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해혁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해혁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와 봉건세력이 아성인 북경인가 하는 것이다. 그것은 장래를 좌우하는 관건이었다. 따라서 손문도 임시대총통을 사임할 때 세 가지 조건을 내세웠다. 그러나 손문의 혁명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장병린, 여원홍, 송교인 등이 북경에 찬성하여 혁명파 내부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아, 결국엔 원세개가 3월 10일 북양 군벌의 장교들에게 휩싸여서 북경에서 임시대총통에 취임, 선서하였다.
Ⅵ. 신해혁명의 의의와 성격
손문을 중심으로 한 동맹회가 주축이 되어 신해혁명을 일으켰으나 혁명당만의 힘으로 혁명을 성공으로 이끈 것이 아니기 때문에 처음부터 철저한 혁명을 기대하기란 힘들었다. 즉 혁명당의 목표였던 삼민주의의 이념가운데 만주민족을 몰아내고 한족을 회복하자는 민족주의는 혁명 후 비록 만청정부를 타도하기는 하였으나 신해혁명이후 5族 平等(漢 滿 蒙 歲-티베트 回-위구르족)으로 바뀌었다. 한편 신해혁명이 일어났다고 하여도 제국주의의 반식민지 아래에 있는 중국의 위상을 바꾸지 못한 채 오히려 손문은 혁명의 성공을 위하여 제국주의와 손잡고 청나라 때 체결된 불평등조약을 그대로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되다.
민권주의는 우선 중국의 역사 이래 전제군주가 무너지고 공화정이 수립하였다는 것으로 어느 정도 달성되어졌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아시아에서 첫 번째이면서 평화적으로 황제를 물러나게 하였던 점은 높게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마지막 황제에 대한 예우문제를 비롯하여 이른바 황실우대조건은 구세력을 인정하는 것이어서 혁명의 의의를 반감하게 하였다.
또한 민생주의가 내세우고 있는 자본의 절제와 地權 의 평균문제는 이 문제를 강령으로 제정할 당시부터 문제가 있었던 것이었으므로 그 이념을 실현하기란 더욱 어려웠던 것이다. 따라서 혁명이 일어났다 하여도 사회 경제적으로 큰 변화를 기대할 수 없었다. 그리고 손문은 무엇보다도 평화적인 청의 황제를 퇴위시키고 또한 중국의 통일이라는 대명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혁명이후의 지도권을 스스로 양보하지 않으면 안 되었기 때문에 원세개를 중심으로 한 구관료가 그대로 권력을 장악할 수 있게 된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신해혁명은 봉건제도를 무너뜨리고 공화제를 이룩하였다 하여도 중국의 사회와 경제에 어떤 변화가 일어난 것은 아니었다. 즉 반식민지 반봉건 사회의 성격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갖고 신해혁명은 실패하였다거나 또한 미완성된 것이라 설명되어지고 있다.
물론 이러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 것은 혁명당의 세력이 혁명을 이끌어 나갈 만큼 크지 못하였던데 에도 원인이 있었지만 반대로 반혁명의 세력 구관료의 힘이 지나치게 컸고 혁명을 성공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입헌파 세력의 힘 또한 권력 쪽에 가까웠기 때문이었다. 여기에 혁명당의 혁명에 대한 열의도 청조가 붕괴됨으로서 해이해져 혁명성을 상실하였기 때문이었다.
특히 대륙의 견해는 신해혁명이 자산계급 부르주아에 의해서 이루어진 혁명이기 때문에 이를 구민주주의 혁명으로 성격을 규정지어 혁명의 의의를 낮추어 평가하려는 경향이 그동안 농후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른바 무산계급주도아래 즉 중국 공산당이 창당되고 공산주의 운동의 혁명을 내세울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처럼 대륙에서 신해혁명을 부르주아 혁명이라 정의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대만의 국민정부입장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내세우고 있다. 즉 손문만 하더라도 부르주아 출신이 아니라는 점을 들고 있다. 확실히 그는 농민출신이며 그것도 중농이하의 가정 출신이었다. 그리고 혁명에 참여한 계층은 회당을 비롯하여 신지식인 화교 신군 등 중국의 모든 계층이 참여하였다는 이른바 全民革命으로 규정지으려 하고 있다. 즉 자산계급 부르주아 혁명이란 설에 대한 반론으로서 전민혁명을 내세우고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 김은숙 외.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교학사, 2005
- 동양사학회. 槪觀 東洋史, 지식산업사, 2004
- 신승하 ‘중국 근대사’, 대명출판사, 1993
- 신승하 ‘중국사’, 대한교과서, 1998.
- 조너선 D. 스펜서 지음/김희교 옮김, ‘현대 중국을 찾아서 1’ 도서출판 이산, 2001.
- 이신영, ‘신해혁명의 전개과정과 손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 김희원, ‘신해혁명의 발전과정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 네이버 블로그 ‘그곳에 가고 싶다.’ http://blog.naver.com/huhmanse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2.21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