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객관식121-156
본문내용
, ㉣
⑤ ㉠, ㉢, ㉣
151. 고구려의 대 중국 관계에 관한 사실과 거리가 먼 것은 ? [인하사대부고]
① 동천왕 - 위의 침입으로 한때 국내성이 함락되었다.
② 미천왕 - 낙랑을 축출하여 중국 세력을 한반도에서 몰아 내었다.
③ 고국원왕 - 전연의 침입을 받아 국가적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④ 광개토 대왕 - 후연을 공격하여 요동과 요서 지역을 진출하였다.
⑤ 장수왕 - 중국 북조와 힘을 합하여 백제와 중국 남조의 연합 세력에 대항 하였다.
152. 다음은 삼국 통일 과정 중 일어났던 사건들이다. 일어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환일고, 한성고]
ㄱ. 매소성 싸움 ㄴ. 황산벌 전투
ㄷ. 평양성 함락 ㄹ. 기벌포 싸움
① ㄱ → ㄴ → ㄷ → ㄹ
② ㄱ → ㄷ → ㄴ → ㄹ
③ ㄴ → ㄷ → ㄱ → ㄹ
④ ㄴ → ㄹ → ㄱ → ㄷ
⑤ ㄹ → ㄴ → ㄷ → ㄱ
153. 다음 중 고구려의 발전 과정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 [신목고]
㉠ 수도를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
㉡ 불교 수용, 율령 반포, 태학 설립
㉢ 전연, 백제의 공격을 받아 국가적 위기에 직면
㉣ 낙랑을 쳐서 중국 세력 축출
㉤ 요동을 포함한 만주 대부분을 차지
① ㉠ - ㉣ - ㉢ - ㉡ - ㉤
② ㉢ - ㉣ - ㉠ - ㉡ - ㉤
③ ㉢ - ㉣ - ㉤ - ㉡ - ㉠
④ ㉣ - ㉢ - ㉡ - ㉤ - ㉠
⑤ ㉣ - ㉤ - ㉡ - ㉠ - ㉢
154. 고구려가 중원 고구려비를 건립 할 당시에 있었던 사실이 아닌 것은 ?
① 백제와 신라는 동맹 관계를 유지하였다. [진명여고]
② 분열되었던 중국이 수에 의하여 통일되었다.
③ 백제는 수도를 한성에서 웅진으로 천도하였다.
④ 당시 고구려의 수도는 지금의 평양에 위치하고 있었다.
⑤ 삼국 항쟁의 제 1 기로 고구려가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155. 삼국의 영역을 표시한 다음 지도를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영일고]
① ㉠ - ㉡ - ㉢
② ㉠ - ㉢ - ㉡
③ ㉡ - ㉠ - ㉢
④ ㉢ - ㉠ - ㉡
⑤ ㉢ - ㉡ - ㉠
156. 삼국의 상호 항쟁 과정에서 있었던 다음 사건 중 셋번째로 발생한 사건은 ?
[서울여고, 수원고]
① 나제 동맹결렬
② 백제가 수도를 웅진으로 천도
③ 고구려가 수도를 평양으로 천도
④ 신라가 당과 군사적 연합 활동전개
⑤ 백제의 공격으로 고구려가 위기에 직면
121. ⑤
부족의 독자성이 상실되어 가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122. ④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의 국가들이 고대 사회로 성장하면서 족장 세력은 자신 들이 다스리던 지역에 영향력을 유지하였지만, 점차 왕권에 복속되어 가는 모습 을 보였다.
123. ⑤
가야 토기가 일본으로 건너가 스에키 토기에 영향을 주었다.
124. ④
(가)시기는 520~612년
① 433(→533년에 결렬)
② 4세기 후반(근초고왕)
③ 3세기 중엽(동천왕)
④ 6세기 중엽(진흥왕)
⑤ 7세기 중엽(무열왕)
125. ②
(가) 4세기 근초고왕 때
(나) 5세기 장수왕 때
(다)7세기 초~7세기 중엽
(라)6세기 법흥왕 때
126. ①
수의 통일(589), 당의 건국(618)은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에 걸치는 시기로 삼 국 말기에 해당된다. ②③은 수와 고구려간에 있었던 일이고, ④⑤는 당과 관련된 사실이다.
127. ③
삼국시대(2~7세기)의 중국은 위진남북조수당으로 이어졌다.
①은 고구려의 경우이고,
②는 백제의 경우이다.
③ 신라의 중국교섭은 4세기에는 백제를 통해 이루어 졌다.
[128~129] 지도가 제시한 시기는 고구려의 전성기, 동서위로의 분열은 6세 기 중엽. A는 주몽, B는 비류온조의 이동 경로
128. ④
129. ⑤
130. ①
한강 유역은 한반도의 요충 지역으로의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131. ①, ③
③상호 관계의 변화 4세기 후반 - 고구려, 신라의 관계 강화, 백제 견제 5세기 - 백제 신라의 동맹 6세기 - 신라의 급성장 7세기 - 고구려백제의 관계 강화, 신라 견제
④ 고구려(B. C. 37), 백제(B. C. 18), 신라(B. C. 57)
132. ①
고구려는 자연조건이 농업을 하기에 적당하지 않아 주변 국가를 정복하여 공 납을 바치게 하였다. 이런 공납물을 대가들은 부경이란 창고에 보관하였다. 예 를 들면 옥저는 고구려에 정복된 후 고구려에 공물을 바쳤다. 고구려인 중에도 대가와 하호가 있어서, 대가는 지배계급으로서 피지배 계급인 하호에게 조세와 공 물을 수취하여 먹고살았다. 이들 하호는 평민이나 처지가 노복과 같을 정도로 예 속성이 강 했다.
133. ④
고이왕대는 6좌평 제도와 관등 제도를 정비하면서 한강 유역으로 확대하였다. 태조왕의 정치제도 정비 과정에서 옥저를 정복하였다. 소수림왕의 율령의 정 비, 불교의 수용, 율령 정비 태학 설립 등의 제도 정비가 바탕이 되어 광개토 왕의 만주와 한강유역으로 확대할 통치력을 가지게 되었다. 법흥왕대 병부설 치, 불교수용, 율령정비 과정에서 영토를 확대할 수 있었다. 내물왕의 왜구 격 퇴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도움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국력 확대와는 관련이 없다.
134. ②
135. ②
136. ③
137. ②
138. ④
139. ①
소수림왕 때 고구려는 지방에 산재한 부족 세력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면서 중 앙 집권 국가로의 체제를 강화하였다.
140. ②
141. ④
골품제와 같은 신분제는 삼국이 공통적이었을 것이다. 이런 신분제가 삼국이 영토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나오게 되었다는 사실을 기초로 추론한다.
142. ①
녹읍이 농민에 대한 지배권과 총체적인 수취를 가능하게 하는 것인데, 관료에 게 지급한 토지는 왕에게 충성하는 전제하에서만 지급되는 것이다.
143. ①
당시 무역이 누구를 위한 무역인가를 생각하여 이유를 추론한다.
144. ③
삼국의 통치 정책을 물어 보는 문제이다. 이런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145. ④
고구려의 지리적 위치 파악
146. ⑤
고구려는 요동지역(가)으로 진출
147. ⑤
148. ⑤
149. ②
150. ②
151. ⑤
152. ③
153. ④
154. ②
155. ①
156. ②
내신문제연구소
⑤ ㉠, ㉢, ㉣
151. 고구려의 대 중국 관계에 관한 사실과 거리가 먼 것은 ? [인하사대부고]
① 동천왕 - 위의 침입으로 한때 국내성이 함락되었다.
② 미천왕 - 낙랑을 축출하여 중국 세력을 한반도에서 몰아 내었다.
③ 고국원왕 - 전연의 침입을 받아 국가적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④ 광개토 대왕 - 후연을 공격하여 요동과 요서 지역을 진출하였다.
⑤ 장수왕 - 중국 북조와 힘을 합하여 백제와 중국 남조의 연합 세력에 대항 하였다.
152. 다음은 삼국 통일 과정 중 일어났던 사건들이다. 일어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환일고, 한성고]
ㄱ. 매소성 싸움 ㄴ. 황산벌 전투
ㄷ. 평양성 함락 ㄹ. 기벌포 싸움
① ㄱ → ㄴ → ㄷ → ㄹ
② ㄱ → ㄷ → ㄴ → ㄹ
③ ㄴ → ㄷ → ㄱ → ㄹ
④ ㄴ → ㄹ → ㄱ → ㄷ
⑤ ㄹ → ㄴ → ㄷ → ㄱ
153. 다음 중 고구려의 발전 과정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 [신목고]
㉠ 수도를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
㉡ 불교 수용, 율령 반포, 태학 설립
㉢ 전연, 백제의 공격을 받아 국가적 위기에 직면
㉣ 낙랑을 쳐서 중국 세력 축출
㉤ 요동을 포함한 만주 대부분을 차지
① ㉠ - ㉣ - ㉢ - ㉡ - ㉤
② ㉢ - ㉣ - ㉠ - ㉡ - ㉤
③ ㉢ - ㉣ - ㉤ - ㉡ - ㉠
④ ㉣ - ㉢ - ㉡ - ㉤ - ㉠
⑤ ㉣ - ㉤ - ㉡ - ㉠ - ㉢
154. 고구려가 중원 고구려비를 건립 할 당시에 있었던 사실이 아닌 것은 ?
① 백제와 신라는 동맹 관계를 유지하였다. [진명여고]
② 분열되었던 중국이 수에 의하여 통일되었다.
③ 백제는 수도를 한성에서 웅진으로 천도하였다.
④ 당시 고구려의 수도는 지금의 평양에 위치하고 있었다.
⑤ 삼국 항쟁의 제 1 기로 고구려가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155. 삼국의 영역을 표시한 다음 지도를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영일고]
① ㉠ - ㉡ - ㉢
② ㉠ - ㉢ - ㉡
③ ㉡ - ㉠ - ㉢
④ ㉢ - ㉠ - ㉡
⑤ ㉢ - ㉡ - ㉠
156. 삼국의 상호 항쟁 과정에서 있었던 다음 사건 중 셋번째로 발생한 사건은 ?
[서울여고, 수원고]
① 나제 동맹결렬
② 백제가 수도를 웅진으로 천도
③ 고구려가 수도를 평양으로 천도
④ 신라가 당과 군사적 연합 활동전개
⑤ 백제의 공격으로 고구려가 위기에 직면
121. ⑤
부족의 독자성이 상실되어 가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122. ④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의 국가들이 고대 사회로 성장하면서 족장 세력은 자신 들이 다스리던 지역에 영향력을 유지하였지만, 점차 왕권에 복속되어 가는 모습 을 보였다.
123. ⑤
가야 토기가 일본으로 건너가 스에키 토기에 영향을 주었다.
124. ④
(가)시기는 520~612년
① 433(→533년에 결렬)
② 4세기 후반(근초고왕)
③ 3세기 중엽(동천왕)
④ 6세기 중엽(진흥왕)
⑤ 7세기 중엽(무열왕)
125. ②
(가) 4세기 근초고왕 때
(나) 5세기 장수왕 때
(다)7세기 초~7세기 중엽
(라)6세기 법흥왕 때
126. ①
수의 통일(589), 당의 건국(618)은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에 걸치는 시기로 삼 국 말기에 해당된다. ②③은 수와 고구려간에 있었던 일이고, ④⑤는 당과 관련된 사실이다.
127. ③
삼국시대(2~7세기)의 중국은 위진남북조수당으로 이어졌다.
①은 고구려의 경우이고,
②는 백제의 경우이다.
③ 신라의 중국교섭은 4세기에는 백제를 통해 이루어 졌다.
[128~129] 지도가 제시한 시기는 고구려의 전성기, 동서위로의 분열은 6세 기 중엽. A는 주몽, B는 비류온조의 이동 경로
128. ④
129. ⑤
130. ①
한강 유역은 한반도의 요충 지역으로의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131. ①, ③
③상호 관계의 변화 4세기 후반 - 고구려, 신라의 관계 강화, 백제 견제 5세기 - 백제 신라의 동맹 6세기 - 신라의 급성장 7세기 - 고구려백제의 관계 강화, 신라 견제
④ 고구려(B. C. 37), 백제(B. C. 18), 신라(B. C. 57)
132. ①
고구려는 자연조건이 농업을 하기에 적당하지 않아 주변 국가를 정복하여 공 납을 바치게 하였다. 이런 공납물을 대가들은 부경이란 창고에 보관하였다. 예 를 들면 옥저는 고구려에 정복된 후 고구려에 공물을 바쳤다. 고구려인 중에도 대가와 하호가 있어서, 대가는 지배계급으로서 피지배 계급인 하호에게 조세와 공 물을 수취하여 먹고살았다. 이들 하호는 평민이나 처지가 노복과 같을 정도로 예 속성이 강 했다.
133. ④
고이왕대는 6좌평 제도와 관등 제도를 정비하면서 한강 유역으로 확대하였다. 태조왕의 정치제도 정비 과정에서 옥저를 정복하였다. 소수림왕의 율령의 정 비, 불교의 수용, 율령 정비 태학 설립 등의 제도 정비가 바탕이 되어 광개토 왕의 만주와 한강유역으로 확대할 통치력을 가지게 되었다. 법흥왕대 병부설 치, 불교수용, 율령정비 과정에서 영토를 확대할 수 있었다. 내물왕의 왜구 격 퇴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도움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국력 확대와는 관련이 없다.
134. ②
135. ②
136. ③
137. ②
138. ④
139. ①
소수림왕 때 고구려는 지방에 산재한 부족 세력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면서 중 앙 집권 국가로의 체제를 강화하였다.
140. ②
141. ④
골품제와 같은 신분제는 삼국이 공통적이었을 것이다. 이런 신분제가 삼국이 영토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나오게 되었다는 사실을 기초로 추론한다.
142. ①
녹읍이 농민에 대한 지배권과 총체적인 수취를 가능하게 하는 것인데, 관료에 게 지급한 토지는 왕에게 충성하는 전제하에서만 지급되는 것이다.
143. ①
당시 무역이 누구를 위한 무역인가를 생각하여 이유를 추론한다.
144. ③
삼국의 통치 정책을 물어 보는 문제이다. 이런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145. ④
고구려의 지리적 위치 파악
146. ⑤
고구려는 요동지역(가)으로 진출
147. ⑤
148. ⑤
149. ②
150. ②
151. ⑤
152. ③
153. ④
154. ②
155. ①
156. ②
내신문제연구소
추천자료
현대 행정국가의 과제와 발전방향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방분권 강화 방안
국가지주회사의 성격과 운영사례
복지국가로서 스웨덴의 특징에 관한 조사
국가, 사회의 교육통제 / 한국교육체제의 성격
에너지 물류에 대한 국가간의 정치•경제적 대립 : 카스피해 에너지를 기준으로
러시아 국가주도자본주의 경제체제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편에 관해 작성하시오
21세기 국가발전을 위한 발전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일본보수세력, 일본보수세력 군사력필요성, 일본보수세력 국가론, 일본보수세력 동아시아인...
[집권, 박정희(민주공화당), 베니토 무솔리니(파시스트당), 글래드스턴(자유당)]박정희(민주...
[집권화와 분권화] 집권화전략과 분권화전략
[비교발전행정론] 대만의 국가발전 및 위기와 발전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