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객관식31~60
본문내용
소 작 농
1914
1.8
22
41.1
35.1
1918
3.4
19.6
39.3
37.7
<농가 구성 비율(호수)>
① 허가제를 내용으로 하는 회사령을 발표하였다.
② 토지 조사 사업으로 근대적 소유권이 확립되었다.
③ 기한부 신고제를 채택하여 농민들의 기한 내 소유권 확인이 어려웠다.
④ 산림령에 따른 임야 조사 사업으로 막대한 국공유림이 일본인에게 넘어 갔다.
⑤ 소작인들이 생계 유지를 위해 만주, 연해주 등지로 대거 이주하였다.
연 도
생산량
수탈량
1920
1922
1924
1926
1928
1930
1932
1933
1,270
1,432
1,517
1,497
1,730
1,370
1,590
1,630
185
340
475
544
742
540
760
870
60. 아래의 도표는 미곡 생산량과 일제의 수탈량에 대한 통계이다. 이를 보고 전체적인 경향을 옳게 해석한 것은 ? [대원외고, 서울여]
① 생산량보다 많은 미곡을 수탈해갔다.
② 수탈량의 증가 비율이 생산량의 증가 비율보다 낮았다.
③ 미곡의 국내 소비량이 점차 줄어들었다.
④ 1인당 쌀 소비량은 증가되었다.
⑤ 증산량이 수탈량보다 많았다.
(단위 : 만석)
31. ③
자료는 헌병 경찰 제도를 보통 경찰 제도로 바꾼다는 문화 통치기의 정책을 서술한 것이다.
32. ⑤
헌병 경찰 제도가 보통 경찰 제도로 바뀐 것은 사실상 조선의 통치를 더욱 강화시킨 조치이다. 경찰서와 경찰의 숫자는 3배로 늘어났고 헌병 기관도 증가하였다. 그리고 악명높은 특고 경찰, 사복 형사, 밀정 등이 활약하여 식민지 조선은 세계에서 가장 밀도 높은 경찰망을 자랑하게 되었다.
33. ④
조선의 격렬한 저항 운동에 대한 일본의 반응이라는 의미로 헌병 경찰 제도를 볼 수 있다.
34. ③
35. ①
36. ①
37. ③
38. ④
을사조약이 체결된 이후 고종 황제는 이 조약의 무효를 국내외에 선언하고, 헤이그에 특사를 파견하여 조약의 무효를 거듭 밝혔다. 이에 일제는 그 책임을 물어 고종 황제를 강제 퇴위시키고 군대를 해산하였다.
39. ⑤
40. ①
허가제는 산업 활동에 있어서 총독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허가 조건을 위반할 때에는 총독이 사업이 금지와 기업이 해산을 명할 수 있도록 규정한 것이다. 이러하여 한국인의 기업 활동이 억압되고, 민족 산업의 성장이 저해되었다.
41. ①
토지 조사 사업으로 지주들의 토지 소유권은 인정된 반면, 농민들의 경작권은 인정받지 못하였다.
42. ②
파리 강화 회의는 1차 세계 대전의 뒷처리를 위하여 열린 회의였다.
43. ②
카라한 선언에 의하면 소련은 독립군을 후원하여야 한다. 그런데도 소련이 독립군을 탄압한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44. ③
항일 의병 운동은 무장 투쟁 노선이다. 국권 피탈 이후 만주와 연해주 일대에 독립 운동 기지를 건설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1920년대에는 무장 독립군 투쟁이 가능하였다.
45. ⑤
일제의 문화 통치는 겉으로는 유화적인 모습을 띠고 있지만, 내면적으로는 한민족에 대한 감시와 감독을 강화하였다. 문관 총독을 임명한다고 선전한 것과는 달리 그 이후로도 계속 현역 장군을 총독으로 임명하였으며, 경찰의 수와 장비도 계속 증가하였다. 교육에 있어서도 황국 신민화를 목표로 한 우민화 교육을 강행하였다.
46. ⑤
자료의 ㉡은 610 만세 운동이다. 이 사건 이후에 나타난 독립 운동의 흐름을 정확하게 이해하여야 한다.
47. ②
연통제 - 국내외를 연결하는 비밀 행정 조직망
교통국의 통신망 - 국내외와의 연락 기능
48. ⑤
김상옥 - 종로 경찰서 투탄
김지섭 - 동경 궁성 투탄
49. ③
610 만세 운동(1926)
순종 황제의 인산일
사회주의자들의 실패
학생들이 주도시위
민족 운동에 새 활력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31 운동 이후 최대 운동
전국적 규모로 확대
만주일본에서도 호응
신간회의 진상 조사단 파견
50. ⑤
51. ③
52. ④
53. ②
54. ⑤
55. ②
제시된 글은 일제에 의해 헌법 경찰 통치가 실시되었던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56. ④
의열단(1919. 11). 독립 의군부(1912). 신간회(1927). 광복회(1915)
57. ⑤
58. ④
59. ③
기한부 신고제에 의해 자작농자소작농이 소작농으로 전략하고 일본인 지주가 양성되었다.
60. ③
생산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탈량이 증산량을 초과하였기 때문에 국내 소비량은 줄어 들었다.
내신문제연구소
1914
1.8
22
41.1
35.1
1918
3.4
19.6
39.3
37.7
<농가 구성 비율(호수)>
① 허가제를 내용으로 하는 회사령을 발표하였다.
② 토지 조사 사업으로 근대적 소유권이 확립되었다.
③ 기한부 신고제를 채택하여 농민들의 기한 내 소유권 확인이 어려웠다.
④ 산림령에 따른 임야 조사 사업으로 막대한 국공유림이 일본인에게 넘어 갔다.
⑤ 소작인들이 생계 유지를 위해 만주, 연해주 등지로 대거 이주하였다.
연 도
생산량
수탈량
1920
1922
1924
1926
1928
1930
1932
1933
1,270
1,432
1,517
1,497
1,730
1,370
1,590
1,630
185
340
475
544
742
540
760
870
60. 아래의 도표는 미곡 생산량과 일제의 수탈량에 대한 통계이다. 이를 보고 전체적인 경향을 옳게 해석한 것은 ? [대원외고, 서울여]
① 생산량보다 많은 미곡을 수탈해갔다.
② 수탈량의 증가 비율이 생산량의 증가 비율보다 낮았다.
③ 미곡의 국내 소비량이 점차 줄어들었다.
④ 1인당 쌀 소비량은 증가되었다.
⑤ 증산량이 수탈량보다 많았다.
(단위 : 만석)
31. ③
자료는 헌병 경찰 제도를 보통 경찰 제도로 바꾼다는 문화 통치기의 정책을 서술한 것이다.
32. ⑤
헌병 경찰 제도가 보통 경찰 제도로 바뀐 것은 사실상 조선의 통치를 더욱 강화시킨 조치이다. 경찰서와 경찰의 숫자는 3배로 늘어났고 헌병 기관도 증가하였다. 그리고 악명높은 특고 경찰, 사복 형사, 밀정 등이 활약하여 식민지 조선은 세계에서 가장 밀도 높은 경찰망을 자랑하게 되었다.
33. ④
조선의 격렬한 저항 운동에 대한 일본의 반응이라는 의미로 헌병 경찰 제도를 볼 수 있다.
34. ③
35. ①
36. ①
37. ③
38. ④
을사조약이 체결된 이후 고종 황제는 이 조약의 무효를 국내외에 선언하고, 헤이그에 특사를 파견하여 조약의 무효를 거듭 밝혔다. 이에 일제는 그 책임을 물어 고종 황제를 강제 퇴위시키고 군대를 해산하였다.
39. ⑤
40. ①
허가제는 산업 활동에 있어서 총독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허가 조건을 위반할 때에는 총독이 사업이 금지와 기업이 해산을 명할 수 있도록 규정한 것이다. 이러하여 한국인의 기업 활동이 억압되고, 민족 산업의 성장이 저해되었다.
41. ①
토지 조사 사업으로 지주들의 토지 소유권은 인정된 반면, 농민들의 경작권은 인정받지 못하였다.
42. ②
파리 강화 회의는 1차 세계 대전의 뒷처리를 위하여 열린 회의였다.
43. ②
카라한 선언에 의하면 소련은 독립군을 후원하여야 한다. 그런데도 소련이 독립군을 탄압한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44. ③
항일 의병 운동은 무장 투쟁 노선이다. 국권 피탈 이후 만주와 연해주 일대에 독립 운동 기지를 건설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1920년대에는 무장 독립군 투쟁이 가능하였다.
45. ⑤
일제의 문화 통치는 겉으로는 유화적인 모습을 띠고 있지만, 내면적으로는 한민족에 대한 감시와 감독을 강화하였다. 문관 총독을 임명한다고 선전한 것과는 달리 그 이후로도 계속 현역 장군을 총독으로 임명하였으며, 경찰의 수와 장비도 계속 증가하였다. 교육에 있어서도 황국 신민화를 목표로 한 우민화 교육을 강행하였다.
46. ⑤
자료의 ㉡은 610 만세 운동이다. 이 사건 이후에 나타난 독립 운동의 흐름을 정확하게 이해하여야 한다.
47. ②
연통제 - 국내외를 연결하는 비밀 행정 조직망
교통국의 통신망 - 국내외와의 연락 기능
48. ⑤
김상옥 - 종로 경찰서 투탄
김지섭 - 동경 궁성 투탄
49. ③
610 만세 운동(1926)
순종 황제의 인산일
사회주의자들의 실패
학생들이 주도시위
민족 운동에 새 활력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31 운동 이후 최대 운동
전국적 규모로 확대
만주일본에서도 호응
신간회의 진상 조사단 파견
50. ⑤
51. ③
52. ④
53. ②
54. ⑤
55. ②
제시된 글은 일제에 의해 헌법 경찰 통치가 실시되었던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56. ④
의열단(1919. 11). 독립 의군부(1912). 신간회(1927). 광복회(1915)
57. ⑤
58. ④
59. ③
기한부 신고제에 의해 자작농자소작농이 소작농으로 전략하고 일본인 지주가 양성되었다.
60. ③
생산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탈량이 증산량을 초과하였기 때문에 국내 소비량은 줄어 들었다.
내신문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