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홍익인간과 세계의 이해 >
본문내용
고유문화를 지키고 발전시켜 그것이 외래문화와 수평 관계를 유지하도록 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핵심이 되도록 해야 한다. 그리하여 한민족의 고유문화가 본질을 이루고 외래문화는 기능적인 것으로 이용되는 ‘환본외기’의 정신을 세우고 그것을 교육하고 일상생활에서 실천해야 한다. 지금 한민족이 실천해야 할 것은 내부적으로 다양한 사회를 만들고 민족 고유의 문화를 반전시키고 국제 관계를 개방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을 상국으로 받들고 일제의 강점기에 얻은 자존심의 상처를 극복하고 자신감과 자긍심의 회복이 필수적이다. 또한 한민족은 민족 통일을 지상의 과제로 두고 있다. 이러한 모든 문제는 궁극적으로 민족의 가치관을 포괄하고 있는 홍익인간 이념을 교육과 생활에서 하루빨리 실천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으로 귀결된다.
추천자료
사마천의 사기에 나타난 역사와 인간
인간의 탐욕 속에서 발전한 월스트리트 제국 350년의 역사
인간 정신의 진보에 관한 역사적 개요
[인간과 종교의 역사] 인간과 종교는 무엇인가?
인간의 삶과역사를 바꾸는 질병
[인권][인권문제][인간존엄성][북한인권][인권존중][인간의 권리][북한][북한 인권문제]인권...
행동주의학습이론의 역사적 배경, 행동주의학습이론의 기본이해, 행동주의학습이론의 원리, ...
역사와인간_기말고사
심리학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서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이런 역사적 배경...
생태환경 - 소금의 역사와 인간과의 관계
[올림픽 역사와 인간 문화] 국제기구 NGO와 IOC간의 국제 사회에서 국제법적지위의 차이
아동발달의 역사와 발달단계(시대별 아동기의 구분, 인간발달단계의 성립)
성인발달 연구의 역사적 배경, 성인발달단계, 인간발달의 접생애 접근, 성인발달과 영향요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