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심리학] 상동증적 운동장애에 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상동증적 운동장애
1. 원인적 연구
2. 자해행동을 위한 주요 치료법들
3. 진단적 특징
4. 세부 진단
5. 부수적 특징 및 장애
6. 관련 검사 소견
7. 특정 나이 및 성별 특징
8. 유병률
9. 경과
10. 감별 진단

본문내용

심한 정신지체 성인의 25%까지 다양하다.
9. 경과
상동증적 운동장애의 전형적인 발병 나이나 발병 양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스트레스 사건 이후에 발병되기도 한다. 심한 정신지체로 말을 잘 하지 못하는 개인들에 있어서는 고통스러운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 이후에 나타나기도 한다(예: 중이염이 머리를 부딪치는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청소년기에 절정을 이루고 점차로 감소된다. 그러나 심한 정신지체가 있는 개인들의 경우 이런 행동이 몇 년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흔히 그러한 행동의 초점은 변화된다(예: 손을 물어뜯는 행동에서 머리를 때리는 행동으로 바뀐다).
10. 감별 진단
상동증적 운동은 정신지체에 동반되며 특히 자극이 없는 환경에 있는 개인의 경우에 그러하다. 상동증적 운동장애는 상동증적 행동 또는 자해적 행동이 치료를 받아야 될 정도로 심한 경우에만 진단 내려진다. 반복적 상동증적 행동은 광범위성 발달장애의 특징적인 양상 가운데 하나이다. 상동증적 행동이 광범위성 발달장애로 잘 설명된다면 상동증적 운동장애의 진단은 내려지지 않아야 한다. 강박장애에서의 강박적 행동은 더 복잡하고 의식적이며 강박적 사고에 대한 반응으로, 또는 엄격히 적용되는 규칙에 따라 수행된다. 상동증적 운동장애의 복합적인 운동 특성과 단순 틱(예: 눈 깜박임)을 구별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복합 운동 틱과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상동증적 행동은 보다 충동적이고 의도적인 것으로 보여 지는 반면, 틱 장애는 보다 불 수의적이고 율동적이지 않다. 발모광은 정의 그대로 반복 행동이 머리 뽑는 행동에 한정되어 있다. 상동증적 운동장애에 있어서 자가 손상은 신체적인 징후와 증상이 많이 나타나는 허위성 장애와 감별되어야 하고, 허위성 장애의 자해 동기는 아픈 사람의 역할을 하려는 것이다. 정신증적 장애와 인격 장애와 연관되는 자해는 계획적이고 복잡하고 산발적이며, 바탕에 깔려 있는 심한 정신장애의 맥락에 따라 개인에게 의미가 있는 행동이다(예: 망상적 사고의 결과이다). 신경학적 장애와 연관되는 불수의적 운동(예: 헌팅턴 병)은 신경계 질환의 전형적인 양상, 징후, 그리고 증상에 따라 나타난다. 어린 소아에서 발달 과정에서 적절한 자가 자극 행동(예: 손가락 빨기, 몸 흔들기, 머리 부딪치기)은 항상 자발적으로 멈추고 치료를 요구할 만큼 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다. 자극이 결핍된 사람(예: 맹인)에서 자가 자극 행동은 기능 장해나 자해의 결과를 초래하지는 않는다.
목차
이상심리학개론 / 김병철 외 3인 / 2005년 연세대 출판부
장애 아동상담 / 박수경 / 2004년 교육과학사
아동기 행동장애 심층연구/ 변운기, 이성철 / 2005년 고려대학원 심리학과 논문
아동기 발달 장애/ 김병수 / 2005년 / 메디컬 미디어
유아 아동을 위한 정신건강/ 교육과학사/ 김영숙 외 2명/ 2000년 4월 1일
아동 발달심리학/ 한명희 외 2인 / 메디컬 미디어 / 2004년
정신장애의 진단 및 치료연구/ 서정문 외 3인/ 2004년 멘탈 사이언스 기재 논문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2.01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93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