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고등 과학 발열반응과 흡열반응 02 예상문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기체들 사이의 반응에서 온도가 10℃ 정도 올라가면 반응 속도는 2배 정도 증 가한다. 만일, 20℃에서 2NO(g) + O2(g) → 2NO2(g) 반응의 속도가 0.006몰/ L초라면, 50℃에서의 반응 속도는 ?
① 0.012 몰/L초
② 0.018 몰/L초
③ 0.024 몰/L초
④ 0.048 몰/L초
⑤ 0.054 몰/L초
69.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 속도가 빨라지는 이유로 옳은 것은 ?
① 활성화 에너지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② 활성화 에너지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③ 반응이 가능한 분자수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④ 분자의 운동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⑤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70. 다음 표는 충분한 양의 묽은 염산에 0.1g의 마그네슘 조각을 반응시켜 발생하는 기체의 부피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시간(초)
0
30
60
90
120
150
발생한 기체의 부피(mL)
0
44
72
90
100
100
위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
① 이 실험에서 발생한 기체는 수소 기체이다.
② 반응 속도가 가장 빠른 구간은 0~30초 사이이다.
③ 반응 속도가 변하는 이유는 반응 물질의 양이 변하기 때문이다.
④ 염산의 농도가 달라지면 발생하는 기체의 총량도 달라진다.
⑤ 마그네슘의 질량이 달라지면 발생하는 기체의 총량도 달라진다.
71. 다음 표는 원유에 포함된 탄화수소의 일부를 정리한 것이다.
물 질
분 자 식
이 름
끓는점(℃)
녹는점(℃)
밀도(g/cm3)
석 유
가 스
CH4
메 탄
-162
-183
0.424
C2H6
에 탄
-89
-184
0.546
C3H8
프로판
-42
-188
0.501
C4H10
부 탄
-0.5
-138
0.579
가솔린
C5H12
펜 탄
36
-130
0.626
위 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
① 분자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연소하기 쉽다.
② 탄소수가 많아질수록 탄소 원자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한다.
③ 원유에 포함된 탄화수소들의 연소 생성물은 모두 같을 것이다.
④ 탄소수가 많을수록 액화시키는 데 어려움이 많다.
⑤ 탄소수가 증가함에 따라 분자 크기가 일정하므로 밀도는 증가한다.
72. 오른쪽 그림은 마그네슘 리본과 세 종류의 과량의 묽은 염산과의 반응 결과 발생한 수소 기체의 부피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 중 설명이 가장 타당하지 못한 것은 ?
① 처음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실험 1이다.
② 사용한 마그네슘은 100초 정도 지나면 모두 반응한다.
③ 실험 2와 실험 3에서 사용한 마그네슘의 양은 같다.
④ 사용한 염산의 농도가 가장 묽은 것은 실험 3이다.
⑤ 염산의 양이 가장 많이 소모된 것은 실험 2이다.
73. 희연이가 증발 속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했던 요인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ㄱ. 온도 ㄴ. 농도 ㄷ. 소금물의 양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74. 위의 실험에서 증발 속도가 가장 느릴 것으로 생각되는 것은 ?
① 0℃, 30% 소금물
② 0℃, 10% 소금물
③ 40℃, 20% 소금물
④ 80℃, 10% 소금물
⑤ 80℃, 30% 소금물
75. 다음은 같은 온도에서 5개의 각각 다른 반응 물질의 에너지 분포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반응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 (단, 는 활성화 에너지이다.)
① ② ③
④ ⑤
76. 오른쪽 표는 A, B, C, D를 그 이온의 수용액 과 반응시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각 금속의 반응성의 크기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 (단, ○은 반응이 일어난 경우이고, ×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이다.)
① A>B>C>D
② B>C>D>A
③ C>D>B>A
④ C>A>B>D
⑤ D>C>A>B
77. 인규는 서로 다른 알칼리 금속의 화합물 A, B, C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았다. 이들의 화합물명은 염화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나트륨이다.
A, B, C는 모두 물에 잘 녹는다.
A와 B의 불꽃색 반응의 실험 결과는 서로 같다.
B 수용액에 질산은 용액을 소량 가하면 흰색 앙금이 생긴다.
C에 묽은 황산을 가하면 무색의 기체가 발생한다.
이 사실로부터 A, B, C와 화합물명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
A B C
① 염화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탄산칼륨
② 수산화나트륨 탄산칼륨 염화나트륨
③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칼륨
④ 염화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나트륨
⑤ 탄산칼륨 염화나트륨 수산화나트륨
79. 다음 보기에 있는 네 가지 반응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
ㄱ. 간 세포에서 포도당이 글리코겐으로 합성된다.
ㄴ. 단백질은 위액을 혼합한 용액에서 쉽게 분해된다
ㄷ. 수소와 산소의 혼합 기체는 백금 가루가 있으면 실온에서도 잘 반응한다.
ㄹ. 체내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과산화수소는 철 양이온에 의하여 물과 산소로 분해된다.
① 촉매 반응
② 흡열 반응
③ 효소 반응
④ 분해 반응
⑤ 치환 반응
80. 오른쪽 그래프는 H2O 1몰의 상태 변화에 따른 에너지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단, H2O의 분자량은 18이다.)
다음 중 수증기가 얼음으로 상태 변화할 때의 열화학 반응식으로 옳은 것은 ? ]
① H2O(g) → H2O(s) + 38.05 kJ
② H2O(g) → H2O(s) + 50.15 kJ
③ H2O(g) → H2O(s) + 6.05 kJ
④ H2O(g) → H2O(s) - 38.05 kJ
⑤ H2O(g) → H2O(s) - 50.15 kJ
81. 기체 분자 A와 B가 서로 충돌할 때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이 때 반응 경로에 따른 각 물질의 에너지 변화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A + B → C + 10kJ
만약, 위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가 거의 0에 가깝다고 가정할 때 다음 설명 중 타당한 것은 ? ]
① 정촉매의 효과는 매우 클 것이다.
② 서로 충돌한 반응물은 거의 100%생성물로 될 것이다.
③ 반응 속도는 매우 느릴 것이다.
④ 역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는 약 10kJ 일 것이다.
⑤ 반응 물질과 생성 물질의 농도는 같은 것이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6.12.0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94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