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초기‘부패방지’에 우월하다는 판단하에 비례교섭대표제 채택
3. 단위노조, 상급단체 노조간 원활한 의사소통 없이는 자율교섭 불가능
4. 프랑스의 전국단위 총동맹과 그 규모는?
2. 초기‘부패방지’에 우월하다는 판단하에 비례교섭대표제 채택
3. 단위노조, 상급단체 노조간 원활한 의사소통 없이는 자율교섭 불가능
4. 프랑스의 전국단위 총동맹과 그 규모는?
본문내용
성을 인정받았다. 총동맹 각각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CGT(프랑스노동총동맹, 30%), CFDT(프랑스 민주노동총동맹, 25%), CGT-FO(‘노동자의 힘’노동총동맹, 18%), CFTC(기독교노동자 프랑스총동맹, 9%), CFE-CGC(직제관리직총동맹, 7%) 등의 순이다.
특히 이들 총동맹 중 CFTC나 CGC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총동맹 가운데 2개가 동의하는 경우에는 거의 과반수에 육박하게 되어 사업장에서는 이들이 합의하면 그 내용대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참고로 상기의 점유율은 프랑스의 노조 조직률이 낮은 점을 감안할 때, 어떤 의미에서는 다소의 차이를 보이는 총동맹의 점유율은 큰 의미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비율의 변동이 심하다.
특히 이들 총동맹 중 CFTC나 CGC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총동맹 가운데 2개가 동의하는 경우에는 거의 과반수에 육박하게 되어 사업장에서는 이들이 합의하면 그 내용대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참고로 상기의 점유율은 프랑스의 노조 조직률이 낮은 점을 감안할 때, 어떤 의미에서는 다소의 차이를 보이는 총동맹의 점유율은 큰 의미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비율의 변동이 심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