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 배경
2. 가설
1) 결혼관
2) 연애 및 대인 관계
3) 경제 및 소비
4) 관념 혹은 습관
5) 유행 및 문화
3. 실험 절차(설문조사를 통해)
4. 결과
1) 결혼관
2) 연애 및 대인 관계
① 이상형
② 배려와 내숭
③ 상대방에 대한 지적
④ 과시
⑤ 기타
3) 관념 및 습관
① 남성
② 여성
5. 결론
2. 가설
1) 결혼관
2) 연애 및 대인 관계
3) 경제 및 소비
4) 관념 혹은 습관
5) 유행 및 문화
3. 실험 절차(설문조사를 통해)
4. 결과
1) 결혼관
2) 연애 및 대인 관계
① 이상형
② 배려와 내숭
③ 상대방에 대한 지적
④ 과시
⑤ 기타
3) 관념 및 습관
① 남성
② 여성
5. 결론
본문내용
에서만 성관계를 허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아직도 여성의 순결에 관한 기존의 통념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3) 관념 및 습관
위의 문항들로 볼 때, 보수적 성향을 지닌 이들은 단골가게가 있어, 주로 그 곳을 이용하며, 위험을 기피하기 때문에 배낭 여행보다는 경로가 정해져 있고, 안내자가 있는 패키지 여행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드라마보다는 뉴스를 더 선호하며, 기존의 남성에 대한 통념을 깨는 남성용 화장품에 대해 어색함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길거리 음식이나 길거리의 걸인들, 사회의 변화를 꾀하는 시민단체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9번 문항에서 여성의 경우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성의 경우 .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대다수의 여성(57%)이 드라마보다 뉴스를 보는 데 동의하지 않기 때문에 특별히 보수성과의 상관이 나타나지 않은 것이며, 아래의 표를 통해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상관관계이다.
1) 남성
2) 여성
보수적 성향을 지닌 남성의 경우 다음날의 계획은 꼭 세움으로써 시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적 성향을 지닌 여성의 경우 애인의 머리 색깔이나 옷차림, 친구 관계에 대해 간섭이 심하다는 것과 성인 사이트를 방문하는 것이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수적 성향을 가진 이들이 내릴 곳이 가까워지면 미리 준비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오히려 버스가 멈추기 전까지는 출입문 가까이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리 준비해서 출입문 가까이 갈 경우, 버스가 급정거하거나 급하게 흔들려 다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멈춰 설 때까지 기다리는 것으로 생각된다. 보수적 성향의 가진 이들의 특징이라고 생각했던 나이의 고하를 따지는 특성이 보수적 여성에게서 명확히 드러나는 것을 42번 문항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68번 문항을 통해 보수적 성향을 지닌 사람이라면 친하지 않는 이나 헤어진 연인의 미니 홈피를 방문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리의 예상이 실제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결론
위의 상관관계를 보인 항목들을 종합적으로 보면 심리학에서 말하는 보수성의 특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심리학에서 보수성을 지닌 사람은 위험부담을 적게 하는 사람이며, 고정관념을 갖고 있고, 이에 따라 세상을 이해하거나 판단한다고 한다. 이 두 가지 특징 중 첫 번째인, 적은 위험부담으로의 편중성은 관념 및 습관에서의 단골 식당이나 패키지여행에 대한 긍정에서 잘 드러난다. 하지만 적은 위험부담을 뜻하는 가설이라고 해서 모두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아니다. 그 예를 들면 새로운 메뉴에 대한 거부감이라든지 음악, 책에서의 고정된 장르 선호도에 관한 문항에서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두 번째 보수성에 대한 특징으로 알려진 고정관념에 대해서는 다양한 부분에 걸쳐서 보수성을 지니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고정관념을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특성은 주로 결혼과, 연애 및 대인관계 분야에서 주로 나타났다. 보수성을 지닌 사람은 결혼을 하게 되면 아이가 꼭 있어야한다고 생각하고, 아이가 하나라면 남자아이이어야 하며, 여유가 있다면 아내는 일을 하지 않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혼전 성관계를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적인 결혼관과 가정에서의 성역할, 순결 개념에 부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 고정관념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정관념은 이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부분에서 전통적으로 어울리지 않는다고 인식되어 온 것에 대한 거부반응에서도 나타난다. 그 예로, 남자의 팩 사용에 대하여 동의하지 않는다는 반응을 들 수 있다. 또한 보수적인 사람은, 비록 실험대상이 이십대 전후였음에도 불구하고, 고정관념에 기초한 남성성이나 여성성에 대한 호감을 나타냈다. 또한 기존의 관념에 변화를 꾀하려는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통해서도 고정관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 연구에서 드러난 보수성을 지닌 사람의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로 보수적인 사람은 자신의 견해를 남에게 강요하며, 이는 in-group일 경우 뚜렷이 나타난다. 이는 상대방에 대한 지적이나 간섭으로 드러나는데, 그 지적의 대상은 주로 애인과 같이 가까운 관계 즉 in-group의 범주 안에 포함되는 사람들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상대방의 옷이나 염색색깔, 친구관계에 대해 불만을 이야기하고 이를 시정하기를 바라는 것을 들 수 있다. 둘째로 보수성을 지닌 사람들은 과시욕이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자신의 부나 학벌, 지위를 남들에게 드러내기를 좋아하며, 식사를 한 후 자신이 돈을 내는 것이 멋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예를 통해서 그런 성향을 확인할 수 있다.
보수성을 지닌 사람들에 관한 우리의 예상은 상당 부분에서 일치했다. 흔히들 생각하는 위험을 기피하거나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여러 문항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고, 이 뿐만이 아니라 또 다른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보수성을 지닌 사람들에 대해 보통 사람들이 갖는 편견은 거의 다 맞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변화를 싫어하여 기존의 것을 고수하며, 고정관념을 가지고 세상을 이해하며 판단한다는 것이 모두 드러났다. 거기에 과시욕과 자신과 관계된 사람들에 대한 지적이나 간섭이 심하다는 것이 더해져 처음의 우리 의도와는 달리 보수성을 지닌 사람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한층 더 깊게 해 주는 것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긍정적인 의미를 찾는다면 나이나 지위에 관해 분명한 상하 관계를 추구한다는 것과 애정 표현을 잘 하지 않는다라는 것, 문화생활을 잘 하지 않는다는 것 등에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긍정적인 의미보다는 부정적인 의미가 더 강하다는 것이 사실이다. 보수성을 지닌 사람들에 관한 객관적인 시각을 갖게 되기를 원했던 우리의 의도와는 좀 다른 결과가 나왔지만, 우선은 결혼, 연애, 대인관계, 습관 등의 보다 세세한 부분에서 그들의 생활 태도를 재구성할 수 있었다는 것에 만족한다.
3) 관념 및 습관
위의 문항들로 볼 때, 보수적 성향을 지닌 이들은 단골가게가 있어, 주로 그 곳을 이용하며, 위험을 기피하기 때문에 배낭 여행보다는 경로가 정해져 있고, 안내자가 있는 패키지 여행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드라마보다는 뉴스를 더 선호하며, 기존의 남성에 대한 통념을 깨는 남성용 화장품에 대해 어색함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길거리 음식이나 길거리의 걸인들, 사회의 변화를 꾀하는 시민단체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9번 문항에서 여성의 경우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성의 경우 .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대다수의 여성(57%)이 드라마보다 뉴스를 보는 데 동의하지 않기 때문에 특별히 보수성과의 상관이 나타나지 않은 것이며, 아래의 표를 통해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상관관계이다.
1) 남성
2) 여성
보수적 성향을 지닌 남성의 경우 다음날의 계획은 꼭 세움으로써 시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적 성향을 지닌 여성의 경우 애인의 머리 색깔이나 옷차림, 친구 관계에 대해 간섭이 심하다는 것과 성인 사이트를 방문하는 것이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수적 성향을 가진 이들이 내릴 곳이 가까워지면 미리 준비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오히려 버스가 멈추기 전까지는 출입문 가까이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리 준비해서 출입문 가까이 갈 경우, 버스가 급정거하거나 급하게 흔들려 다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멈춰 설 때까지 기다리는 것으로 생각된다. 보수적 성향의 가진 이들의 특징이라고 생각했던 나이의 고하를 따지는 특성이 보수적 여성에게서 명확히 드러나는 것을 42번 문항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68번 문항을 통해 보수적 성향을 지닌 사람이라면 친하지 않는 이나 헤어진 연인의 미니 홈피를 방문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리의 예상이 실제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결론
위의 상관관계를 보인 항목들을 종합적으로 보면 심리학에서 말하는 보수성의 특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심리학에서 보수성을 지닌 사람은 위험부담을 적게 하는 사람이며, 고정관념을 갖고 있고, 이에 따라 세상을 이해하거나 판단한다고 한다. 이 두 가지 특징 중 첫 번째인, 적은 위험부담으로의 편중성은 관념 및 습관에서의 단골 식당이나 패키지여행에 대한 긍정에서 잘 드러난다. 하지만 적은 위험부담을 뜻하는 가설이라고 해서 모두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아니다. 그 예를 들면 새로운 메뉴에 대한 거부감이라든지 음악, 책에서의 고정된 장르 선호도에 관한 문항에서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두 번째 보수성에 대한 특징으로 알려진 고정관념에 대해서는 다양한 부분에 걸쳐서 보수성을 지니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고정관념을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특성은 주로 결혼과, 연애 및 대인관계 분야에서 주로 나타났다. 보수성을 지닌 사람은 결혼을 하게 되면 아이가 꼭 있어야한다고 생각하고, 아이가 하나라면 남자아이이어야 하며, 여유가 있다면 아내는 일을 하지 않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혼전 성관계를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적인 결혼관과 가정에서의 성역할, 순결 개념에 부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 고정관념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정관념은 이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부분에서 전통적으로 어울리지 않는다고 인식되어 온 것에 대한 거부반응에서도 나타난다. 그 예로, 남자의 팩 사용에 대하여 동의하지 않는다는 반응을 들 수 있다. 또한 보수적인 사람은, 비록 실험대상이 이십대 전후였음에도 불구하고, 고정관념에 기초한 남성성이나 여성성에 대한 호감을 나타냈다. 또한 기존의 관념에 변화를 꾀하려는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통해서도 고정관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 연구에서 드러난 보수성을 지닌 사람의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로 보수적인 사람은 자신의 견해를 남에게 강요하며, 이는 in-group일 경우 뚜렷이 나타난다. 이는 상대방에 대한 지적이나 간섭으로 드러나는데, 그 지적의 대상은 주로 애인과 같이 가까운 관계 즉 in-group의 범주 안에 포함되는 사람들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상대방의 옷이나 염색색깔, 친구관계에 대해 불만을 이야기하고 이를 시정하기를 바라는 것을 들 수 있다. 둘째로 보수성을 지닌 사람들은 과시욕이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자신의 부나 학벌, 지위를 남들에게 드러내기를 좋아하며, 식사를 한 후 자신이 돈을 내는 것이 멋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예를 통해서 그런 성향을 확인할 수 있다.
보수성을 지닌 사람들에 관한 우리의 예상은 상당 부분에서 일치했다. 흔히들 생각하는 위험을 기피하거나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여러 문항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고, 이 뿐만이 아니라 또 다른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보수성을 지닌 사람들에 대해 보통 사람들이 갖는 편견은 거의 다 맞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변화를 싫어하여 기존의 것을 고수하며, 고정관념을 가지고 세상을 이해하며 판단한다는 것이 모두 드러났다. 거기에 과시욕과 자신과 관계된 사람들에 대한 지적이나 간섭이 심하다는 것이 더해져 처음의 우리 의도와는 달리 보수성을 지닌 사람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한층 더 깊게 해 주는 것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긍정적인 의미를 찾는다면 나이나 지위에 관해 분명한 상하 관계를 추구한다는 것과 애정 표현을 잘 하지 않는다라는 것, 문화생활을 잘 하지 않는다는 것 등에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긍정적인 의미보다는 부정적인 의미가 더 강하다는 것이 사실이다. 보수성을 지닌 사람들에 관한 객관적인 시각을 갖게 되기를 원했던 우리의 의도와는 좀 다른 결과가 나왔지만, 우선은 결혼, 연애, 대인관계, 습관 등의 보다 세세한 부분에서 그들의 생활 태도를 재구성할 수 있었다는 것에 만족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심리학의 인간의 이해 교육과 심리의 학문적 접근
[심리학] 이성관계에 대한 밀고당기기 이론과 실제
상담심리학-인간중심 접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말고사 과제] 신문기사를 읽고 각 기사에 대하여 물어보는 질문에 자...
호기심에 대한 인간학적조망(판도라) 레포트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인행사] 사회복지사는 인간행동을 잘 이해하고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다양하게 접근하여 도...
정신분석이론 (인간관, 기본가정, 개념, 심리성적 발달단계,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적용, Freu...
교육심리학educational psychology 인간발달에 대한 이론 - 도덕성 발달이론 (Piaget의 도덕...
길리건(Gilligan)의 도덕성 발달이론 [교육심리학] {길리건의 이론, 자기이익 지향 단계, 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人間行動 社會環境] 지역사회체계의 이해 - 지역사회의 정의와 유형, ...
대인관계 중 이성 간의 사랑 즉, 연인 관계에서 나타나는 사랑과 헤어짐을 심리학적 설명하여...
성과 성역할의 이해(성의 개념, 생물학적 성, 사회심리학적 성, 성차에 대한 인식)
노년기에서 인간의 행동, 심리, 사회적 발달에 대한 제반 이론을 정리하고, 각 단계에서 사회...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의 장단점을 평가하라 - 이론의 장점과 단점을 심리학적 측면에서 평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