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 않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인류의 문화는 풍요롭게 발전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과연 이런 일련의 과정을 ‘진보’라고 볼 때 한 가지 의문이 드는 것은 인간이 인간다움을 잃어 갈 때 그것을 진보라고 볼 수 있느냐는 것이다. 즉, 인간성의 상실의 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을 볼 때 ‘진보’라는 용어를 사용해도 좋을지 의문이다. 세상에 부모가 자식을 죽이고 자식이 부모를 죽이고 국가에 대한 개념도 없고, 스승과 제자의 도리가 무너진 지 오래고 사람과 사람 사이에 도리가 땅에 떨어진지 오래다. 자유도 좋고, 평등, 물질적 풍요로움도 좋은데 그 대가로 인류는 인륜과 도덕이 무너지는 너무 큰 대가를 치르고 있다. 사람의 정신이 병들어 가고 있다는 이야기다. 요즘 정신병원에 가면 94%이상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고 한다. 현대 사회가 진보에 대한 과포화 상태에 들어섰고 이로 인해 미래를 향해서 진보하는 능력을 상실하고 있다. 카가 활동하는 시대가 서구가 전 세계적으로 그 세력을 뻗치며 성장해 나가는 시기였다고 볼 때 카의 그런 낙관론적 관점도 십분 이해할만 하지만 오늘날에 이런 진보로서의 역사에는 많은 회의가 느껴진다. 결국 중요한 것들을 다 놓치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역사는 인간이 시간의 흐름을 자연적 과정이라는 관점에서가 아니라 거기에 인간이 의식적으로 관계되고, 또 인간이 의식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수한 사건의 연쇄이다. 오늘날 우리는 수백, 수천 km 떨어진 곳의 사건도 몇 분 만에 우리의 사건이 되어 버리는 시대에 살고 있다. 과거 카가 살던 시대 보다 훨씬 판이 복잡해지고 넓어졌다. 이제는 인류의 역사 또한 부분적이고 단편적인 역사에서 벗어나 복합적이고 전체로서의 역사가 펼쳐지고 있다. 중요한 것은 카가 생각하는 것처럼 우리 미래가 더 이상 낙관적으로 바라볼 수많은 없다는 것이다. 가장 심각한 것은 오늘날 우리는 양적인 팽창 속에 질적인 수축으로 인간성이 상실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역사는 역동적으로 움직인다. 그 움직임을 어떻게 이끌어 가는지는 오로지 인간의 책임 하에 놓여있다.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고 이해하려고 하는 것도 결국은 어제 보다 더 나은 삶을 위해서이다. 과거의 오류를 되풀이 하지 말고 더 한 차원 높은 발전을 위해서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것을 위해서는 카의 말처럼 우리는 끊임없이 과거와 대화를 하여야 한다. 그래도 역사는 움직이기 때문이다.
역사는 인간이 시간의 흐름을 자연적 과정이라는 관점에서가 아니라 거기에 인간이 의식적으로 관계되고, 또 인간이 의식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수한 사건의 연쇄이다. 오늘날 우리는 수백, 수천 km 떨어진 곳의 사건도 몇 분 만에 우리의 사건이 되어 버리는 시대에 살고 있다. 과거 카가 살던 시대 보다 훨씬 판이 복잡해지고 넓어졌다. 이제는 인류의 역사 또한 부분적이고 단편적인 역사에서 벗어나 복합적이고 전체로서의 역사가 펼쳐지고 있다. 중요한 것은 카가 생각하는 것처럼 우리 미래가 더 이상 낙관적으로 바라볼 수많은 없다는 것이다. 가장 심각한 것은 오늘날 우리는 양적인 팽창 속에 질적인 수축으로 인간성이 상실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역사는 역동적으로 움직인다. 그 움직임을 어떻게 이끌어 가는지는 오로지 인간의 책임 하에 놓여있다.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고 이해하려고 하는 것도 결국은 어제 보다 더 나은 삶을 위해서이다. 과거의 오류를 되풀이 하지 말고 더 한 차원 높은 발전을 위해서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것을 위해서는 카의 말처럼 우리는 끊임없이 과거와 대화를 하여야 한다. 그래도 역사는 움직이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역사적 진실은 무엇인가
역사학 이란 무엇인가
E. H. carr의 강의인 책 '역사란 무엇인가'의 정리
E H carr 의 역사란 무엇인가
E.H.Carr 의 역사란 무엇인가
[기독교란 무엇인가] 기독교란 무엇인가(기독교의 기원과 역사 및 기독교의 교리와 특징)
[독후감] 역사란 무엇인가
학술적글쓰기 - 역사란 무엇인가 (동북공정)
나에게 있어 역사란 무엇인가?
[문화인류학과 한국사회의 역사] 미시사란 무엇인가
문화 인류학이란 무엇인가, 역사인류학의 내용과 과제
중국 ‘조선족’의 역사는 무엇인가
교육학과 교양학회소유냐 존재냐역사란 무엇인가과학혁명의 구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