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고 해서 절대로 연장방송을 하지 않는다. 이 같은 특징은 시청자들에 의해 스토리가 좌우되는 국내드라마와는 큰 차이점을 보인다. 시청률을 의식해 엿가락처럼 작품 횟수를 줄였다 늘였다 해서 작품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국내 드라마 환경과도 대비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희노애락의 감정이 풍부하게 표현된 한국드라마와는 엄연히 색깔이 다른 것 같다 또한 인간관계의 갈등구조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한국드라마에 비해 일본드라마는 갈등구조가 서서히 펼쳐진다. 일본드라마에는 또 파격적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1월 방송된 ‘퍼스트 러브’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교실에서 키스하는 장면이 나왔고 2월 방송되는 ‘고쿠센’에는 학생이 선생에게 반말을 하는 장면이 나오는 등 한국에서는 금기 시 되었던 표현이 들어있다. 또 한가지는 드라마상의 간접광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드라마에서의 간접 광고는 하지 못하게 제약하고 있지만 일본의 경우는 그 상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까지도 드라마의 주인공들이 서슴없이 사용한다. 이러한 차이점들이 있지만 TV 드라마’에는 대중의 삶과 취향이 밀접하게 반영된다. 일본드라마를 통해 일본, 일본인에 대한 국민정서 상 거리감을 조금은 좁힐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
추천자료
21세기와 일본문화 -와쓰지 데쓰로(和 哲郞)의 일본문화론을 중심으로-
[일본문화의이해]일본의 음식과 문화
[일본문화의 이해] 일본의 역사와 문화
[일본문화]일본의 식문화
현대사회와 일본문화(일본의 장례문화)
[일본문화] 노다메칸타빌레를 통해 보면서 느낀 일본문화
[일본문화] 일본의 다도문화의 형성, 발전, 진행 및 차의 종료 분석[2012년 평가우수자료★★★★★]
[일본문화] 일본의 다도문화의 형성, 발전, 진행 및 차의 종료 분석[2012년 평가우수자료★★★★★]
[일본문화 분석] 일본의 목욕문화에 대한 분석과 특징 및 주요 관광지[2012년 평가우수자료★★...
일본전통문화의 이해 - 일본전통문화의 큰 흐름은 和이다
일본의역사와음식문화-가마쿠라시대,전국시대,일본의역사,예절문화
일본대중문화 - 일본 요괴 문화
2013년 2학기 일본대중문화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일본 대중문화에 관해 분석한 전공서적)
[서평]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 _ 정형 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