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교육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지위에서 벗어나 현재의 위치에서 잘 적응하며 긍정적인 삶을 하게 하기 위한데 있다.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에 의한 평가보다 실제적으로 자신이 변화되는 과정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 그에 합당한 평가라고 보는 것이다. 평가의 기준은 개인의 내부에 있으며, 개인능력의 우열과는 관계가 없는 개인집중 진보평가이다. 노인평가는 내적 동기를 강조하며 자율학습을 원칙으로 할 뿐 아니라 노인들은 능력면에서 개인차가 크게 벌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평가방법이 가장 타당할 것이다.
넷째, 평가가 노인들의 자기존중감을 손상시켜서는 안 된다. 이 경우는 학생들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학생들을 순위를 정해 평가대상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그것도 어떻게 보면 자기존중감을 손상시키는 것이 되지 않을까 한다. 아무튼 그것은 노인들인 경우도 다르지 않고 아무래도 노인인 경우에 좀더 조심해야 할 것이 아닌가 한다. 노인들은 자기무력감, 고독감, 소외감, 역할상실감 등으로 인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심한 열등감에 사로잡히는 수가 있다. 따라서 이들의 자기 존중감을 손상시키는 어떤 교육활동도 있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평가의 내용, 방법, 시행 등에 있어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것이며 상대평가보다는 절대평가 방법이 적절하다 하겠다.
다섯째, 지적영역의 지필검사를 지양하고 신체적정의적 영역에 치중하되 평가의 방법도 다양화해야 한다. 학교교육의 평가는 거의 대부분 지적영역을 지필검사라는 방법에 의거하여 평가하고 결과는 수량화된다. 그러나 노인교육의 평가는 지적영역보다 건강과 관련되는 신체적 영역 및 태도, 가치과, 신념에 관련되는 정의적 여역의 평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지필검사에 의한 지적 영역의 평가는 무의미할 뿐만 아니라 자칫하면 노인들의 자기존중감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여섯째, 노인교육의 평가는 집단 단위로 하는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방법도 관찰을 토대로 한 집단토의법이 좋다. 아무래도 교사 중심으로 평가를 하는 학생들의 평가 방식보다 노인평가는 집단 단위로 활동집단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어떤 학습활동이 있은 후에 그 활동의 절차, 방법 및 성과에 대한 평가를 토의의 방법으로 진행시킴으로써 평가는 평가의 범위를 넘어서서 학습에까지 이르게 된다. 토의의 기초가 되는 것은 관찰의 결과이다. 관찰법은 가장 오래된 평가의 법이면서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평가의 도구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2.12
  • 저작시기200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