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20세기: 서구 기독교가 맞이한 도전과 실패
대재앙: 아르메니아인 대 학살
스탈린주의: 무신론을 강요하다
2장
3장
대재앙: 아르메니아인 대 학살
스탈린주의: 무신론을 강요하다
2장
3장
본문내용
아르메니아인들은 러시아 정교회에 도움을 요청했으나 도움을 받을 수없었다. 러시아는 자국 영토에서 종교를 몰아내고 가능하면 철저하게 말살하는 일에 전력투구하는 국가가 되려고 발버둥치고 있었다.
스탈린주의: 무신론을 강요하다.
칼 막스는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는 사회적, 경제적 소외로부터 비롯됐다고 주장했다. 종교가 자본주의의 병폐를 진정시키고 완화시키는 힘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빚어진 현상일뿐이고 따라서 종교는 자본주의의 사악함에 반기를 들어 사회-경제적 변혁을 도모하게 하는 인간의 의지를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자본주의를 간접지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1917년 레닌은 종교를 러시아 지배 계급이 농민들을 억누르는데 사용한 냉소적인 도구로 간주하여 소비에트 연방은 종교의 철저한 말소를 그 이데올로기의 목표로 내세웠다.
처음으로 정교회가 표적이 되었고 1939년 까지 99퍼센트의 러시아 교회가 폐쇄되었다.
나치가 불러온 위기: 문화 개신교주의 의 실패
1933년 아돌프 히틀러를 독일 총통으로 선택했다. 히틀러는 독일 문화 부흥이라는 관점에서 문화 개신교주의로 언급되는 운동 즉 종교와 문화사이의 긴밀한 연관성을 주장했다.
성직자들은 환영을 하였는데 2차세계 대전때 히틀러와 협력을 거부했던 디트리히 본회퍼는 이체제에 맞서 싸우다 희생을 당하였다. 주류교회는 독일 문화 부흥을 둘러싼 열광적 분위기에 취해 비판 능력을 상실하였고 독일 문화 부흥이 미래의 방향임을 선포하고 시대에 보조를 맞추어 나가는 것이 현대 사상에 부응하는 것이라 주장했다. 신학자들은 히틀러에게 결코 아니오 라고 말할 수 없었다.
미국의 경우 미 연방 헌법이 교회와 국가 사이에 어떤 형태의 연합도 금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문화 개신교주의를 포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문화 개신교주의는 아무 비판없이 정치적, 사회적 경령과 결탁한 것으로 보인다.
권력은 반드시 부패한다. 권력을 추구하는 것은 그 권력의 행사보다 훨씬 파괴적이다. 교회 지도자들이 목회와 영적 관심에서 벗어나 인간과 제도의 발전이라는 사고에 빠져들게 되는 영국의 경험으로부터 배워야 하며 나치즘에 굴복했던 독일 교회에서 배울 필요가 있지 않을까?
1960년대:신뢰의 위기
1960년대의 흐름을 좇아가던 젊은이들에게 기독교는 과거의 종교이자 부모들만의 종교였다. 이들은 바른 사고와 지성을 겸비한 젊은이들이다. 하나님은 죽었다라는 운동이 미국에서 격렬하게 일면서 기독교 무신론의 복음이란 책들이
스탈린주의: 무신론을 강요하다.
칼 막스는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는 사회적, 경제적 소외로부터 비롯됐다고 주장했다. 종교가 자본주의의 병폐를 진정시키고 완화시키는 힘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빚어진 현상일뿐이고 따라서 종교는 자본주의의 사악함에 반기를 들어 사회-경제적 변혁을 도모하게 하는 인간의 의지를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자본주의를 간접지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1917년 레닌은 종교를 러시아 지배 계급이 농민들을 억누르는데 사용한 냉소적인 도구로 간주하여 소비에트 연방은 종교의 철저한 말소를 그 이데올로기의 목표로 내세웠다.
처음으로 정교회가 표적이 되었고 1939년 까지 99퍼센트의 러시아 교회가 폐쇄되었다.
나치가 불러온 위기: 문화 개신교주의 의 실패
1933년 아돌프 히틀러를 독일 총통으로 선택했다. 히틀러는 독일 문화 부흥이라는 관점에서 문화 개신교주의로 언급되는 운동 즉 종교와 문화사이의 긴밀한 연관성을 주장했다.
성직자들은 환영을 하였는데 2차세계 대전때 히틀러와 협력을 거부했던 디트리히 본회퍼는 이체제에 맞서 싸우다 희생을 당하였다. 주류교회는 독일 문화 부흥을 둘러싼 열광적 분위기에 취해 비판 능력을 상실하였고 독일 문화 부흥이 미래의 방향임을 선포하고 시대에 보조를 맞추어 나가는 것이 현대 사상에 부응하는 것이라 주장했다. 신학자들은 히틀러에게 결코 아니오 라고 말할 수 없었다.
미국의 경우 미 연방 헌법이 교회와 국가 사이에 어떤 형태의 연합도 금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문화 개신교주의를 포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문화 개신교주의는 아무 비판없이 정치적, 사회적 경령과 결탁한 것으로 보인다.
권력은 반드시 부패한다. 권력을 추구하는 것은 그 권력의 행사보다 훨씬 파괴적이다. 교회 지도자들이 목회와 영적 관심에서 벗어나 인간과 제도의 발전이라는 사고에 빠져들게 되는 영국의 경험으로부터 배워야 하며 나치즘에 굴복했던 독일 교회에서 배울 필요가 있지 않을까?
1960년대:신뢰의 위기
1960년대의 흐름을 좇아가던 젊은이들에게 기독교는 과거의 종교이자 부모들만의 종교였다. 이들은 바른 사고와 지성을 겸비한 젊은이들이다. 하나님은 죽었다라는 운동이 미국에서 격렬하게 일면서 기독교 무신론의 복음이란 책들이
추천자료
블루오션의 책 내용 요약 (완벽요약)
E.H.카 역사란 무엇인가? 책 전체 요약
우리아이경제교육어떻게할까? 라는 책을 읽고 요약,정리한 레포트에요~
책: 예수와 이스라엘 요약 서평
긍정심리학과 관련된다고 생각되는 책을 읽고 요약 및 자신의 장점이나 일상에서 느끼는 행복...
과학으로 생각한다 라는 책을 9페이지로 중요한부분만 요약정리
회사법정리 주식회사의 설립 파트 책과 노트 요약정리
한국 장로교회와 근본주의 책의 대략적인 내용요약입니다.
삼성과 인텔이란 제목의 4~5쪽 분량의 독후감, 책 내용 간단요약 그리고 느낌쓰기
스트레스 관련 도서(최근 10년 이내 출판된 책)를 읽고 책에서 주장하는 스트레스 관리법을 ...
[독후감/요약] 서른살 직장인 책읽기를 배우다 _ 구준본, 김미영 저
미래사회에 관련된 책을 한권 읽고, 요약하고, 미래사회에 평생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
[농업농촌의이해 C] 다음 책을 일고 요약한 다음 나와 우리 사회에 주는 시사점, 소감 등을 ...
농업농촌의이해-다음 책 중 한 권을 읽고 요약한 다음 나와 우리 사회에 주는 시사점, 소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