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관계사적 시각에서 바라본 삼국통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통일 전 삼국의 정세
(2) 백제의 멸망
(3) 고구려의 멸망
(4) 백제의 부흥운동
(5) 고구려의 부흥운동
(6) 신라의 당 축출
(7) 신라의 삼국통일을 보는 여러 시각

3. 결 론

본문내용

생각한다. 이것이 바로 내가 국제관계사적인 시각에서 본 삼국통일이다. 그 당시에는 한민족이라는 개념 없이 국가의 개념만 있던 상태였다. 이 시기에 신라는 하나의 독립된 국가로서 자국을 지키기 위해 타국을 밟고 올라섰던 것뿐이다.
신라는 삼국 가운데 가장 늦게 건국되었으며 고대 국가체제 또한 가장 늦게 갖춘 나라였다. 또한 지리학적 위치도 동쪽에 치우쳐 있어 국제적인 활동도 가장 더딘 나라였다. 때문에 백제와 고구려에 밀려 늘 불안한 국정을 유지해야만 했다. 게다가 살펴본 바와 같이 신라가 번성한 6,7세기는 바야흐로 국제관계의 소용돌이 시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외압속에서 굴하지 않고 통일을 이루어 낸 신라의 역량은 높이 살 만 하다. 물론 당의 도움으로 백제와 고구려를 굴복시켰고 그 대가로 광활한 만주벌판을 뜬 눈으로 당에게 넘겨주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그동안 신라의 통일은 민족적 개념에 얽매어 영토축소라는 부정적인 면만이 부각되어 왔다. 하지만 그 시기에 삼국은 어디까지나 백제는 백제, 고구려는 고구려, 신라는 신라, 각각 하나의 국가였다는 점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제는 조금 더 냉정하게 국제관계사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어 이 사실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그 당시 삼국 모두는 각각 독립된 하나의 국가로 존재했고 신라는 어디까지나 자국의 이익과 생존을 위해 당의 개입을 이용했던 것이다. 다시 말해 민족적 관점에서 본다면 만주 벌판이 우리 민족의 활동무대에서 사라진 것이지만 적어도 신라의 입장에서는 한반도 중부와 남부지역을 확보함으로써 과거보다 영토가 확대되었으며 당을 배제함으로써 완전한 통일을 이루고 이를 발판으로 200여년 간의 황금기를 누릴 수 있었다.
최소한 역사에 있어서만큼은 가정은 필요없다고 생각한다. 신라는 최초로 삼국을 통일하고 한민족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냈으며 이것만으로도 세계사적으로 큰 의의를 갖는다. 그 당시 세계적으로 중앙집권국가, 단일민족국가는 신라 뿐이라는 사실이 그것을 뒷받침한다.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여 민족부흥기를 만들어 냈으며 한국사를 통틀어 최대 전성기를 누린 국가였다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이호영『新羅三國統合과 麗,濟敗亡原因硏究』1997.서경문화사
이기동/이기백 『韓國史講座』<고대편> 1982. 일조각
이기백 『韓國史新論』1976. 일조각
『한국사 9』<통일신라> 1998. 국사편찬위원회
한영우 『다시 찾는 우리역사』2005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2.13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3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