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국어 중2-2학기 단원 중간 모의고사 02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실전모의고사 2회

본문내용

.
[약도 제작 요령] ★★
약도의 제작 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④
①방향을 정확히 표시한다.
②거리를 대략적으로 표시한다.
③필요한 부분은 정확히 그린다.

④중간 표지물은 기록하지 않는다.
⑤상대방이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
중간 표지물을 기록하면 다른 것보다 찾기 쉬워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쉽게 찾을 수 있다. 중간 표지물은 기입하는 것이 좋다.
[복합어] ★★★
다음 중 복합어의 형성이 알맞지 않은 것은? ③
①걷 + 음 → 걸음②불 + 나비 → 부나비

③숟 + 가락 → 숟가락④가리 + 개 →가리개
⑤덧 + 저고리 → 덧저고리
‘숟가락’은 어근 ‘술’과 ‘가락’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합성어이다. 형성 과정에서 ‘ㄹ'의 탈락과 ’ㄷ'의 첨가가 이루어진 낱말이다.
[합성어] ★★
다음 중 어근이 완전히 하나로 융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는 낱말은? ①

①밤낮②한두③손수건
④오가다⑤늦가을
‘밤낮’은 늘, ‘항상’이란 새로운 의미를 나타낸다.
[관용어] ★★★
관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①누구든지 다양하게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②한 단어처럼 쓰이며 고정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③언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관습적으로 쓰이는 말이다.
④둘 이상의 낱말이 결합하여 특별한 의미로 사용된다.
⑤각각의 낱말이 지닌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없다.
관용어는 둘 이상의 낱말이 결합하여 특별한 의미로 사용되는 관습적인 말로 함부로 바꾸어 사용할 수 없다.
[정보를 전달하는 글] ★★★
다음과 같은 글을 쓸 때 고려할 점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②
근대 이전에 역사로 거슬러 올라가면 국어학자의 이름이 얼른 떠오르지 않는다. 국어에 관한 저술이 전혀 없었던 것이 아니지만, 그것들은 대체로 유학자들의 여기(餘技)에 지나지 않았다. 정약용을 포함한 실학자들의 저술도 마찬가지다. 단 하나의 예외가 있다면 그것은 최세진의 업적이다 그가 자신의 저술들에 틈틈이 끼워 넣은 언문, 곧 정음(正音)에 대한 언급은 중세 후기 국어의 모습을 밝혀 주는 중요한 실마리이다.
① 최대한 객관적으로 서술한다.

②국어에 대한 전문적인 설명을 주로 쓴다.
③인물에 대한 기록을 토대로 내용을 마련한다.
④‘머리말 - 본문 - 맺음말’의 내용을 미리 구성한다.
⑤최세진에 대한 역사적인 평가는 객관적인 근거를 예로 들어 쓴다.
이 글은 최세진의 업적과 일대기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글이기 때문에 국어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인물에 중심을 두고 쓴다.
[내용 전달시 유의점] ★★★
들은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때 주의할 점으로 적절한 것은? ④
①말하는 이의 구성 방식을 그대로 존중해야 한다.
②듣는이가 혼란을 느끼지 않도록 의견과 사실 중 사실만을 전달한다.
③듣는이의 상황을 존중하여 들은 내용의 일부분만을 이야기한다.

④정확한 내용 전달을 위해서는 육하 원칙을 따르는 것이 좋다.
⑤듣는이의 판단을 돕기 위해 자신의 느낌과 감상을 덧붙인다.
들은 내용을 전달할 때에는 사실대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키워드

전달,   주의,   존중,   복합어,   형성,   융합,   인물,   용어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2.04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84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