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Ⅰ. 생리공결제란 무엇인가.
Ⅱ. 생리공결제의 추진 배경
Ⅲ. 생리공결제 추진 현황
Ⅳ. 학우들의 생각
Ⅴ. 설문조사
Ⅵ. 문제점 및 해결방안
Ⅶ. 우리들의 생각
<결 론>
<참고 문헌>
<본론>
Ⅰ. 생리공결제란 무엇인가.
Ⅱ. 생리공결제의 추진 배경
Ⅲ. 생리공결제 추진 현황
Ⅳ. 학우들의 생각
Ⅴ. 설문조사
Ⅵ. 문제점 및 해결방안
Ⅶ. 우리들의 생각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생리는 여러 가지 사회적 기능을 갖고 있다. 여성의 임신, 출산, 포유 등을 할 수 있는 모성 기능에 따른 수반 현상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여성들의 기본적인 권리이자 능력으로써의 인류 생존 유지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생리는 여성들에게 있어서 굉장히 특별한 경험이다. 몸의 주기적인 변화를 직접 느낄 수 있으며 자신의 몸을 스스로 보호하는 최상의 과정이기 때문이다.(실제 생리는 정자와 같은 이물질을 타고 자궁으로 들어오는 병원균을 씻어내는 작용을 하여 자궁과 나팔관을 보호하는 훌륭한 일을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여성만의 신체적 특성에서 비롯되는 생리통에 대한 제도적 보호가 하루 빨리 이루어지길 바란다. 생리공결제를 둘러싸고 우리는 "평등," "성적" "악용의 소지" 운운하는 대신에, 다시 곰곰이 이렇게 물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학교에서부터 성인지적 문화를 안착시키고 일상화하려면 무엇들이 필요한가? 성인지적 문화와 양성평등을 확장하는데 생리공결제가 얼만큼이나 기여할 것인가? 혹은 생리공결제를 성인지적인 문화를 안착시키고 일상화하는데 얼만큼 활용할 수 있을까? "성적 악용"의 소지가 있는 생리공결제를 보다 해방적인 방법으로 시행하려면 무엇들이 더 필요한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생리통 그리고 배란통으로 아픈 애들이 학교에 있는 동안 약이 아닌 방법으로 이겨 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의 아이들이 남자 선생님에게도 여자 선생님에게도 "선생님, 저 생리중인데요."라고 하면서 생리로 인한 자그마한 요구사항을 아무런 모멸감이나 수치심 없이 말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려면, 당장 우리 사회에 필요한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변화란, 그것이 결과적으로 어떤 방향으로 가게 되는지 어떤 효과가 파급될 지를 담보하지 못한 채 진행되기 마련이고 이는 실천이라는 것을 통과해서야 가능한 것이다. 사회적 소수자들도 인간이며 권리가 있으므로 그 인권을 존중하도록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켜야 할 것이다.
단순히 여성의 '편의'를 봐준다는 식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정말 잘못된 생각이라고 생각한다. 생리공결제는 여성의 신체적 특수성을 인정하고 그에 따른 합리적인 권리를 보장한다는 취지에서 비롯된 것임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정당한 이유로 출석을 인정받는 생리공결제가 하루 빨리 제도화 되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도화에 앞서 그 악용 우려에 대한 확실한 대책을 마련이 되었을 때 그 제도의 활용이 더욱 값지게 될 것이다. 단점의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지 필요한 제도를 포기하는 건 옳지 못하다. 정당한 이유로 출석처리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생리공결제의 사용 빈도를 떠나, 이 제도를 통해 실질적으로 혜택을 받는 단 한 명이 있다 하더라도 의미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우리는 ‘생리공결제’에 대한 각 대학의 진행과정 및 찬반의 의견을 토대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과제를 하면서 우리는 새삼 세상의 다양성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사실 우리 조원끼리 이 과제를 진행하기 위한 사전 모임에서의 우리의 결론은 ‘생리공결제’로 인한 오 남용은 소위 ‘상식’있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대학이기에 일어나지 않으리라 생각하였다. 왜냐하면 ‘생리공결제’에 의한 결석이 출석으로 인정되더라도 그만큼의 수업내용은 자의적으로 결석한 사람의 몫으로 고스란히 남기 때문에 흔치 않게 발생하리라는 것이 우리의 순진한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이 제도에 대해 한 치의 오 남용사례에 대해 생각해 보지 않았었다. 하지만 교내 학우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에서 우리는 깨닫게 되었다. 얼마나 우리가 순진한 사고를 가졌었는지를. 그리고 많은 학우들과 외부관계자들과 인터뷰, 그리고 자료 분석을 통해 이 제도로 인한 오 남용 사례를 막지 않으면 이 제도의 원래의 귀중한 의미는 사라지고 오히려 역차별의 소지가 될 수 도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결론을 내기까지 만만치 않은 과정이었다. 특히나 불규칙한 생리주기로 인한 출석일수의 횟수 제한, 또한 시스템 처리문제, 그리고 가장 큰 부분 중 하나인 학생들의 의식 개선 등이 모든 것이 결코 빠른 시일 내로 단기간에 해결될 문제는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는 여기서 포기하지 않는다. 어느 제도나 완벽한 제도는 없고 어디에나 생각지 못했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문제점을 미연의 방지하는 것이 제도의 성공의 지름길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했지만 사실 뛰어난 해결책이 나오지 않았다.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기본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기에 우리조원들의 안타까움이 들어있다.
과제를 마무리하며 우리조의 한 가지 아쉬움이 남았다. 처음의 우리의 기본 프로젝트 범주는 ‘캠퍼스 내의 복지’였고 그 중 특히 우리는 ‘생리공결제’에 많이 치우쳤기에 전체적인 교내 캠퍼스 내의 복지에 대해 다루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또한 사전 과제준비 과정 중에 많은 불편한 점을 찾아내고 개선점까지 타 대학과 비교하며 자료를 마련해 놓았는데 이 모든 것을 전하기에는 여러 가지 제약이 많기에 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여기서 한 가지 분명한 점은 우리가 ‘교내 캠퍼스 내의 복지’에 대해 할말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교내 여성을 위한 복지시설이 현저하게 질이 낮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 문헌>
http://future.lg.co.kr/content/view.jsp?tmenu=campus&smenu=1
http://222.122.140.221/new/news_view.html?serial=35718
연합뉴스 2005-01-13
세계일보 2005-01-13
한겨레 2005-01-17
부산일보 2005-01-27
한겨레 2006-01-05
동아일보 2006-01-13
오마이뉴스 2006-09-29
전국 여대생 대표자 협의회 2005.5.28
한양대 게시판
The face of future 11월호
생리결석 관련 모성보호 제도마련 권고 2006.06.12 , 국가인권위원회
단순히 여성의 '편의'를 봐준다는 식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정말 잘못된 생각이라고 생각한다. 생리공결제는 여성의 신체적 특수성을 인정하고 그에 따른 합리적인 권리를 보장한다는 취지에서 비롯된 것임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정당한 이유로 출석을 인정받는 생리공결제가 하루 빨리 제도화 되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도화에 앞서 그 악용 우려에 대한 확실한 대책을 마련이 되었을 때 그 제도의 활용이 더욱 값지게 될 것이다. 단점의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지 필요한 제도를 포기하는 건 옳지 못하다. 정당한 이유로 출석처리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생리공결제의 사용 빈도를 떠나, 이 제도를 통해 실질적으로 혜택을 받는 단 한 명이 있다 하더라도 의미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우리는 ‘생리공결제’에 대한 각 대학의 진행과정 및 찬반의 의견을 토대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과제를 하면서 우리는 새삼 세상의 다양성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사실 우리 조원끼리 이 과제를 진행하기 위한 사전 모임에서의 우리의 결론은 ‘생리공결제’로 인한 오 남용은 소위 ‘상식’있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대학이기에 일어나지 않으리라 생각하였다. 왜냐하면 ‘생리공결제’에 의한 결석이 출석으로 인정되더라도 그만큼의 수업내용은 자의적으로 결석한 사람의 몫으로 고스란히 남기 때문에 흔치 않게 발생하리라는 것이 우리의 순진한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이 제도에 대해 한 치의 오 남용사례에 대해 생각해 보지 않았었다. 하지만 교내 학우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에서 우리는 깨닫게 되었다. 얼마나 우리가 순진한 사고를 가졌었는지를. 그리고 많은 학우들과 외부관계자들과 인터뷰, 그리고 자료 분석을 통해 이 제도로 인한 오 남용 사례를 막지 않으면 이 제도의 원래의 귀중한 의미는 사라지고 오히려 역차별의 소지가 될 수 도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결론을 내기까지 만만치 않은 과정이었다. 특히나 불규칙한 생리주기로 인한 출석일수의 횟수 제한, 또한 시스템 처리문제, 그리고 가장 큰 부분 중 하나인 학생들의 의식 개선 등이 모든 것이 결코 빠른 시일 내로 단기간에 해결될 문제는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는 여기서 포기하지 않는다. 어느 제도나 완벽한 제도는 없고 어디에나 생각지 못했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문제점을 미연의 방지하는 것이 제도의 성공의 지름길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했지만 사실 뛰어난 해결책이 나오지 않았다.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기본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기에 우리조원들의 안타까움이 들어있다.
과제를 마무리하며 우리조의 한 가지 아쉬움이 남았다. 처음의 우리의 기본 프로젝트 범주는 ‘캠퍼스 내의 복지’였고 그 중 특히 우리는 ‘생리공결제’에 많이 치우쳤기에 전체적인 교내 캠퍼스 내의 복지에 대해 다루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또한 사전 과제준비 과정 중에 많은 불편한 점을 찾아내고 개선점까지 타 대학과 비교하며 자료를 마련해 놓았는데 이 모든 것을 전하기에는 여러 가지 제약이 많기에 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여기서 한 가지 분명한 점은 우리가 ‘교내 캠퍼스 내의 복지’에 대해 할말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교내 여성을 위한 복지시설이 현저하게 질이 낮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 문헌>
http://future.lg.co.kr/content/view.jsp?tmenu=campus&smenu=1
http://222.122.140.221/new/news_view.html?serial=35718
연합뉴스 2005-01-13
세계일보 2005-01-13
한겨레 2005-01-17
부산일보 2005-01-27
한겨레 2006-01-05
동아일보 2006-01-13
오마이뉴스 2006-09-29
전국 여대생 대표자 협의회 2005.5.28
한양대 게시판
The face of future 11월호
생리결석 관련 모성보호 제도마련 권고 2006.06.12 , 국가인권위원회
추천자료
우리나라의 여성복지정책
종합적 여성복지의 고찰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현황 및 개선방안 분석
이명박 정부의 여성복지정책 핵심과 10대 과제 비판
출산장려를 위한 여성복지정책 방향
사회보장 제도와 여성복지에 대해서 설명.
사회보장 제도와 여성복지에 대해 설명.
우리나라 여성복지 정책의 문제점 개선방안
우리나라 여성복지 사업의 활성화 방안
외국과 우리나라의 여성복지 차이점에 대해 논의한 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시오
언론보도 중 긍정적 여성복지문화에 관련된 보도내용을 요약한 후 변화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언론보도 중 긍정적 여성복지문화에 관련된 보도내용을 요약한 후 변화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우리나라의 여성복지의 정책과 과제를 논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시오
소개글