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개념정리
2. 지가곡선의 특징
1) 감소하는 지가상승률과 접근도
2) 오목형 함수
3) 교통의 발달에 의한 도시성장
4) 대도시의 분포한 인구패턴
3. 결 론
1. 개념정리
2. 지가곡선의 특징
1) 감소하는 지가상승률과 접근도
2) 오목형 함수
3) 교통의 발달에 의한 도시성장
4) 대도시의 분포한 인구패턴
3. 결 론
본문내용
한 관계를 갖고 있는 개념이다. 상업적 목적으로 토지를 이용하려고 할 경우 접근성은 가장 핵심적인 결정인자이다. 왜냐하면 접근성이 아주 양호하여 최소한의 노력을 들여서 쇼핑을 할 수 있는 지점이야말로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도시는 이처럼 계층적 공간구조가 나타나고, 이에 따른 입지
) 입지(location) - 사전적의미로서 <경제>인간이 경제 활동을 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장소.
패턴의 양상도 달리한다. 어디에 입지하느냐에 따라 도시 내에서 추구하는 효율성에 만족할 수 있고 또는 만족할 수 없는 것이다.
4) 대도시의 분포한 인구패턴
우리나라의 도시는 일반적으로 인구 10만 이상을 가진 규모를 도시로 정의한다. 인구가 밀집되어있는 수도권의 경우는 50만을 넘는 인구밀도로 도시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도시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인구가 모여야 하기 때문에 다음은 인구적인 측면에서 도시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림 ] 대도시 내부의 인구밀도 분포패턴
도시의 규모가 인구의 집중으로 확장되면서 대도시화 되어감에 따라 도시공간의 외연적 확대가 나타나고 더불어 도시 외곽에 고밀도 주거지역이 형성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도심지역의 인구밀도는 매우 낮게 나타나며, 도심에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인구밀도는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 도심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지점에서는 가장 높은 인구 밀도를 보였다.
[그림 5]에서 2번 지점에서 곡선이 볼록하게 나와 있는 것과 5번 지점의 곡선의 볼록한 형태는 교통의 발달로 접근성이 좋은 부도심과 위성도시를 각각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1번에는 고층아파트와 임대주택지구가 있어 높은 지가를 지불 할 능력이 있는 건물이 입지할 수 있으며, 지가가 높기 때문에 집약적인 토지이용을 나타낸다. 즉 수직적으로 건물을 확장시키는 고층건물들이 대거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3. 결 론
도시 지가 곡선의 형태는 도심에서 높고 도시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는 도시의 기능이 他 지역과 연계성을 얼마나 갖는가를 측정 할 수 있는 연결도, 즉 교통망의 영향을 크게 갖는다. 교통망이 잘 발달되어 있어 결절지점을 갖는 지역은 타 지역과의 접근성이 높아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도시의 유지와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참고자료*
이희연 저 「경제지리학[제2판]」 법문사
http://cafe.daum.net/northboyhistory
(북소년사회과카페)
도시는 이처럼 계층적 공간구조가 나타나고, 이에 따른 입지
) 입지(location) - 사전적의미로서 <경제>인간이 경제 활동을 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장소.
패턴의 양상도 달리한다. 어디에 입지하느냐에 따라 도시 내에서 추구하는 효율성에 만족할 수 있고 또는 만족할 수 없는 것이다.
4) 대도시의 분포한 인구패턴
우리나라의 도시는 일반적으로 인구 10만 이상을 가진 규모를 도시로 정의한다. 인구가 밀집되어있는 수도권의 경우는 50만을 넘는 인구밀도로 도시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도시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인구가 모여야 하기 때문에 다음은 인구적인 측면에서 도시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림 ] 대도시 내부의 인구밀도 분포패턴
도시의 규모가 인구의 집중으로 확장되면서 대도시화 되어감에 따라 도시공간의 외연적 확대가 나타나고 더불어 도시 외곽에 고밀도 주거지역이 형성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도심지역의 인구밀도는 매우 낮게 나타나며, 도심에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인구밀도는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 도심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지점에서는 가장 높은 인구 밀도를 보였다.
[그림 5]에서 2번 지점에서 곡선이 볼록하게 나와 있는 것과 5번 지점의 곡선의 볼록한 형태는 교통의 발달로 접근성이 좋은 부도심과 위성도시를 각각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1번에는 고층아파트와 임대주택지구가 있어 높은 지가를 지불 할 능력이 있는 건물이 입지할 수 있으며, 지가가 높기 때문에 집약적인 토지이용을 나타낸다. 즉 수직적으로 건물을 확장시키는 고층건물들이 대거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3. 결 론
도시 지가 곡선의 형태는 도심에서 높고 도시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는 도시의 기능이 他 지역과 연계성을 얼마나 갖는가를 측정 할 수 있는 연결도, 즉 교통망의 영향을 크게 갖는다. 교통망이 잘 발달되어 있어 결절지점을 갖는 지역은 타 지역과의 접근성이 높아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도시의 유지와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참고자료*
이희연 저 「경제지리학[제2판]」 법문사
http://cafe.daum.net/northboyhistory
(북소년사회과카페)
추천자료
[모바일뱅킹]의 특성분석!!!
미샤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성공할 수 있다고 본다
위치지대로서 도시지대(입찰지대론과 문제점)
한국의 F.T.A(자유무역협정)-한중일FTA를 중심으로 - 중국 & 일본 입장의 FTA / 장애요인...
강남 부동산 가격 폭등의 원인과 대책
환경친화적 도로건설사업을 위한 환경성평가의 개발
탐라속으로.. 저잣거리 구성으로 인한 성읍민속마을의 관광 명소적 요소의 재발견 - 성읍민속...
교촌치킨의 성공요인은 무엇이고 앞으로 발전방향은 어떤것이 있는가 (교촌치킨 소개, 교촌치...
대형마트와 SSM 규제의 찬성과 반대의견 및 소매유통산업의 합리적 대책방안 (대형마트와 SSM...
(해외투자론) 동아제약 조사 레포트 (A+학점)
「KT 기업분석과 마케팅전략 연구」 KT 기업현황, 경영분석, 기업환경분석, 핵심역량분석, KT...
대형할인마트의 입지요인과 입점 이후의 기대효과 - 이마트(E-MART) 자양점.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