ 선수가 엔드를 바꾸어야 함에도 바꾸지 않은 경우 심판은 실수가 발견되는 즉시 경기를 중단시킨 다음 현재의 점수에서 매치 초기에 결정된 순서에 따라 엔드를 바로잡은 후 경기를 재개시킨다.
☞ 실수가 발견되기 전에 획득한 포인트는 어떤 경우라도 모두 인정된다.
<15> 경기 촉진 제도
☞ 경기 촉진 제도는 10분 동안 시합을 해도 게임이 끝나지 않을 때 시행하는 것이다. 단, 양선수 또는 조가 적어도 9점을 획득한 경우나 10분이 경과하기 전에 양 선수 또는 조의 요청이 있을 경우는 예외이다.
☞ 제한 시간이 다 되었는데도 볼이 경기 상태에 있다면 심판은 경기를 중단시키고 중단된 랠리에서 서브한 선수가 서브하도록 하여 경기를 재개시킨다.
☞ 제한 시간이 다 되었을때 볼이 경기 상태에 있지 않다면 직전 랠리에서 리시브 한 선수가 서브하도록 하여 경기를 재개시킨다.
☞ 이후 각 선수는 게임이 끝날 때까지 교대로 서브하되 1점을 따면 다음 선수에게 넘긴다. 리시브 선수 또는 조가 13개의 리턴에 성공하면 리시버는 1포인트를 획득하게 된다.
☞ 경기 촉진 제도가 일단 시행이 되면 매치가 끝날 때까지 시행한다.
☞ 단식 경기에서는 서버가 먼저 올바른 서비스를 하고 리시버는 올바른 리턴을 하며 이후에는 서버와 리시버가 번갈아 가며 올바르게 리턴한다.
☞ 복식 경기에서는 서버가 먼저 올바른 서비스를 하고 리시버가 올바른 리턴을 하면 서버의 파트너가 올바른 리턴을 하고 그 다음으로 리시버의 파트너가 올바른 리턴을 한다. 이후에는 각 선수가 교대로 순서에 맞게 리턴 한다.
<9> 렛
☞ 다음의 랠리는 렛이 된다.
☞ 서비스된 공이 네트 어셈블리 위로 또는 둘레로 통과할 때 네트 어셈블리를 건드 리는 경우. 단, 네트 어셈블리에 닿은 것을 제외하면 올바른 서비스였거나 리시버 혹은 그의 파트너에 의해 방해를 받은 경우여야 한다.
☞ 리시브하는 측의 선수(또는 조)가 준비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 서비스가 이루어진 경우. 단, 리시버나 그의 파트너가 볼을 치려고 시도하지 않은 경우여야 한다.
☞ 올바른 서비스나 올바른 리턴을 하지 못했거나 규정을 준수하지 못한 것이 선수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의해 발생하였을 경우.
☞ 경기가 심판이나 부심에 의해 방해를 받은 경우.
☞ 다음의 경우에는 경기를 중단시킬 수 있다.
☞ 서빙, 리시빙, 엔드의 순서에 있어 잘못을 교정시키고자 할 때.
☞ 경기 촉진 제도를 실시하고자 할 때.
☞ 선수에게 경고나 처벌을 주고자 할 때.
☞ 랠리의 결과에 영향을 줄 정도로 경기 조건이 방해받았을 때.
<10> 점수
☞ 랠리가 렛이 아닌 경우 선수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득점하게 된다.
☞ 상대방 선수가 올바른 서비스를 하지 못했을 때.
☞ 상대방 선수가 올바른 리턴을 하지 못했을 때.
☞ 서브나 리턴을 한 후 상대편 선수가 공을 치기 전에 네트 어셈블리 이외의 다른 것에 공이 닿았을 때.
☞ 상대편 선수가 친 공이 자신의 코트에 닿지 않고 엔드 라인을 넘어갔을 때.
☞ 상대편 선수가 공을 방해했을 때.
☞ 상대편 선수가 두 번 연속으로 볼을 쳤을 때.
☞ 상대편 선수가 2.4.3, 2.4.4 그리고 2.4.5항의 조건에 맞지 않는 라켓판의 면으로 공을 쳤을 때.
☞ 상대편 선수 또는 상대편 선수의 착용품이나 소지품에 의해 시합 표면이 이동되었을 때.
☞ 상대편 선수 또는 상대편 선수의 착용품이나 소지품이 네트 어셈블리를 건드렸을 때.
☞ 상대편 선수의 프리 핸드가 시합 표면에 닿았을 때.
☞ 복식 경기시 상대편 선수가 올바른 순서를 지키지 않고 볼을 쳤을 때.
☞ 경기 촉진 제도(expedite system)하에서 한 선수(단식) 또는 한 선수와 그의 파트너(복식)가 서비스 리턴을 포함 연속 13개의 올바른 리턴을 한 경우(2.15.2항).
<11> 게임
☞ 10:10이 아닌 상황에서 11포인트를 먼저 획득하는 선수 또는 조가 게임을 이기게 된다. 10:10의 상황에서는 연속 2점을 먼저 획득하는 선수 또는 조가 게임을 이기 게 된다.
<12> 매치
☞ 매치는 홀수전 X선승제로 이루어진다.(ex. 7전 4선승제, 5전 3선승제)
<13> 서빙, 리시빙, 엔드의 순서
☞ 서빙, 리시빙, 엔드의 첫 순서를 선택할 권리는 추첨으로 결정하며 승자가 서브, 리시브를 할 것인가 아니면 특정 엔드에서 시작할 것인가를 선택한다.
☞ 한 선수 또는 조가 먼저 서브 또는 리시브하기로 선택하였거나 특정 엔드에서시 작하기로 선택한 경우, 상대 선수 또는 조는 다른 것을 택하게 된다.
☞ 2포인트를 득점할 때마다 리시빙 선수 또는 조가 서비스 선수 또는 조가 되며 게임이 끝날 때까지 이 방식을 계속한다. 양 선수 또는 조가 모두 10포인트를 득점한 경우나 촉진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경우는 예외로서 이 때는 서비스와 리시빙의 순서는 같은 방식이지만 선수들은 1포인트 변동시 순서대로 서비스를 넘겨준다.
☞ 복식 경기에서 매게임시 우선 서브할 권리를 가진 조는 누가 서브를 할 것인가를 선택하고 매치의 첫 게임시에 리시브 조는 누가 리시브를 먼저 할 것인지를 결정 한다. 매치 후속 게임에서는 첫 서버를 결정하고 나면 이전 게임에서 그에게 서비스를 한 선수가 첫 리시버가 된다.
☞ 복식에서는 서비스가 바뀔 때마다 이전의 리시버는 서버가 되며 이전 서버의 파트너는 리시버가 된다.
☞ 한 게임에서 먼저 서비스한 선수나 조는 후속 게임에서 먼저 리시브를 하게 되며, 복식 매치의 마지막 게임에서는 어느 조가 5포인트를 먼저 획득한 경우 다음 리시브조는 리시브 순서를 바꾼다.
☞ 한 게임에서 어느 한 쪽 엔드에서 시작한 선수 또는 조는 매치의 후속 게임에서는 다른 엔드에서 시작하며 한 매치의 마지막 게임에서는 어느 선수나 조가 먼저 5포 인트를 획득한 경우 서로 엔드를 바꾼다.
<14> 서빙, 리시빙, 엔드의 순서 뒤바뀜
☞ 순서를 지키지 않고 선수가 서브 또는 리시브를 한 경우, 심판은 실수가 발견되는 즉시 경기를 중단시키고 현재의 점수에서 매치초기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경기를 속행시킨다. 복식에서는 실수가 발견된 게임에서 먼저 서브할 권리를 가진 조가 선택한 순서에 따라 경기를 재개한다.
☞ 선수가 엔드를 바꾸어야 함에도 바꾸지 않은 경우 심판은 실수가 발견되는 즉시 경기를 중단시킨 다음 현재의 점수에서 매치 초기에 결정된 순서에 따라 엔드를 바로잡은 후 경기를 재개시킨다.
☞ 실수가 발견되기 전에 획득한 포인트는 어떤 경우라도 모두 인정된다.
<15> 경기 촉진 제도
☞ 경기 촉진 제도는 10분 동안 시합을 해도 게임이 끝나지 않을 때 시행하는 것이다. 단, 양선수 또는 조가 적어도 9점을 획득한 경우나 10분이 경과하기 전에 양 선수 또는 조의 요청이 있을 경우는 예외이다.
☞ 제한 시간이 다 되었는데도 볼이 경기 상태에 있다면 심판은 경기를 중단시키고 중단된 랠리에서 서브한 선수가 서브하도록 하여 경기를 재개시킨다.
☞ 제한 시간이 다 되었을때 볼이 경기 상태에 있지 않다면 직전 랠리에서 리시브 한 선수가 서브하도록 하여 경기를 재개시킨다.
☞ 이후 각 선수는 게임이 끝날 때까지 교대로 서브하되 1점을 따면 다음 선수에게 넘긴다. 리시브 선수 또는 조가 13개의 리턴에 성공하면 리시버는 1포인트를 획득하게 된다.
☞ 경기 촉진 제도가 일단 시행이 되면 매치가 끝날 때까지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