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석기와 구석기 시대
⑴ 구석기 (舊石器)
① 몸돌석기
② 격지석기
⑵ 구석기시대 (舊石器時代, Paleolithic Age)
⑶ 한반도와 연천의 구석기시대
2. 구석기 문화
3.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
⑴ 구석기 시대 유물
①뗀석기
②벽화
⑵ 경제 & 의식주 생활
⑶ 사회
⑷ 종교
4. 한반도 구석기 유적지
⑴ 단양 금굴
⑵ 함경도 웅기 굴포리
⑶ 평양 상원 검은모루
⑷ 경기도 연천 전곡리
⑸ 충남 공주 석장리
⑹ 덕천 승리산 유적지
⑴ 구석기 (舊石器)
① 몸돌석기
② 격지석기
⑵ 구석기시대 (舊石器時代, Paleolithic Age)
⑶ 한반도와 연천의 구석기시대
2. 구석기 문화
3.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
⑴ 구석기 시대 유물
①뗀석기
②벽화
⑵ 경제 & 의식주 생활
⑶ 사회
⑷ 종교
4. 한반도 구석기 유적지
⑴ 단양 금굴
⑵ 함경도 웅기 굴포리
⑶ 평양 상원 검은모루
⑷ 경기도 연천 전곡리
⑸ 충남 공주 석장리
⑹ 덕천 승리산 유적지
본문내용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모습이 앞으로 뚜렷이 밝혀지게 될 중요한 유적이다. 경기도 연천 전곡리유적에서 몇 개의 타제석기발견을 계기로 한반도는 세계학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게 되었다. 왜냐하면 여기서 채집된 석기 중에는 동아시아에서는 매우 발견사례가 드문 아슐리안계통의 주먹도끼와 가로날도끼가 선을 보였기 때문이다.
⑸ 충남 공주 석장리
충남 공주시 석장리유적은 남한에서 발견된 최초의 구석기 유적으로 국민의 관심을 끌었다. 이곳에서는 전기 중기 후기의 구석기 문화층이 확인되었다. 전기 중기에 속하는 하위 층에서는 찍개문화전통의 석영제 석기가 출토되었다. 중기 구석기 시대에 속하는 것으로는 석장리 중위 층이 대표적으로 여기서는 긁개, 조각개 등 박편석기 계통의 석영제, 반암제 석기가 주체를 점하고 있다. 후기 구석기 문화는 새기개 밀개의 석재가 다양해지고 특히 정교한 석기를 만드는 데 적합한 고운 입자의 석재를 선택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주거니 내에서 예술품 및 동물의 털이 출토되었다.
⑹ 덕천 승리산 유적지
덕천 승리산 동굴유적에서 동물화석은 168마리분 908점의 화석을 분류하여 25속 31종의 동물을 밝혀내게 되었는데 이 중에서 11종이 절멸 종으로 전체의 36%정도에 이른다. 2개의 어금니와 1개의 견갑골을 가진 인류화석은 고형(古型)의 호모 사피엔스로 보이며 ‘덕천인’으로 명명되었다. 그 외에도 체질상 완전히 현대인으로 진화한 인류가 출토되었는데, ‘승리산인’으로 불린다.
*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 구석기 시대의 일반 개요
- 책 「다시 찾는 우리 역사」
-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⑸ 충남 공주 석장리
충남 공주시 석장리유적은 남한에서 발견된 최초의 구석기 유적으로 국민의 관심을 끌었다. 이곳에서는 전기 중기 후기의 구석기 문화층이 확인되었다. 전기 중기에 속하는 하위 층에서는 찍개문화전통의 석영제 석기가 출토되었다. 중기 구석기 시대에 속하는 것으로는 석장리 중위 층이 대표적으로 여기서는 긁개, 조각개 등 박편석기 계통의 석영제, 반암제 석기가 주체를 점하고 있다. 후기 구석기 문화는 새기개 밀개의 석재가 다양해지고 특히 정교한 석기를 만드는 데 적합한 고운 입자의 석재를 선택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주거니 내에서 예술품 및 동물의 털이 출토되었다.
⑹ 덕천 승리산 유적지
덕천 승리산 동굴유적에서 동물화석은 168마리분 908점의 화석을 분류하여 25속 31종의 동물을 밝혀내게 되었는데 이 중에서 11종이 절멸 종으로 전체의 36%정도에 이른다. 2개의 어금니와 1개의 견갑골을 가진 인류화석은 고형(古型)의 호모 사피엔스로 보이며 ‘덕천인’으로 명명되었다. 그 외에도 체질상 완전히 현대인으로 진화한 인류가 출토되었는데, ‘승리산인’으로 불린다.
*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 구석기 시대의 일반 개요
- 책 「다시 찾는 우리 역사」
-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